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전류전압계의 각부명칭
3. 실험기구
4. 실험 방법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2. 전류전압계의 각부명칭
3. 실험기구
4. 실험 방법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본문내용
1의 입력 파형과 CH2의 입력 파형의 합 및 차의 신호를 그릴 수 있는 단자임. 이 스위치를 누르면 두 신호의 합이 나타나고, 찬의 신호를 보려면 이 스위치를 누르고 CH2의
POSITION단자를 당김
⑥VOLT/DIV
수직입력 신호를 감쇄하는 단자 , VOLT/DIV의 제시치는 형광면의 수직 편향의 매눈금에
해당하는 전압을 결정
⑦AC-GND-DC
이 단자는 수직입력 절환 스위치로써 AC의 경우, 입력 단자 콘덴서가 삽입되어 입력 신호 중 직류성분이 제거되고 교류 성분만이 관측됨
DC의 경우 입력단자가 직접 스코프에 직결되어 제거되는 성분 없이 모두 입력되며, GND의 경우 입력단자는 개방되고 내부증폭기의 입력은 Ground가 영점 조정시 사용됨
⑧INPUT
수직 입력신호 연결용 BNC 컨넥터
⑨HOLD-OFF
이것은 소인이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제어하여 소인의 반복 주기를
관측하는 신호의 반복주기와 맞춤으로 파형을 정지시키는 것임
SWEEP MODE
소인(SWEEP)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
- AUTO
오토모드로써 오실로스코프에 가해지는 입력의 트리거신호가 없을 경우, 형광면 상에는 아무런 파형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측정자의 입장에서는, 파형의 위치나 크기를 잘못 추측한 건지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 모드는 스코프에 가해지는 파형이 없더라도 프리러닝(Free running)하도록 하는 모드이죠. 주파수 50㎐이하의 신호에서도 같은 동작을 합니다.
- NORM
AUTO MODE와는 달리 트리거신호가 없으면 파형은 나타나지 않는 모드입니다.
주로 50㎐이하의 반복신호의 관측에 사용됩니다.
- SINGLE(PUSH TO RESET)
단발 펄스 등과 같이 1회만 발생하는 현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관측할 때 사용됩니다. RESET되기 전까지는 소인회로는 한번만 소인 됩니다. 반복적으로 단 소인하기 위해서는 RESET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합니다.
POSITION
궤적(trace)의 수평위치를 조정합니다.
궤적의 형광점은 면을 중앙을 차지하도록 합니다. 이 스위치를 앞으로 당기면 수평 증폭기의 GAIN이 10배로 되면 CRT 관면 소인을 10배로 확대됩니다.
HORIZONTAL MODE
- A
주소인, 즉 A 소인 모드로 동작합니다.
- A INT
A 소인 파형을 확대하거나 부분을 선택할 경우 사용됩니다.A소인에 대해서 B 소인부를 밝게 표시합니다.
-B
지연소인인 B 소인만 표시합니다. 지연소인은 주로 복잡한파형의 일부를 형광면에서 확대하고 그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입니다.
TIME/DIV
파형주기를 변화시킵니다
VOLT/DIV
수직입력 신호를 감쇄하는 단자입니다.
VOLT/DIV의 제시치는 형광면의 수직 편향의 매눈금에 해당하는 전압을 결정합니다.
펑션 제너레이터는 넓은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출력 파형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하고도 만능인 계기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출력 파형은 정현, 구형, 삼각, 램프, 펄스파형 이죠. 주파수범위는 보통 수분의 1㎐에서 수백㎑까지 입니다. 이들 정형, 구형, 삼각파는 실험이나 측정에 있어서 기본파형 입니다.
FREQUENCY
이 노브는 RANGE 노브와 조합되어 사용되는데 출력파의 주파수의 유효 숫자 범위로 보면 됩니다. 범위는 1∼10까지로 되어있는데 예를 들어 이 노브가 3을 가르키고 RANGE 노브가 ×10을 가리킨다면 3×10=30㎐ 주파수의 파형이 출력됩니다.
AMPLITUDE
다음 그림에서 보듯 교류신호의 주요한 성분으로는 주파수와 진폭을 들 수 있습니다.
