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20국가 정상회담
2. 전세계 균형 성장 위한 협력 체계 구축
3. IMF 개혁
4. 글로벌 금융 규제 개혁
5.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6. 개도국 지원 방안
7. 환율전쟁
8.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2. 전세계 균형 성장 위한 협력 체계 구축
3. IMF 개혁
4. 글로벌 금융 규제 개혁
5.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6. 개도국 지원 방안
7. 환율전쟁
8.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려서 보던 90년대의 대한민국과 뇌속에 뇌수가 점점 차들어가던 시기의 2000년대와 지금 맞이한 2010년대의 대한민국의 위상은 차원이 다르다. 그만큼 대한민국은 눈부시게 성장을 했더란 이야기다. 박정희 대통령이 필리핀 만큼만 살아도 좋겠다고 필리핀을 그렇게 부러워 했다던데 이제는 한국이 경제적 위치에서 필리핀을 부러워할 하등의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그런데 이번 G20정상회의 개최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450조까지 최대로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저 뉴스를 보면서 고개를 갸웃할 수 밖에 없다. 아무 생각없이 저 기사를 읽으면 "아하 대단히 훌륭한 일을 우리나라가 하는구나"라고 넘어갈 수 있지만 저건 뻥이 심해도 너무 심하다. 450조라면 대한민국 전체 예산을 훨씬 상회하는 액수다. 별로 와닿지 않는다면 서울시 예산을 생각해보자, 서울시 인구가 1000만이 넘어가며 한해 예산이 약 10조에서 11조정도 된단다. 서울만한 거대한 도시를 45개나 굴릴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으며 일자리가 몇백만개가 늘어난다는 예상을 역시나 빼놓지를 않았다. 그런데 저 경제적 효과가 과연 제대로 된 계산법일까? 아예 계산이라는 말 자체가 잘못된거라고 본다. 저 G20정상회의 이후에 대한민국 입지가 갑자기 급상승하여 자동차며 전자기기며 선박이며 하는 수출품들이 매상이 단기간에 200% `올랐다' (과거형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450조 어치를 팔아치웠다면 경제적 효과가 450조 되는건 맞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아무 효과를 본게 아니다. 저 이틀간의 회의로 뭐 어쩐다고? 450조? 광고할때 광고비로 몇 억이 들어서 매출이 몇십억이 들었다면 몇십억이 바로 경제적 효과가 되는 셈이다. 광고하기만 해서 경제적 효과가 마구마구 증가할 수 있을까? 현 정부에서 국격이란 말을 참으로 즐겨 쓴다. G20정상회의 유치와 국격은 어느정도 상관이 있을 수 있으나 국격을 올리는데 G20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임을 잊지 말아야 할것이다. 국격을 올려 전세계 대다수의 사람들이 대한민국이라고 하면 "아하! 그 나라" 하면서 알게 하는게 목적이지 저렇게 국격높인다고 외치는 자체가 목적이어선 절대 안되는데, 지금 정부는 국격이 올라가며 경제효과가 450조라는 어이없는 예상을 저렇게 하고 있다. 저 무형의 경제적 가치를 도대체 어떻게 산정해낸건지 그 머릿속을 한번 탐구해보고 싶다.
참고문헌
서울 정상회의 합의문 전문
참고문헌
서울 정상회의 합의문 전문
추천자료
G20 정상회의 완벽정리 그리고 한국 2010년 G20 개최의 모든것과 이를 보는 나의 견해
[G20]G20 정상회의 완벽정리 그리고 한국 2010년 G20 개최의 모든것과 이를 보는 나의 견해
[G20 정상회의] G20 정상회의 의미와 한국 개최 일정 및 향후 영향 보고서
[G20정상회의]서울G20정상회의, 서울선언, 서울액션플랜에 대한 분석-G20정상회의 서울선언, ...
서울 G20 정상회의의 모든 것 - 서울 G20 정상회의의 의미와 성과 비판점(문제점) 분석, G20 ...
서울 G20 정상회의의 의미와 성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G20 정상회의의 향후 전망 및 과제 고...
2010 G20 서울 회의와 2011년 G20 회의를 중심으로 한 G20 정리
[G20정상회의]서울G20정상회의의 기대효과와 전망-G20정상회의 주요내용, G20정상회의 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