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어린이 안전사고사례1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2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3. 어린이 안전사고사례3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4. 어린이 안전사고의 원인
5. 어린이 안전사고의 주요 발생장소
6.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7. 어린이 안전사고와 응급처치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어린이 안전사고사례1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2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3. 어린이 안전사고사례3 분석
1) 어린이 안전사고내용
2) 어린이 안전사고사례분석
4. 어린이 안전사고의 원인
5. 어린이 안전사고의 주요 발생장소
6.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7. 어린이 안전사고와 응급처치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살 눕혀서 무릎과 발목 부위를 받쳐주고 종이 박스나 나무판, 패드 등을 대어 고정한다. 팔의 경우에도 움직이지 못하도록 다친 부위의 위아래 관절까지 부목을 단단하게 댄 후 붕대를 목에 걸고 받쳐 병원에 데려간다.
7) 떨어지는 물건이나 벽 등에 부딪쳐 머리에 혹이 생겼을 때
피가 나면 소독약을 바르고 세게 눌러서 피를 멈추게 한다. 머리의 혹(단순 혈종)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찬 물수건이나 얼음찜질을 해주면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경과를 관찰한다. 만일 아이가 48시간 이내에 구토나 경련을 일으키고 심하게 보채거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혹은 귀나 코에서 피가 나면 바로 병원에 데려간다.
8) 탁자나 의자 모서리에 부딪쳐 이가 부러졌을 때
부러진 이가 땅에 떨어졌다면, 부러진 치아의 씹는 면을 잡고 생리식염수를 부어 씻어낸 후 생리식염수에 담가 바로 치과로 가져간다. 생리식염수가 없다면 차가운 흰 우유를 이용해도 좋다. 치아의 구성 성분인 단백질과 동일한 성분으로, 부러진 치아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9) 자동차 바퀴에 발등이 밟혔을 때
신발과 양말을 벗겨서 발등이 부어오를 때의 통증을 줄여준다. 면 소재의 넓은 천을 두툼하게 대고 붕대로 감는다. 얼음물에 적신 물수건으로 냉찜질하는 것도 통증과 부종 완화에 도움이 되며, 반드시 정형외과에서 골절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10세 미만 어린이의 사망원인 1위는 백혈병이나 암 등의 질병이 아니라 교통사고, 익사, 추락 등의 각종 안전사고이다. 특히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은 선진국의 최고 20배까지 달하고 있는 실정이며 하루 평균 100명이상의 어린이들이 교통사고로 인하여 죽거나 다치고 있다. 이는 어른의 부주의와 무관심, 그리고 자동차 문화의 부족과 교통안전 의식의 결여가 바로 그 주요 원인이다. 어린이 교통사고의 40-90%이상이 어른들의 사소한 부주의와 무관심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어린이는 주의가 산만하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교통사고를 방지하려면 먼저 운전하는 어른들이 조심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릴 때부터 아이에게 교통안전 교육을 철저히 시켜야한다. 아이와 함께 외출할 경우에 부모는 특별한 관심을 갖고 아이를 잘 보살펴야 하며 아이가 말을 알아듣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아이와 함께 외출 할 때마다 직접 실습을 통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해야만 한다.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앞 서 언급한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교육도 철저히 해야 하며 무엇보다 어른들의 각별한 주의와 안전시설 및 법규강화를 통해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
Ⅳ. 참고자료
김일옥,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2010.
박상철,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태 연구, 충남대 행정대학원, 2005.
강동수, 잇따른 유치원 차량 사고로 어린이 1명 사망, 11명 부상, 부산CBS, 2010.09.03일.
최유경, 드럼세탁기에 갇혀 초등생 ‘질식사’, 뉴데일리, 2010.02.19일.
김정태, "여름철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머니투데이, 2010.07.14일.
7) 떨어지는 물건이나 벽 등에 부딪쳐 머리에 혹이 생겼을 때
피가 나면 소독약을 바르고 세게 눌러서 피를 멈추게 한다. 머리의 혹(단순 혈종)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찬 물수건이나 얼음찜질을 해주면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경과를 관찰한다. 만일 아이가 48시간 이내에 구토나 경련을 일으키고 심하게 보채거나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 혹은 귀나 코에서 피가 나면 바로 병원에 데려간다.
8) 탁자나 의자 모서리에 부딪쳐 이가 부러졌을 때
부러진 이가 땅에 떨어졌다면, 부러진 치아의 씹는 면을 잡고 생리식염수를 부어 씻어낸 후 생리식염수에 담가 바로 치과로 가져간다. 생리식염수가 없다면 차가운 흰 우유를 이용해도 좋다. 치아의 구성 성분인 단백질과 동일한 성분으로, 부러진 치아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9) 자동차 바퀴에 발등이 밟혔을 때
신발과 양말을 벗겨서 발등이 부어오를 때의 통증을 줄여준다. 면 소재의 넓은 천을 두툼하게 대고 붕대로 감는다. 얼음물에 적신 물수건으로 냉찜질하는 것도 통증과 부종 완화에 도움이 되며, 반드시 정형외과에서 골절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10세 미만 어린이의 사망원인 1위는 백혈병이나 암 등의 질병이 아니라 교통사고, 익사, 추락 등의 각종 안전사고이다. 특히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률은 선진국의 최고 20배까지 달하고 있는 실정이며 하루 평균 100명이상의 어린이들이 교통사고로 인하여 죽거나 다치고 있다. 이는 어른의 부주의와 무관심, 그리고 자동차 문화의 부족과 교통안전 의식의 결여가 바로 그 주요 원인이다. 어린이 교통사고의 40-90%이상이 어른들의 사소한 부주의와 무관심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어린이는 주의가 산만하고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교통사고를 방지하려면 먼저 운전하는 어른들이 조심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릴 때부터 아이에게 교통안전 교육을 철저히 시켜야한다. 아이와 함께 외출할 경우에 부모는 특별한 관심을 갖고 아이를 잘 보살펴야 하며 아이가 말을 알아듣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아이와 함께 외출 할 때마다 직접 실습을 통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해야만 한다.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앞 서 언급한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교육도 철저히 해야 하며 무엇보다 어른들의 각별한 주의와 안전시설 및 법규강화를 통해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
Ⅳ. 참고자료
김일옥,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2010.
박상철, 초등학교 안전교육의 실태 연구, 충남대 행정대학원, 2005.
강동수, 잇따른 유치원 차량 사고로 어린이 1명 사망, 11명 부상, 부산CBS, 2010.09.03일.
최유경, 드럼세탁기에 갇혀 초등생 ‘질식사’, 뉴데일리, 2010.02.19일.
김정태, "여름철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머니투데이, 2010.07.14일.
추천자료
안전사고의 예방과 대책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대처방안(아동에 관해)
A+ * 자전거 수요증가에 따른 안전사고 분석
[아동(영유아)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보건교육E]초중고등학생 안전사고 예방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을 적용 - 사회적 ...
보건교육-초/중/고등학생의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고 해결방안 모색
영유아교육기관에서는 놀이 시설과 관련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3가지 제...
스키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그에 대한 예방.ppt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내외 놀이안전사고의 특징 및 예방법에 대해 서술.
아동(취학이전)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의 유형과 대처방법을 작성해 주십시오.
영유아기 발달적 특성과 안전사고 유형 및 예방 조치를 기술
아동의 다양한 안전사고의 통계치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적절한 대책은 무엇...
학교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경험에 대해 논해보고 이를 해결했던 경험에 대해서 사례형식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