이 AMPLITUDE 노브는 진폭을 변화하는 단자로서 정현파와 구형파는 0-8Vp-p 삼각파는 0-6Vp-p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POSITION단자를 당김
⑥VOLT/DIV
수직입력 신호를 감쇄하는 단자 , VOLT/DIV의 제시치는 형광면의 수직 편향의 매눈금에
해당하는 전압을 결정
⑦AC-GND-DC
이 단자는 수직입력 절환 스위치로써 AC의 경우, 입력 단자 콘덴서가 삽입되어 입력 신호 중 직류성분이 제거되고 교류 성분만이 관측됨
DC의 경우 입력단자가 직접 스코프에 직결되어 제거되는 성분 없이 모두 입력되며, GND의 경우 입력단자는 개방되고 내부증폭기의 입력은 Ground가 영점 조정시 사용됨
⑧INPUT
수직 입력신호 연결용 BNC 컨넥터
⑨HOLD-OFF
이것은 소인이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제어하여 소인의 반복 주기를
관측하는 신호의 반복주기와 맞춤으로 파형을 정지시키는 것임
SWEEP MODE
소인(SWEEP)방식을 선택하는 스위치
- AUTO
오토모드로써 오실로스코프에 가해지는 입력의 트리거신호가 없을 경우, 형광면 상에는 아무런 파형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측정자의 입장에서는, 파형의 위치나 크기를 잘못 추측한 건지 곤란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 모드는 스코프에 가해지는 파형이 없더라도 프리러닝(Free running)하도록 하는 모드이죠. 주파수 50㎐이하의 신호에서도 같은 동작을 합니다.
- NORM
AUTO MODE와는 달리 트리거신호가 없으면 파형은 나타나지 않는 모드입니다.
주로 50㎐이하의 반복신호의 관측에 사용됩니다.
- SINGLE(PUSH TO RESET)
단발 펄스 등과 같이 1회만 발생하는 현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를 관측할 때 사용됩니다. RESET되기 전까지는 소인회로는 한번만 소인 됩니다. 반복적으로 단 소인하기 위해서는 RESET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합니다.
POSITION
궤적(trace)의 수평위치를 조정합니다.
궤적의 형광점은 면을 중앙을 차지하도록 합니다. 이 스위치를 앞으로 당기면 수평 증폭기의 GAIN이 10배로 되면 CRT 관면 소인을 10배로 확대됩니다.
HORIZONTAL MODE
- A
주소인, 즉 A 소인 모드로 동작합니다.
- A INT
A 소인 파형을 확대하거나 부분을 선택할 경우 사용됩니다.A소인에 대해서 B 소인부를 밝게 표시합니다.
-B
지연소인인 B 소인만 표시합니다. 지연소인은 주로 복잡한파형의 일부를 형광면에서 확대하고 그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입니다.
TIME/DIV
파형주기를 변화시킵니다
VOLT/DIV
수직입력 신호를 감쇄하는 단자입니다.
VOLT/DIV의 제시치는 형광면의 수직 편향의 매눈금에 해당하는 전압을 결정합니다.
펑션 제너레이터는 넓은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출력 파형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하고도 만능인 계기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출력 파형은 정현, 구형, 삼각, 램프, 펄스파형 이죠. 주파수범위는 보통 수분의 1㎐에서 수백㎑까지 입니다. 이들 정형, 구형, 삼각파는 실험이나 측정에 있어서 기본파형 입니다.
FREQUENCY
이 노브는 RANGE 노브와 조합되어 사용되는데 출력파의 주파수의 유효 숫자 범위로 보면 됩니다. 범위는 1∼10까지로 되어있는데 예를 들어 이 노브가 3을 가르키고 RANGE 노브가 ×10을 가리킨다면 3×10=30㎐ 주파수의 파형이 출력됩니다.
AMPLITUDE
다음 그림에서 보듯 교류신호의 주요한 성분으로는 주파수와 진폭을 들 수 있습니다.
이 AMPLITUDE 노브는 진폭을 변화하는 단자로서 정현파와 구형파는 0-8Vp-p 삼각파는 0-6Vp-p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추천자료
Hare 장치에 의한 액체의 밀도 측정 예비레포트
타이머 카운터 인터럽트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7세그먼트 LED 응용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borda 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예비레포트
포도주의 알코올 함량 분석 (예비레포트)
용량기 검정 및 액체의 밀도 예비레포트
★ 정밀화학제조실험 - 메틸오렌지의 합성 예비레포트 (최종)
★ 정밀화학제조실험 - 초산에틸의 합성 예비레포트(최종)
★ 정밀화학제조실험 - 아스피린의 제조 예비레포트 (최종)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UV흡착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기체상수결정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평형상수결정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TMD,TLD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pid 설계(예비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