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로그램 분류방법
◎ 분야별 자원봉사 프로그램 종류
◎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의 종류와 내용
◎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활동 영역
◎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봉사활동
◎ 분야별 자원봉사 프로그램 종류
◎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의 종류와 내용
◎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활동 영역
◎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봉사활동
본문내용
아서 보조요원이 협조하지 않으면 의료검진 자체가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의료검진시 처음 이동보조에서부터, 붙들어 준다든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통역 등 진료가 끝날 때까지 많은 손길이 요구된다.
② 재활 치료 보조
자원봉사자가 할 수 있는 재활치료 보조는 장애인의 하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장애인을 바르게 세워 주는 것이나 보장구를 채워 걷는 훈련시에 이를 보조하거나, 혹은 보행기에 의지하여 걸어볼 수 있게 하고, 팔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바퀴를 돌리는 연습을 시키는 등 간단한 물리치료 분야에서 봉사할 수 있다.
③ 특정 기능훈련 보조
잔존기능을 개발, 훈련하여 장애기능을 보충하거나 보장구를 사용하여 그 기능을 보완하도록 하는 것 등이다.
◎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활동 영역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주요 활동 영역은 정신보건센터, 낮병원, 사회복지시설, 정신요양시설, 지역사회복지관과 정신건강상담소 등이다. 이러한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주요 서비스로는 심리 사회적 문제의 해결, 경제적 문제의 해결, 지역사회 자원의 동원 및 연계사업, 사회복귀 및 재활과제의 해결, 교육 및 연구조사, 자원봉사의 조직과 관리, 팀 접근을 위한 과제수행, 기관행정 및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원칙적으로 가까운 지역사회에서부터 정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이 생활하는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을 때 오가는 소요시간을 아낄 수 있고 지역주민과 자주 대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가장 효과적이며, ‘더불어 사는 공동체’ 만들기에 공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상당 부분의 몫이 시청이나 구청 등의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주민의 자치능력에 분담되고 있다. 부민이 자치적으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지가 지방자치의 중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투어 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것은 지방자치의 원칙에도 부합되기 때문이다.
자원봉사자는 봉사활동을 하는 동안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지역사회를 돕고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 공동체의 소속감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의미를 몸소 체험하게 된다. 나아가 봉사활동을 통해 활동범위를 확대시켜 나감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면 보다 건전하고 성숙한 문화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연생태계와 공동체 속에서 직접 체험을 통해 세대간의 형평성, 지역사회의 공동체 회복, 수평적이고 쌍방적인 의사소통구조의 형성을 위한 개개인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자각을 높일 수 있다.
자원봉사 활동은 그 밖에 다른 영역에서도 많이 시행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해서 장애인과 정신보건 부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자원봉사 기관에 의해서 실시되는 사업 및 활동의 경우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실태에서 다루었으므로 다루지 않았다.
앞으로의 자원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거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체계적인 자원봉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② 재활 치료 보조
자원봉사자가 할 수 있는 재활치료 보조는 장애인의 하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장애인을 바르게 세워 주는 것이나 보장구를 채워 걷는 훈련시에 이를 보조하거나, 혹은 보행기에 의지하여 걸어볼 수 있게 하고, 팔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바퀴를 돌리는 연습을 시키는 등 간단한 물리치료 분야에서 봉사할 수 있다.
③ 특정 기능훈련 보조
잔존기능을 개발, 훈련하여 장애기능을 보충하거나 보장구를 사용하여 그 기능을 보완하도록 하는 것 등이다.
◎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활동 영역
정신보건 자원봉사의 주요 활동 영역은 정신보건센터, 낮병원, 사회복지시설, 정신요양시설, 지역사회복지관과 정신건강상담소 등이다. 이러한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주요 서비스로는 심리 사회적 문제의 해결, 경제적 문제의 해결, 지역사회 자원의 동원 및 연계사업, 사회복귀 및 재활과제의 해결, 교육 및 연구조사, 자원봉사의 조직과 관리, 팀 접근을 위한 과제수행, 기관행정 및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자원봉사활동은 원칙적으로 가까운 지역사회에서부터 정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자원봉사활동은 자신이 생활하는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을 때 오가는 소요시간을 아낄 수 있고 지역주민과 자주 대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가장 효과적이며, ‘더불어 사는 공동체’ 만들기에 공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상당 부분의 몫이 시청이나 구청 등의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주민의 자치능력에 분담되고 있다. 부민이 자치적으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공동체를 만들 수 있는지가 지방자치의 중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투어 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것은 지방자치의 원칙에도 부합되기 때문이다.
자원봉사자는 봉사활동을 하는 동안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지역사회를 돕고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 공동체의 소속감을 새롭게 인식하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의미를 몸소 체험하게 된다. 나아가 봉사활동을 통해 활동범위를 확대시켜 나감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면 보다 건전하고 성숙한 문화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연생태계와 공동체 속에서 직접 체험을 통해 세대간의 형평성, 지역사회의 공동체 회복, 수평적이고 쌍방적인 의사소통구조의 형성을 위한 개개인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자각을 높일 수 있다.
자원봉사 활동은 그 밖에 다른 영역에서도 많이 시행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해서 장애인과 정신보건 부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자원봉사 기관에 의해서 실시되는 사업 및 활동의 경우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실태에서 다루었으므로 다루지 않았다.
앞으로의 자원 봉사활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거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체계적인 자원봉사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부산국제영화제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
(프로포절) APEC 정상회의 자원봉사 교육프로그램
(프로포절) 자원봉사의 본래적의미를 살리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램 명 : D.I.Y. 자봉(Do I...
프로포절(시설 정신지체 장애우들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을 위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홍보전략 및 모집방안(모집형태, 홍보방법과 전략, 프로그램 관리 방안 등)
[프로포절] 청소년 자원봉사 활성화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서 - 청소년 자원봉사를 통한 효사랑
은퇴 교사의 자원봉사와 무학 노인을 위한 검정고시 프로그램 - 끝나지 않은 나의 꿈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서 작성
자원봉사자 홍보전략 및 모집방안(모집형태, 홍보방법과 전략, 프로그램 관리 방안 등)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 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 프로그램개발 7단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요약정리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