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급자 선정기준(소득인정액 기준, 부양의무자 기준)
2. 수급권자의 소득 및 재산 조사 내용
3. 최저생계비 계측방식과 비목별 구성 및 2000-2010년까지의 최저생계비
참고문헌
2. 수급권자의 소득 및 재산 조사 내용
3. 최저생계비 계측방식과 비목별 구성 및 2000-2010년까지의 최저생계비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저생계비
우리나라는 지난 2007년 계측조사시까지 전물량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전물량 방식으로는 최저생계비와 일반가구의 소득, 지출수준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 필수품 선정, 사용량 및 내구년수 결정, 가격 결정 시 연구자의 자의성을 배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종 결정단계에서는 예산제약의 논리에 따라 필수품 선정 및 사용량 등이 최소로 억제되어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99년 중위소득 45% 수준인 최저생계비는 2008년 중위소득의 34%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10년 후인 2020년 경에는 중위소득의 23%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보건 복지부 홈페이지
우리나라는 지난 2007년 계측조사시까지 전물량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전물량 방식으로는 최저생계비와 일반가구의 소득, 지출수준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 필수품 선정, 사용량 및 내구년수 결정, 가격 결정 시 연구자의 자의성을 배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종 결정단계에서는 예산제약의 논리에 따라 필수품 선정 및 사용량 등이 최소로 억제되어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99년 중위소득 45% 수준인 최저생계비는 2008년 중위소득의 34%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10년 후인 2020년 경에는 중위소득의 23%선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보건 복지부 홈페이지
추천자료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한 고찰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대한 문제점과 현실적인 문제해결방안제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의의와 문제점 및 개선방향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지침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대한 제정배경과 연혁, 법의 목적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빈곤과 국민기초생활보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실천에 있어 문제점 고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정책방안과 제도개선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대책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國民基礎生活保障制度)의 개념과 운영에 대한 평가
국민기초생활보장에 따른 최저생계비 또는 부양의무자에 대한 적절성 여부에 대해 서술하시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원리 중 무차별평등의 원리와 보충성의 원리비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부양의무자 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