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결과
2.실험결과 및 오차 분석
3.결론
2.실험결과 및 오차 분석
3.결론
본문내용
해놓고 실험 했을 때와 같은 경우로, 기준자의 녹색 부분을 설정할 때, 너무 어둡게 찍혀서, 좁은 범위로만 잡아서 설정 하여, 녹색 부분의 일부만 선택이 되었다. 이 때문에 길이 설정에 오차가 생겨, 가속도 값이 9.8m/s2 과 비슷한 값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9.8m/s2 와 7.90m/s2 의 비는 약 1.24이다. 이 비율의 값을 45도 2단 1차시, 수평도달거리의 참값과 최고높이의 측정값에 각각 곱해보면, 84.346 -> 104.59 / 30.611 -> 37.958
이 되어, 참값과 측정값이 더욱 근사한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번 실험의 목적은 평면상의 등속도 운동과 수직 방향의 등가속도 운동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포물선 운동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이었는데, 우리 조의 실험에서는 X방향으로 등속도 운동이 아닌 등가속도 운동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그 목적 달성을 완벽히 이루지는 못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때 발생한 가속도의 절대값이 매우 적어 무시 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캡쳐된 그림과 그래프로 볼때,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쏘아진 물체가 포물선 운동을 하는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9.8m/s2 와 7.90m/s2 의 비는 약 1.24이다. 이 비율의 값을 45도 2단 1차시, 수평도달거리의 참값과 최고높이의 측정값에 각각 곱해보면, 84.346 -> 104.59 / 30.611 -> 37.958
이 되어, 참값과 측정값이 더욱 근사한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번 실험의 목적은 평면상의 등속도 운동과 수직 방향의 등가속도 운동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포물선 운동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것이었는데, 우리 조의 실험에서는 X방향으로 등속도 운동이 아닌 등가속도 운동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그 목적 달성을 완벽히 이루지는 못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때 발생한 가속도의 절대값이 매우 적어 무시 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캡쳐된 그림과 그래프로 볼때,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쏘아진 물체가 포물선 운동을 하는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