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자연스럽게 집단의식에 물들게 되고, 결국 나치즘과 히틀러를 찬양하도록 감독에 의해 의도된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모순적일 수도 있지만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분명 ‘주관적’이다. 분명 영화 속 장면들은 100% 사실로만 구성되었지만, 감독의 교묘한 촬영기법과 편집은 대중들을 포퓰리즘을 통해 호소하며 철저히 세뇌되도록 만든다. 사실전달과 대중선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정말 충실하게 성공시킨 이 다큐멘터리영화는 앞으로도 더욱 깊이있게 연구할만한 대상인 듯하다. <현기증>은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그리고 그 둘의 혼돈을 가지고 인간내면의 문제를 심도있게 다룬다. 여기에 극적인 요소와 특수한 영화 기법들이 적절하게 어우러져 영화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결핍’ 이라는 요소는 인간이 원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날 수 밖에 없는 약점이다. 이러한 결핍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인간의 몸부림이 결국 영화 속에서 주인공의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두 가지를 종합해 이런 상상을 해본다. <현기증>이 다루고 있는 개인의 무의식과 <의지의 승리>에서 다루고 있는 개인과 집단의 관계를 연결시켜 이른바 ‘집단 무의식’을 다룬 영화를 제작한다면 과연 어떠한 작품이 탄생할까.
추천자료
완영옥과 영화
우리나라 영화심의제도의 특징과 개선방안
Neo realism이 영화사에 미친 영향
보르헤스 픽션의 서술기법-영화기법과 관련해서
한국 블록버스터 영화의 성장 요인 분석과 앞으로의 대비책
[환경 영화] 펭귄, 위대한 모험 (March of the Penguins) 감상문
내 인생의 영화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시장조사론]영화산업 동향분석 및 향후전망 분석(A+리포트)
누벨바그와 누벨바그 영화
정신건강과 관련된 영화 분석문 - 용서받지 못한 자
[영화감상] 브레이브하트(Braveheart)
세계사 교재로서의 역사영화에 대한 고찰
독일의 영화
[A+ 영화감상문]노무현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