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기구 및 재료
3. 실험방법
4. 주의사항
5. 시험결과 및 정리
6. 시험결과 분석
7. 토의
8.참고 문헌
2. 기구 및 재료
3. 실험방법
4. 주의사항
5. 시험결과 및 정리
6. 시험결과 분석
7. 토의
8.참고 문헌
본문내용
물을 부어 흙을 분석하기 때문에 오차가 될 수 있는 물과 소량의 흙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게 주의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시험 중 약간은 흙을 물이 체를 넘쳐 약간의 흙을 소실하였다. 이런 점이 오차를 나게 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이 대부분의 흙이 Pan~#100 체 사이의 흙으로 판단되며, 이런 실수 때문에 결과 값보다 실제로는 세립 질 흙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간단한 시험이었지만 시간 부족과 장비부족으로 비중계 분석을 못한 것이 아쉬움이 남는다.
▶ 비중계분석 시험
체분석시험도 중요하지만 흙댐공사에 있어 중요한 No.200체 이하의 흙을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시험이었다. 전반적으로 시험시 비중을 읽을 때의 오차, 유효길이 측정시의 오차등을 제외하고는 보다 정확한 시험이다.
체분석곡선에선 기울기가 갑자기 꺽여 입도분포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했지만, 비중계분석을 통해 균등계수가 33으로서 한편으론 흙의 입도분포가 좋다고도 보여 진다. 중간정도의 입도분포로 보면 좋을 것이다.
입경가적곡선을 통해 흙의 입도분포를 알아 조립토 SM 의 공학적 성징, 즉 단위체적 중량, 투수성, 전단강도 등의 성질을 함수비 시험과 비중시험을 해서 알 수 있다.
흙 입자의 체분석 실험
큰 어려움이 없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시료를 체분석 하기 전 각 체에 잔류하여 있는 것들을 말끔하게 없애기 위해 청소를 충분히 하였다.
다만 흙의 입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입자의 크기가 0.075mm이하인 입자의 분포는 비중계 실험을 통하여 분류하는데 이번 체분석 실험을 가지고 도표를 해석하자니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이번 체분석 실험 결과 팬에 남아 있는 시료의 잔유율은 0.35%이므로 비중계 시험분석을 배제하고 흙의 입도를 판단해야 할 것 같다.
먼저 유효입경을 살펴보면 통과백분율 10%에 해당하는 시료의 입경은 약 0.18mm이고 여기서 균등계수 Cu를 구하면 D60이 약 0.6mm이므로 D60/D10=0.6mm/0.18mm=3.33이다.
또한 곡률계수 Cg를 구하면 (D30)*(D30)/(D10)*(D60)=(0.36)*(0.36)/(0.18)*(0.6)=1.2이다.
이 세가지를 가지고 이 시료의 입도 분포를 파악해보면 통일 분류법에서는 Cu의 조건과 Cg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만 입도분포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이 시료는 입도 분포가 불량한 것으로 파악하여야 할 것 같다.
(*입도 분포 양호 조건: Cu<4이면 입도 균등 Cu>10이면 양호
1
또한 이 흙을 통일 분류법에 의하여 공학적으로 분류하면 No.200체 잔유율 50%이상이므로 조립토에 해당하고 No.4체 통과율이 50%이상이므로 모래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흙은 입도 분포가 불량하기 때문에 군기호로는 SP를 가지고 흙의 특성을 종합해보면 입도가 불량한 모래와 자갈질 모래이고 세립분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참고 문헌
1.전공서적 (Braja M. Das)6판
2.인터넷 네이버 카페참고, 지식 검색 참고
▶ 비중계분석 시험
체분석시험도 중요하지만 흙댐공사에 있어 중요한 No.200체 이하의 흙을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시험이었다. 전반적으로 시험시 비중을 읽을 때의 오차, 유효길이 측정시의 오차등을 제외하고는 보다 정확한 시험이다.
체분석곡선에선 기울기가 갑자기 꺽여 입도분포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했지만, 비중계분석을 통해 균등계수가 33으로서 한편으론 흙의 입도분포가 좋다고도 보여 진다. 중간정도의 입도분포로 보면 좋을 것이다.
입경가적곡선을 통해 흙의 입도분포를 알아 조립토 SM 의 공학적 성징, 즉 단위체적 중량, 투수성, 전단강도 등의 성질을 함수비 시험과 비중시험을 해서 알 수 있다.
흙 입자의 체분석 실험
큰 어려움이 없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시료를 체분석 하기 전 각 체에 잔류하여 있는 것들을 말끔하게 없애기 위해 청소를 충분히 하였다.
다만 흙의 입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입자의 크기가 0.075mm이하인 입자의 분포는 비중계 실험을 통하여 분류하는데 이번 체분석 실험을 가지고 도표를 해석하자니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이번 체분석 실험 결과 팬에 남아 있는 시료의 잔유율은 0.35%이므로 비중계 시험분석을 배제하고 흙의 입도를 판단해야 할 것 같다.
먼저 유효입경을 살펴보면 통과백분율 10%에 해당하는 시료의 입경은 약 0.18mm이고 여기서 균등계수 Cu를 구하면 D60이 약 0.6mm이므로 D60/D10=0.6mm/0.18mm=3.33이다.
또한 곡률계수 Cg를 구하면 (D30)*(D30)/(D10)*(D60)=(0.36)*(0.36)/(0.18)*(0.6)=1.2이다.
이 세가지를 가지고 이 시료의 입도 분포를 파악해보면 통일 분류법에서는 Cu의 조건과 Cg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만 입도분포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이 시료는 입도 분포가 불량한 것으로 파악하여야 할 것 같다.
(*입도 분포 양호 조건: Cu<4이면 입도 균등 Cu>10이면 양호
1
8.참고 문헌
1.전공서적 (Braja M. Das)6판
2.인터넷 네이버 카페참고, 지식 검색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