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너니즘과 인간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인간주의 교육론

1. 개 념
2. 교육원리
3. 인간주의 교육을 기초로 한 학교
4. 이론적 배경이 된 학문들
5. 교육인간학(Pädagogische Anthropologie)

□ 포스트모더니즘
1. 포스트 모더니즘개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
2. 특 징
3.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
4. 대표학자
5. 인간주의와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한 견해

본문내용

하고 그들의 잠재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교육은 지식을 주입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 획일화된 교육을 지향했다. 푸고가 학교를 ‘파놉티콘’이라 비유했던 것처럼 학교는 교사의 지도와 감독아래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 및 각종 평가와 시험으로 학생들을 줄세우기 급급했다. 이러한 학교의 교육방식은 오늘날 우리나라 학교에서도 여전히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조금씩 변화의 움직임은 나타나고 있다. 학생들 개개인의 개성과 각자의 특성에 맞는 다양성 추구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움직임이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개정된 7차 교육과정에서는 10개의 필수교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은 학생들의 선택에 맡기고 있으며 각종 특별활동 및 재량활동도 법으로 규정하여 권장하고 있다. 또한 각 종 대안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활동을 계발하기 위한 수업을 교육핵심 목표로 삼고 있기도 하다.
'한 명의 천재가 만 명을 먹여 살린다.' 한동안 유행처럼 회자되었던 삼성 이건희 회장의 말이다. 지식기반 사회 초기 단계만 하더라도, 각 나라는 소수의 영재를 발굴·육성하는 '영재 교육'에 초점을 뒀다. 앞서 말한 이건희 회장의 말처럼, 선천적으로 우수한 소질과 재능을 타고난 학생들을 집중적으로 키워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심산이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지식전달을 중심으로 그들을 평가하고 학생들을 성적에 맞게 줄 세우기에 급급하였다.
하지만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창의성, 리더십, 전문성이 인재의 핵심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소수의 영재가 아닌 다수의 인재를 필요로 하는 사회가 도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교육개혁과 경제협력기구(OECD)의 교육개혁 프로젝트는 '모두를 위한 수월성 교육(excellence for all)'으로 나가고 있다. 여기서 '수월성 교육'이란 학생 개개인의 잠재적 능력과 적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식 교육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에서 말하는 수월성 교육이란 소수의 엘리트를 위한 교육으로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영어몰입교육, 국제중학교 설립 등의 정책은 학생들의 꿈과 미래를 꿈꾸게 하는 교육이 아니라 우리 학생들을 시험의 달인으로 만들어 놓았다. 초등학교 학생이 시험을 못쳐서, 중학교 학생이 특목고에 떨어져서 자살하는 사례만 보아도 우리 교육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인간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인간의 한 주체로서 그들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창의성과 잠재력개발은 물론 교육에서 소외된 자들을 위한 정책들이 우리나라 공교육, 의무교육의 틀 속에서 기본방향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미래의 비전을 가지고 꿈을 꿀 수 있게 하는 학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에는 서열이 있을 수 없다. 모든 아이들은 저마다의 빛깔과 향기가 있으며, 각각의 능력과 재능이 실로 다양하기에 공정하고 따뜻한 기회를 통해 각각의 가치와 능력을 발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육이다. 이런 교육이 사회적 통합과 기여를 높이고 서로에게 고맙고 소중한 존재 의식을 깨우쳐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1.15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