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논문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과 특성
2. 본론-논문 내용 요약
3. 결론-논문에 대한 평가 및 나의 생각
참 고 문 헌
2. 본론-논문 내용 요약
3. 결론-논문에 대한 평가 및 나의 생각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
그 이유는 첫째로, 작품 특성에 있다.
보통의 고전소설은 여러 종류의 소설이 있다. 예를 들면 판소리계 소설, 귀족적 영웅소설 (창작군담), 서민적 영웅소설 (역사군담), 가정소설, 애정소설, 몽유소설, 세태풍자소설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설이라는 장르가 시대적 상황을 조금씩이라도 반영하는 것은 많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사를 소설의 완전한 기본배경으로 삼는 「임경업전」같은 역사군담 소설은 작품의 특성상 그 시대를 고스란히 반영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필자가 됐든 수용자가 됐든 그 시대의 상황적 특징과 그 당시 민중의 세계관을 반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 이 논문의 필자가 「임경업전」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은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임경업이라는 인물을 대표적으로 해서 대의명분을 추구하는 척화파와 실리를 추구하는 주화파의 갈등에서 주화파 쪽으로 대세가 기우는 것은 역사적 사실로써 작품을 통해 세계관을 판단하고 진실성을 부여하는데 큰 힘이 된다.
둘째로, 여러 이본(異本)을 통한 통합적인 해석방법이다.
진실이든 거짓이든 작품상에서 임경업은 존명배청론자였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을 상대로 대항을 한다. 하지만 거기에서 결국은 패하게 되고 결국 청에게 굴복하게 된다. 그래서 여러 학자들은 이 사실에 대해 스스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 「임경업전」을 저술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필자는 「임경업전」에 대한 많이 이본들 중 대표작을 선택해 작품속에서의 세계관을 분석하고 있다. 원본만을 분석하고 판단함으로 인해서 자칫 객관성을 전혀 확보하지 못한 채 자신의 주관으로만 빠질 수 있는 상황을 이본을 동시에 분석함으로 그 점을 보완했다는 것이다. 논문에서 제시한 각 세작품은 물론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점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차이가 당시의 세계관을 분석하는데 큰 실마리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여러 세계관을 통합함으로 인해 당시의 세계관을 한가지로 결론짓고 맹신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대표적인 이본을 통해 거기에 나타난 세계관을 해석하는 방법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괄목할 만 할 것이다.
결국 필자의 생각과 필자가 주장하는 「임경업전」전에서 나타난 세계관은 다시 말하면 단순한 존명배청의식과 같은 헛된 명분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합리적인 실리는 추구하고, 하늘의 뜻을 헤아려 순응하려하는 작품을 통한 당시의 세계관에 대해 나 또한 그것에 충분한 객관성이 있고 설득력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경업전」이라는 작품에 대해서 색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게 그 기회를 제공해준 필자에게 감사함을 표하는 바이다.
참 고 문 헌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1980)
서대석, ‘임경업전 연구’, (「고전소설연구」,(정음사, 1979)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새문사, 1980)
서대석, ‘군담소설의 출현동기 반성’,「한국고전소설」, (계명대출판부, 1980(재판))
김기동,「한국고전소설개론」
그 이유는 첫째로, 작품 특성에 있다.
보통의 고전소설은 여러 종류의 소설이 있다. 예를 들면 판소리계 소설, 귀족적 영웅소설 (창작군담), 서민적 영웅소설 (역사군담), 가정소설, 애정소설, 몽유소설, 세태풍자소설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소설이라는 장르가 시대적 상황을 조금씩이라도 반영하는 것은 많이 볼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사를 소설의 완전한 기본배경으로 삼는 「임경업전」같은 역사군담 소설은 작품의 특성상 그 시대를 고스란히 반영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필자가 됐든 수용자가 됐든 그 시대의 상황적 특징과 그 당시 민중의 세계관을 반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 이 논문의 필자가 「임경업전」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은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임경업이라는 인물을 대표적으로 해서 대의명분을 추구하는 척화파와 실리를 추구하는 주화파의 갈등에서 주화파 쪽으로 대세가 기우는 것은 역사적 사실로써 작품을 통해 세계관을 판단하고 진실성을 부여하는데 큰 힘이 된다.
둘째로, 여러 이본(異本)을 통한 통합적인 해석방법이다.
진실이든 거짓이든 작품상에서 임경업은 존명배청론자였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을 상대로 대항을 한다. 하지만 거기에서 결국은 패하게 되고 결국 청에게 굴복하게 된다. 그래서 여러 학자들은 이 사실에 대해 스스로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 「임경업전」을 저술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필자는 「임경업전」에 대한 많이 이본들 중 대표작을 선택해 작품속에서의 세계관을 분석하고 있다. 원본만을 분석하고 판단함으로 인해서 자칫 객관성을 전혀 확보하지 못한 채 자신의 주관으로만 빠질 수 있는 상황을 이본을 동시에 분석함으로 그 점을 보완했다는 것이다. 논문에서 제시한 각 세작품은 물론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점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차이가 당시의 세계관을 분석하는데 큰 실마리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여러 세계관을 통합함으로 인해 당시의 세계관을 한가지로 결론짓고 맹신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대표적인 이본을 통해 거기에 나타난 세계관을 해석하는 방법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괄목할 만 할 것이다.
결국 필자의 생각과 필자가 주장하는 「임경업전」전에서 나타난 세계관은 다시 말하면 단순한 존명배청의식과 같은 헛된 명분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합리적인 실리는 추구하고, 하늘의 뜻을 헤아려 순응하려하는 작품을 통한 당시의 세계관에 대해 나 또한 그것에 충분한 객관성이 있고 설득력이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경업전」이라는 작품에 대해서 색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게 그 기회를 제공해준 필자에게 감사함을 표하는 바이다.
참 고 문 헌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1980)
서대석, ‘임경업전 연구’, (「고전소설연구」,(정음사, 1979)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새문사, 1980)
서대석, ‘군담소설의 출현동기 반성’,「한국고전소설」, (계명대출판부, 1980(재판))
김기동,「한국고전소설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