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구비문학의이해 5장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구비문학의이해 5장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란?
2. 판소리의 전개와 변모
3. 판소리의 유파와 명창
4. 판소리의 주제와 미학
5. 판소리의 현대적 수용

본문내용

는 조선후기의 정치현실을 우화적으로 풍자한 작품으로, 권력은 없지만 지혜가 있는 토끼로 대변되는 민중층과, 탐욕적이고 부도덕한 용왕, 고지식한 별주부 등을 그리고 있다. 토기전은 초기에는 지배층 풍자를 위주로 발랄한 서민의식을 강조하였으나, 후대로 가면서 골계적 요소를 강조하며 별주부의 충(忠)을 강조하는 쪽으로 내용의 변개를 이룬다.
적벽가는 원래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 가운데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조조의 화용도 피난까지의 줄거리를 차용하여, 서민의 입장에서 새롭게 개작한 정치풍자 작품이다. 전쟁의 웅혼한 기상을 전하는 대목에서는 빠른 장단에 웅장하고 씩씩한 우조 및 호령조를 사용하여 남성적 기상을 강조하며, 서민 구산의 서러움은 느린 장단의 서름조로 표현하여 판소리의 묘미를 살리고 있다. 수궁가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서민의 입장에서 민중의 한과 전쟁혐오를 보여줬으나, 후대로 가면서는 충의를 노래하는 영웅들의 이야기쪽으로 선회하였다.
한편 실전판소리인 변강쇠가, 배비장타령, 강릉매화타령, 옹고집전, 장끼전, 왈짜타령, 가짜신선타령은 판소리 향유층이 양반층에게까지 확대되는 과정에서 양반층의 감성과 미의식에 적합하지 않아 탈락하게 되었다. 즉 이 일곱 작품은 철저하게 세속적 욕망의 세계를 그려내거나, 양반층 주인공의 지나친 타락과 음탕함을 그리고 있어, 양반층에게 수용되기 힘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실전판소리는 판소리로는 명맥이 끊겼으나, 그 내용이 사설집이나 소설로 전이되어 남아 있다.
5. 판소리의 현대적 수용
1) 창작판소리
<열사가>의 전통 이래, 창작 판소리는 변화하는 시대의 목습과 변혁적 요구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으로 발생한 것이다. 20세기 후반, 전통 판소리를 사회 변혁 운동의 도구로 삼고자하여 새롭게 판소리를 만든 사람은 임진택으로, 김지하의 담시 <오적>, <소리내력>, <똥바다> 등을 판소리로 짜서 불렀다. 그는 7-80년대 암울한 시대를 사실적으로 그리며 부도덕한 지배층을 신랄하게 풍자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판소리를 불렀다.
2) 창극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고전<오대가>를 바탕으로 규격화하여 레파토리화한 창극이 만들어졌다. 창극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전의 모습을 정형화하여 보조해야하는 입장과 현대감각에 맞게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과의 갈등이 일어났다. 또한 고전의 형식을 빌려 현대의 소재를 내용으로 담는 창극도 만들어졌는데 최인훈의 고전 패러디가 대표적이다.
80년대 이래 인기를 끌고 있는 마당놀이 형식은 창극과 어떤 면에서는 닮아 있으나, 마당놀이가 창극보다 좀더 속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마당놀이는 발성 등에서 서양 뮤지컬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고전적인 소재를 취하면서도 현대의 맥락에서 적절히 재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유행을 따르고 상업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새로운 판소리 시대를 맞이하여 판소리와 창극이 현대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용인하되, 시적 율격과 판소리적 관습에 맞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노랫말과 동작은 이면에 맞게, 전통의 방식을 면밀히 확인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2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