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겐소(Hans. J. Morgenthau)의 국제정치이론과 철학적 배경에 대해 논하시오.
2. 투키디데스(Thucydides)가 암시한 국제정치이론은 무엇인가?
3. 지정학 이론에 대해 약술하시오.
4. 국제관계에 있어 Hegel과 Clausewitz를 비교하시오.
5. 투키디데스(Thucydides)가 말한 전쟁원인에 대해 약술하시오.
2. 투키디데스(Thucydides)가 암시한 국제정치이론은 무엇인가?
3. 지정학 이론에 대해 약술하시오.
4. 국제관계에 있어 Hegel과 Clausewitz를 비교하시오.
5. 투키디데스(Thucydides)가 말한 전쟁원인에 대해 약술하시오.
본문내용
능을 뛰어넘었을 때 가능해진다. 공포에 사로잡힌 개인이나 집단이 다른 사람이나 다른 집단을 공격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공포만으로도 전쟁이 가능할까? ‘쥐새끼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공포에 의한 극단적 행동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제로 인류 역사에도 이와 관련된 사건이 존재한다. 태평양 전쟁 당시 가미가제나 이라크나 팔레스타인에서의 자살 폭탄 테러의 경우 쥐가 고양이를 문 사건으로 볼 수도 있다. 거대한 적에 대한 극단적인 공포가 스스로를 파괴해서라도 적을 공격하려는 행동을 야기했다고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 이런 사태의 거시적인 상황과 조건은 공포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사태에 참여한 개개의 행위자들을 관찰해보면 공포 이상의 것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웃는다. 때론 비장한 표정을 짓는다. 가족과 국가에 대한 사명감으로 무장했다. 공포에 사로잡혀 안절부절 못하는 무능하고 나약한 존재가 아니다. 두려워하는 대상과 전쟁을 벌일 수는 없다. 전쟁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에 나섰다고 했을 때는 무엇이 그들을 전쟁으로 내몰았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전쟁을 피하려고 하지 않고 전쟁에 나선 것은 자신의 힘과 전쟁의 양상을 낙관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스파르타는 예전의 전쟁처럼 수확기에 아테네를 포위하고 농경지를 불태우며 무력시위를 하면 아테네가 쉽게 항복하리라 생각했다. 스파르타인들에게는 강한 육군력과 전술에 대한 낙관적 기대가 있었다. 반대로 아테네는 방벽 뒤로 숨어 농성전을 하면서 강한 해군력을 활용하여 펠로폰네소스의 해안 도시를 습격하면 스파르타가 돌아가리라 생각했다. 아테네 역시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 군림하면서 축적한 부와 강한 함대, 식민 도시의 지원, 전술에 대해 낙관적 믿음을 가졌다. 낙관주의가 비이성적 판단을 하게 만들고 전쟁을 시작하게 한다. 전쟁의 분위기는 공포에 의해 조성되고, 낙관주의가 전쟁의 방아쇠를 당긴다. 공포는 전쟁을 원하는 낙관주의적 지배층이 전쟁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효과적인 대중동원 전략이다. 공포는 낙관주의로 이르기 위한 과정일 뿐이다. ‘무서운 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길 수 있다.’ 집단의 구성원들을 살육의 광기로 무장시키는 것은 낙관주의의 몫이다.
참고문헌
투키디데스 지음 박광순 옮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1993/2008 6쇄 범우사)
스파르타는 예전의 전쟁처럼 수확기에 아테네를 포위하고 농경지를 불태우며 무력시위를 하면 아테네가 쉽게 항복하리라 생각했다. 스파르타인들에게는 강한 육군력과 전술에 대한 낙관적 기대가 있었다. 반대로 아테네는 방벽 뒤로 숨어 농성전을 하면서 강한 해군력을 활용하여 펠로폰네소스의 해안 도시를 습격하면 스파르타가 돌아가리라 생각했다. 아테네 역시 델로스 동맹의 맹주로 군림하면서 축적한 부와 강한 함대, 식민 도시의 지원, 전술에 대해 낙관적 믿음을 가졌다. 낙관주의가 비이성적 판단을 하게 만들고 전쟁을 시작하게 한다. 전쟁의 분위기는 공포에 의해 조성되고, 낙관주의가 전쟁의 방아쇠를 당긴다. 공포는 전쟁을 원하는 낙관주의적 지배층이 전쟁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효과적인 대중동원 전략이다. 공포는 낙관주의로 이르기 위한 과정일 뿐이다. ‘무서운 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길 수 있다.’ 집단의 구성원들을 살육의 광기로 무장시키는 것은 낙관주의의 몫이다.
참고문헌
투키디데스 지음 박광순 옮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1993/2008 6쇄 범우사)
추천자료
한국의 국제정치사상 - 20세기 한국 민족주의의 흐름
[국제정치학]9.11 테러이후 미일동맹의 변천과정과 향후전망
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
다국적 기업과 국제정치경제
[국제정치]세기전환기 한반도 주변정세와 내부동향 비교 분석
1945년 ~ 1960년까지 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의 변화
1945년부터 1960년까지 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의 변화
21세기 국제정치와 남북관계의 이해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의 국제정치와 한국
동북아 국제정치 (중국의 핵 태도의 수수께끼, 국내와 조직의 구속, 핵무기와 핵공격, 중국 ...
환경문제와 국제정치
KCU_스파이와 국제정치_시험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