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본문
2. 입사식
3. 인물
4. 배경
2. 입사식
3. 인물
4. 배경
본문내용
혜공왕이라고 드러나 있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 는 없다. <천자봉 강철>, <천자봉 명당>의 경우와 같이 후대에 지어지면서 신화적 의미들이 퇴색되고 상실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천자봉> 이야기도 신라시대의 법조선사의 역사적 인물의 활약상과 신화적 내용이 섞였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간적 배경은 정확하지 않으며 의미상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진 않는다.
공간적 배경을 살펴보면 천자봉은 경남 진해시 웅동면과 창원시의 경계를 이루는 곰산 혹은 웅산(熊山)이라는 산의 가장 높은봉우리의 지명이다. 곰은 어원은 “ - ”이다. 이는 중심을 뜻하는 말이며 웅은 “ - ”의 차자표기이므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해의 곰산은 세계의 중심을 뜻하며 그 중심산의 가장 큰 봉우리를 천자(天子)라 부르는 것이다. 또한 진해시 동쪽에 솟아있는 시루바위는 “ - ㄹ - ” 즉 동쪽을 뜻하는 말로 시루바위가 있는 곳이 동쪽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천자봉>의 공간적 배경은 신적 질서를 지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신화적 배경이 후대로 오면서 변이되어 근본적인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공간적 배경을 살펴보면 천자봉은 경남 진해시 웅동면과 창원시의 경계를 이루는 곰산 혹은 웅산(熊山)이라는 산의 가장 높은봉우리의 지명이다. 곰은 어원은 “ - ”이다. 이는 중심을 뜻하는 말이며 웅은 “ - ”의 차자표기이므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해의 곰산은 세계의 중심을 뜻하며 그 중심산의 가장 큰 봉우리를 천자(天子)라 부르는 것이다. 또한 진해시 동쪽에 솟아있는 시루바위는 “ - ㄹ - ” 즉 동쪽을 뜻하는 말로 시루바위가 있는 곳이 동쪽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천자봉>의 공간적 배경은 신적 질서를 지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신화적 배경이 후대로 오면서 변이되어 근본적인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구비설화에 담긴 `효`관념의 연구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의 이해, 설화와 신화 연구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전승문학을 재화하는데 있어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논하시오
[구비서사시][구비서사시 종류][구비서사시 특징][판소리]]구비서사시의 개념, 구비서사시의 ...
[구비서사시][제주도][아이누][허저족][므엉족]제주도 구비서사시, 아이누 구비서사시, 폴란...
[서사시][서사시 개념][서사시 환경][서사시 역사][서사시 전개][중세문학][서사한시][문학][...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고전문학 교육론] 봉산 탈춤 지도 방안
[고전문학 교육론] 살아있는 민요교육-노동요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