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기록 양식
1) 간호정보조사지
2) 카덱스 (kardex card)
3) 간호계획 기록지
4) 임상 경로 (Critical/collaborative pathway)
5) 경과기록지 (Progress notes)
6) 상례기록지 (flow sheets)
7) 퇴원과 이송 요약지 (discharge and transfer summary)
2. 호흡기계 기능을 사정하기 위한 검사방법
1) 간호정보조사지
2) 카덱스 (kardex card)
3) 간호계획 기록지
4) 임상 경로 (Critical/collaborative pathway)
5) 경과기록지 (Progress notes)
6) 상례기록지 (flow sheets)
7) 퇴원과 이송 요약지 (discharge and transfer summary)
2. 호흡기계 기능을 사정하기 위한 검사방법
본문내용
대한 더 내쉴 수 있는 공기량→4,000~4,800mL
·노력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환기에 필요한 최대 폐용량; 최대 공기량 흡입 후 가능한 빨리 강하게 호기하여 배출하는 공기의 양
정상- 4,800mL
·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정상 호기 후 계속해서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 ERV + RV
정상- 2,400~3,000mL
·전폐기량(total lung capacity, TLC): 폐가 팽창할 수 있는 최대 용적 TV+IRV+ERV+VC
정상- 5,500~6,000mL
·대상자에게 입마게(mouth piece)와 코집게(nose clip)를 착용하도록 교육, 검사는 힘이 든다는 것을 알림, 거들이나
허리띠 같은 조이는 옷은 미착용하도록 함
·기관지 확장제 등의 약물은 검사 전 보류시킴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y)
·기관지, 기간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검사
·기관지경 검사는 병소의 관찰, 조직생검의 시행,
배액 증진, 이물질 제거, 농양을 배액하기 위해 사용
·호흡기도 내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조직은 정상으로 나타남
·검사동의서 필요
·내시경 검사 전 4~6시간 금식
·진통제, 진정제, 정온제
→검사 30분전 투여
·대상자에게 인후부위(throat)에
국소마취하면 구역질(gagging) 발생, 삼키거나 호흡할 수 없는 것을 교육시킴
·검사 후 1~2시간 금식
·구개반사(gag reflex)가 돌아오면 인두를 따뜻한 물로 함수
·각혈(hemoptysis) 있거나 조직생 검시에는 출혈 유무 관찰
·노력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환기에 필요한 최대 폐용량; 최대 공기량 흡입 후 가능한 빨리 강하게 호기하여 배출하는 공기의 양
정상- 4,800mL
·기능적 잔기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 FRC): 정상 호기 후 계속해서 폐에 남아 있는 공기의 양 ERV + RV
정상- 2,400~3,000mL
·전폐기량(total lung capacity, TLC): 폐가 팽창할 수 있는 최대 용적 TV+IRV+ERV+VC
정상- 5,500~6,000mL
·대상자에게 입마게(mouth piece)와 코집게(nose clip)를 착용하도록 교육, 검사는 힘이 든다는 것을 알림, 거들이나
허리띠 같은 조이는 옷은 미착용하도록 함
·기관지 확장제 등의 약물은 검사 전 보류시킴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y)
·기관지, 기간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검사
·기관지경 검사는 병소의 관찰, 조직생검의 시행,
배액 증진, 이물질 제거, 농양을 배액하기 위해 사용
·호흡기도 내에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며 조직은 정상으로 나타남
·검사동의서 필요
·내시경 검사 전 4~6시간 금식
·진통제, 진정제, 정온제
→검사 30분전 투여
·대상자에게 인후부위(throat)에
국소마취하면 구역질(gagging) 발생, 삼키거나 호흡할 수 없는 것을 교육시킴
·검사 후 1~2시간 금식
·구개반사(gag reflex)가 돌아오면 인두를 따뜻한 물로 함수
·각혈(hemoptysis) 있거나 조직생 검시에는 출혈 유무 관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