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 천자봉 전설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론 - 천자봉 전설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본문

2. 입사식

3. 인물

4. 배경

본문내용

혜공왕이라고 드러나 있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 는 없다. <천자봉 강철>, <천자봉 명당>의 경우와 같이 후대에 지어지면서 신화적 의미들이 퇴색되고 상실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천자봉> 이야기도 신라시대의 법조선사의 역사적 인물의 활약상과 신화적 내용이 섞였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간적 배경은 정확하지 않으며 의미상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진 않는다.
공간적 배경을 살펴보면 천자봉은 경남 진해시 웅동면과 창원시의 경계를 이루는 곰산 혹은 웅산(熊山)이라는 산의 가장 높은봉우리의 지명이다. 곰은 어원은 “ - ”이다. 이는 중심을 뜻하는 말이며 웅은 “ - ”의 차자표기이므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진해의 곰산은 세계의 중심을 뜻하며 그 중심산의 가장 큰 봉우리를 천자(天子)라 부르는 것이다. 또한 진해시 동쪽에 솟아있는 시루바위는 “ - ㄹ - ” 즉 동쪽을 뜻하는 말로 시루바위가 있는 곳이 동쪽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천자봉>의 공간적 배경은 신적 질서를 지니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신화적 배경이 후대로 오면서 변이되어 근본적인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11.2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