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믿자, 그리고 살아가자.
『인간 실격』을 읽고
1. 들어가며: 세상이 주는 두려움
2. 세상에 대한 보호막: 껍데기
3. 두려움에 대한 극복: 껍데기를 벗다
4. 요조, 왜 그는 끝내 껍데기를 벗지 못하였는가
5. 나오며: 우리는 왜 살아야만 하는가
『인간 실격』을 읽고
1. 들어가며: 세상이 주는 두려움
2. 세상에 대한 보호막: 껍데기
3. 두려움에 대한 극복: 껍데기를 벗다
4. 요조, 왜 그는 끝내 껍데기를 벗지 못하였는가
5. 나오며: 우리는 왜 살아야만 하는가
본문내용
야만 한다면, ‘인간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톨스토이 단편선의 제목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요조도 이 질문에 대답하지 못했기에 그토록 고통 받는 삶을 살았을 것이다. 톨스토이의 말을 빌리자면, 인간에게 허락되지 않은 지혜는 ‘자신에게 진정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는 지혜’라고 하였다. 그래서 지혜를 갖지 못한 인간의 삶은 ‘세상은 개인이다’라고 했던 요조의 말처럼 다양한 투쟁의 모습을 띠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인간은 정녕 무엇으로 사는가. 감히 답해보건대, 그것은 ‘믿음’이 아닐까. 물론 그 믿음은 영원한 믿음이라기보다는 언젠가는 깨질 수도 있는 믿음일 것이다. 그렇다면 요조가 사랑했던 사람들이 그를 결국 정신병원에 감금시켰을 때 그가 느꼈을 불신의 밑바닥, 여기에도 과연 믿음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가. 나는 여기서 믿음이 믿음을 낳듯 불신은 결국 불신을 낳는다는 말을 하고 싶다. 그가 절망의 구렁텅이 속에서도 끝내 믿음의 끈을 놓지 않았다면 그는 스스로를 실격시키지 않아도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은 결코 믿을 만한 것이 못되고, 그런 인간이 모여 사는 세상은 더더욱 믿을 수가 없어서 도저히 살아갈 수가 없었다는 그의 생각은 시종일관 그를 믿음보다는 불신으로 인도했다. 그렇게 본다면 끝까지 믿음을 갖지 못한데 대한 절망감과 슬픔이 삶에 대한 일말의 의지마저 앗아가 버림으로서 그로 하여금 인간으로서의 자격을 스스로 박탈하는 극단에까지 이르게 한 것은 아니었을까. 마지막으로 ‘믿자, 그리고 살아가자.’ 라는 두 마디 말로써 이 소설의 우울한 기운을 조금이나마 떨쳐내 보고자 한다.
추천자료
[생명복제][인간배아복제][인간복제][배아복제][생명공학]생명복제의 개념, 생명복제의 역사,...
[휴머니즘][인간주의]휴머니즘(인간주의, 인본주의)과 성리학, 휴머니즘(인간주의, 인본주의)...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성경][인간의 본질][성령][죄][계약][바르트][신학적 인간학][인간 구원][신학]성경에 나타...
[배아][인간배아][배아(인간배아) 지위][배아(인간배아) 인권문제][배아(인간배아) 보호]배아...
[배아][인간배아][배아(인간배아) 인권문제][배아(인간배아) 쟁점]배아(인간배아)의 정의, 배...
[루소][인간불평등기원론][인간불평등기원론을 읽고]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 고찰(루소 중심...
[자아관][인간관][혼인관][자연관][환경관][세계관][역사관][자아][인간][혼인][자연][환경][...
[대인관계(인간관계), 지역사회]지역사회, 가정에서의 대인관계(인간관계), 사이버공간(인터...
[대인관계]대인관계(인간관계)의 의미, 필요성, 대인관계(인간관계)의 형성, 대인관계(인간관...
[루소, 인간불평등기원론, 줄거리, 명제정리, 중심사상, 작품감상]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 ...
[대인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인간관계)의 개념, 중요성, 대인관계(인간관계)의 형성, 성격...
[대인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인간관계)의 정의, 대인관계(인간관계)의 의의, 대인관계(인간...
[대인관계][인간관계][우리관]대인관계(인간관계)의 의미, 대인관계(인간관계)의 형성, 대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