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인 재활
2. 시설 중심의 재활접근법(institutional based rehabilitation)
3.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접근법(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4. 시설중심재활과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장단점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2. 시설 중심의 재활접근법(institutional based rehabilitation)
3. 지역사회 중심의 재활접근법(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4. 시설중심재활과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장단점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와 통합적인 서비스의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첫째, CBR 전담요원은 장애인과 가족 및 지역사회 주민, 단체에게 직접적인 서비스 전달방법을 전수·교육하고 자문·지도하여 재활요원화하고 지역사회 토착지도자나 유력 인사들에게 지역사회 내에서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간접적 서비스에 더욱 주력하여야 한다. 둘째, 재택 장애인의 복잡·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종합사회복지관, 보건소, 병원, 자원봉사센터, 사설기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조정할 수 있는 주체로서 기간 상호간 협의체를 구성하여 한다. 셋째, 2002년부터 전국 16개 시·도 중 1 개구에 시범적으로 실시되는 "지역복지협의체"를 적극 활용하여 CBR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자료 공유와 전산화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서비스대상자를 진단하고 사정하며, 공동으로 사례관리를 실시하도록 한다. 넷째, 정부부처간 협력체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고, 장애인문제에 대한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립재활원 (2001).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이해와 보건소 업무지침. 서울: 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2001). 2000년 사업보고서 및 2001년 사업계획서. 서울: 국립재활원.
김완호 (2001). 보건의료 시스템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127-141.
이명성 (2001). 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현황과 과제. 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142-159.
참고문헌
국립재활원 (2001). 지역사회중심재활의 이해와 보건소 업무지침. 서울: 국립재활원.
국립재활원 (2001). 2000년 사업보고서 및 2001년 사업계획서. 서울: 국립재활원.
김완호 (2001). 보건의료 시스템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127-141.
이명성 (2001). 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의 현황과 과제. 제9회 RI Korea 재활대회. 142-159.
추천자료
중증요양시설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재활관리
(장애인복지론)재활공학
[장애인 재활] 치료 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의 개념과 발달과정 및 목적과 기법 분석
장애인 복지법, 장애인 고용촉진법, 직업재활법, 장애인운동, 장애인차별 금지법 각각 분석
정신지체 장애인 고용실태와 직업재활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정신지체 장애인의 고용활성...
[시각장애인][시각장애]시각장애인의 현황,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현황, 시각장애인의 유망직...
정신지체 장애인의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집단발표보고서
장애인 직업재활 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작성.
[내부장애, 내부장애 정의, 신장장애, 심장장애, 직업재활, 내부장애인, 장애인, 내부기관장...
정신질환자(정신장애인)와 만성중증정신질환자, 정신질환자(정신장애인)와 재활프로그램, 정...
[장애인복지론] 언어재활 영역에 대해 설명하시오 (언어재활 영역)
[복지국가론] 장애인 복지 정책의 모든 것 - 장애인 복지정책 분석, 장애인연금, 장애인 고용...
[장애인복지] 중증장애인(직업재활)의 최저임금 문제, 보충급여 도입 추진방안 필요성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