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합교육의 정의
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배경
3.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조성
4. 함께하는 분위기 조성
5. 통합교육계획
6. 일일, 주간, 연간 교육계획안 진행표
7. 결 론
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배경
3. 통합교육을 위한 환경조성
4. 함께하는 분위기 조성
5. 통합교육계획
6. 일일, 주간, 연간 교육계획안 진행표
7. 결 론
본문내용
21-26
크리스마스
*12/25 겨울가정학습기간 시작
*통합반회의
1
1-2주
12/28-1/16
겨울가정
학습기간
*교실청소
*다음학기 준비
*대상아동 및 유치원선정
3주
1/18-23
민속놀이
*1/18 개학
*통합반회의
4주
1/25-30
국민학교에 가려면
*1/25, 29 6차 부모 참관 수업
2
1주
2/1-6
국민학교에 가려면
*2/1-5 6차 부모상담
*2/1-5 4차 평가
*통합반회의
2주
2/8-13
졸업
*2/12 수료식
3-4주
2/15-
*금년도 통합지원 학교 최종마무리
*입학전 부모교육
*새학기준비
*통합반회의
- 평가 기록
소그룹 활동 내에서 이룰 수 있는 각 장애 학생의 개별 목표 성취여부를 통합지원활동 및 관찰기록표의 결과란에 기록한다. ‘통합지원 활동 및 관찰기록표’는 활동내용, 그 활동에서 이룰 수 있는 장애 학생의 목표에 대한 평가항목, 그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 참여했던 일반 학생들의 반응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일반학교에서의 장애 유아의 행동이나 일반 학생들의 반응을 일반 교사가 기록하는 란이 있다.
적응도 변화 평가는 연 3회 정도 초기 관찰시 사용되어졌던 하루일과에 따른 평가표에 다른 색의 펜으로 덧붙여 기록하며 관찰한다. 이를 통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장애 학생의 일반 학교(학급)에서의 적극 도와 활동 참여도 등을 평가한다.
7. 결 론
우리나라 특수교육도 이제 본격적으로 통합교육이 시행되는 시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장애학생의 특별한 요구들을 충족시키면서 그들이 공동사회의 일원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운영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며, 특수교육 요구 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있다.
오류를 최소화하는 수많은 노력들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바로 단위 학교를 관리하는 학교 행정가들의 역할이다. 이들의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 따라 많은 것들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장애를 문제로 보지 않고 하나의 개성으로 보고, 이들의 개성을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을 바라볼 수 있다면 장애유아 및 학생의 통합교육은 보다 성공적일 수 있을 것이다.
크리스마스
*12/25 겨울가정학습기간 시작
*통합반회의
1
1-2주
12/28-1/16
겨울가정
학습기간
*교실청소
*다음학기 준비
*대상아동 및 유치원선정
3주
1/18-23
민속놀이
*1/18 개학
*통합반회의
4주
1/25-30
국민학교에 가려면
*1/25, 29 6차 부모 참관 수업
2
1주
2/1-6
국민학교에 가려면
*2/1-5 6차 부모상담
*2/1-5 4차 평가
*통합반회의
2주
2/8-13
졸업
*2/12 수료식
3-4주
2/15-
*금년도 통합지원 학교 최종마무리
*입학전 부모교육
*새학기준비
*통합반회의
- 평가 기록
소그룹 활동 내에서 이룰 수 있는 각 장애 학생의 개별 목표 성취여부를 통합지원활동 및 관찰기록표의 결과란에 기록한다. ‘통합지원 활동 및 관찰기록표’는 활동내용, 그 활동에서 이룰 수 있는 장애 학생의 목표에 대한 평가항목, 그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 참여했던 일반 학생들의 반응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지막으로 일반학교에서의 장애 유아의 행동이나 일반 학생들의 반응을 일반 교사가 기록하는 란이 있다.
적응도 변화 평가는 연 3회 정도 초기 관찰시 사용되어졌던 하루일과에 따른 평가표에 다른 색의 펜으로 덧붙여 기록하며 관찰한다. 이를 통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함께 장애 학생의 일반 학교(학급)에서의 적극 도와 활동 참여도 등을 평가한다.
7. 결 론
우리나라 특수교육도 이제 본격적으로 통합교육이 시행되는 시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장애학생의 특별한 요구들을 충족시키면서 그들이 공동사회의 일원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운영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 실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며, 특수교육 요구 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통합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있다.
오류를 최소화하는 수많은 노력들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바로 단위 학교를 관리하는 학교 행정가들의 역할이다. 이들의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 따라 많은 것들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장애를 문제로 보지 않고 하나의 개성으로 보고, 이들의 개성을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을 바라볼 수 있다면 장애유아 및 학생의 통합교육은 보다 성공적일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