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ywood 영화들에 나타난 American dream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ollywood 영화들에 나타난 American dream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American Dream의 정의

Ⅲ. 헐리우드 영화에 나타난 아메리칸 드림
1. 「Far and Away」
- 초창기의 미국: American Dream의 시작
2. 「The Great Gatsby」
- 성공과 야망에 사로잡힌 개인의 몰락
3. 「American Psycho」와「American History X」
- 변질된 미국의 꿈
4. 「American Beauty」
- 미국 중산층 가정의 붕괴

Ⅳ. 결 론

Ⅴ.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친구 앤젤라를 보고 강하게 이끌려 다시 젊어지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는 결국 앤젤라의 순결성을 훼손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비로소 자기 본연의 위치와 정체성을 깨닫고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그가 가장 행복했던 그 순간, 레스터는 자신을 동성애자로 오해한 이웃집남자가 쏜 총에 맞아 죽고 만다.
레스터의 아이러니컬한 죽음은 ‘갈수록 더 젊어지는 나라’라는 미국의 신화가 이제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갈수록 더 젊어지려면, 미국은 부단히 진보주의와 자유주의의 이상을 추구해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자유주의와 더불어 보수주의 전통 또한 대단히 강한 나라이고, 그러다보니 그 두 이념 사이의 갈등과 충돌이 많은 자유주의와 진보주의 지도자들―말콤X, 마틴 루터 킹, 존 F.케네디 등―을 쓰러뜨린 경험이 있다. 미국의 다시 젊어지려는 꿈은 이제 결코 쉽게 이뤄질 수 없는 목표가 되어버린 것이다.
Ⅳ. 결 론
지금까지 총5편의 헐리우드 영화를 살펴보면서 아메리칸 드림이 어떤 식으로 반영되었고,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Far and Away」에서는 초기 개척기, 아메리칸 드림을 가지고 미국에 정착하려한 이민자들의 고통을 알아보고 아메리칸 드림이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The Great Gatsby」에서는 물질주의에 사로잡혀 정신적 가치를 소홀히 한 채 망가져 가는 개인의 삶을 통해 아메리칸 드림이 아메리칸 나이트메어로 바뀌는 과정을 보았다. 「American Psycho」와「American History X」에서는 각각 현대사회에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강박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피폐해진 미국인의 삶과 인종차별 문제로 위기에 처한 미국사회의 모습을 통해 현대사회에 드러난 현대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American Beauty」에서는 백인 중산층 가정의 몰락을 통해 미국 사회가 당면한 가족분열의 문제 그리고 다시 아메리칸 드림의 화려했던 시절로 돌아가고픈 미국인의 소망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헐리우드 영화를 보면서 단순히 영화적 재미만을 느끼고 수용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실제로 우리는 그 영화를 만든 제작자 혹은 미국이라는 나라가 자신들의 영화를 통해서 보여주고자 하는 바 혹은 이데올로기도 같이 수용하고 있다. 단지 그러한 수용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르고 있는 것뿐이다. 헐리우드 영화는 영화라는 영상매체를 생산하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본산지이고 또한 자본의 대부분이 미국에 영속되어있어 그들의 메시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이다. 이것은 서론에서도 언급했듯, 미국에 대한 미디어 문화연구의 자료로서 헐리우드 영화가 손색이 없음을 의미한다. 우리는 극장에서 미국영화를 보면서 당대 미국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들을 접하게 되고, 동시대 미국인들의 사고와 정신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사람들은 미국영화에 대해 이중적인 감정을 보인다. 우리는 미국영화에 대해 재미있다고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거부감을 느낀다. 재미를 느끼는 이유는 미국영화가 잘 만들어졌기 때문이고, 거부감이 느껴지는 이유는 미국영화가 아메리칸 드림과 미국식 민주주의 이념을 해외에 수출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후자일 것이다. 헐리우드 영화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가치관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크고, 그 영화들이 수출되면서 자연스레 아메리칸 드림이나 그들의 이데올로기가 전파될 수 있다. 물론 그들의 전파가 의도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아메리칸 드림이나 미국식 민주주의는 미국이 가장 자랑스럽게 여기는 문화적 유산이다. 특히 아메리칸 드림은 미국적 이상의 총화인 동시에 미국문화가 직면하고 있는 딜레마이기도 하다. 김지석, 「헐리우드영화의 두얼굴: 지배 이데올로기와 환상주의」,『영화연구』Vol.8 No.1, 1991, p.63.
이들은 미국이라는 나라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각인시킬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아메리칸 나이트메어’를 보여주는 영화를 통해 부정적 이미지를 전파시킬 수도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헐리우드 영화에서 미국인들은 자신들의 아메리칸 드림이 결코 수정되거나 변화될 수 없다는 수구적 개념으로 보고 있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의 영화에서 현재 그들이 처한 문제에 대해 고민할 수 있었고, 미국이라는 나라가 왜 특별한지에 대한 대답도 어느 정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서론에서 밝혔듯,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쉽지 않다. 미국인들이 느낄 미국의 특별함과 타자가 느낄 미국의 특별함은 분명 다를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더욱 의미를 지니는 것은 미국인들이 느끼는 그들의 특별함이다. 그들은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가치관을 통해 국가의 발전을 이룩했다. 비록 그 과정에서 인종문제, 사회문제 등의 문제점들이 노출되긴 했으나 그들은 여전히 발전하고 있다. 아메리칸 드림이 시대에 따라 변해갔듯 미국도 거기에 맞춰 변화해 갈 것이다. 그들의 ‘특별함’은 이러한 변화에의 유연성, 그리고 끊임없는 도전정신에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이것을 움직이는 힘은 곧 ‘미국인들의 꿈’일 것이다.
Ⅴ. 참 고 문 헌
- 논문 -
김지석, 「헐리우드영화의 두얼굴: 지배 이데올로기와 환상주의」,『영화연구』Vol.8 No.1, 1991.
김성곤, 「미디어 문화연구를 통한 미국연구」,『국제·지역연구 10권 3호 가을』, 2001.
이윤주, 「미국의 가족구조 변화 및 이혼에 따른 어린이 양육 문제와 대책」,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Vol.2004 No.2, 2004.
조찬수, 「노동 없는 복지정치와 미국 예외주의」, 『아세아연구 통권 124호』, 2006.
- 단행본 -
기 소르망, 조윤경 역,『Made in USA』, 서울: 문학세계사, 2004.
손영호,『마이너리티 역사 혹은 자유의 여신상』, 서울: 살림, 2003.
오치 미치오 외, 김영철 편역, 『마이너리티의 헐리웃』, 서울: 한울, 1993.
자끄 오몽·미셸 마리 공저, 전수일 역, 『영화분석의 패러다임』, 서울: 현대미학사, 1999.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2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