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호작용 전 단계(준비기, preinteraction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2) 초기단계(beginning, orientation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3) 활동단계(working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4) 종결단계(resolution, termination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2) 초기단계(beginning, orientation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3) 활동단계(working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4) 종결단계(resolution, termination phase)의 목표 설정 및 수행 정도
본문내용
sfer)
대상자가 처한 환경내의 다른 사람(배우자, 친척, 고용자, 이웃, 친구)에게 정서적 지지로 의존하는 것을 점점 늘려나가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와의 치료가 끝남을 명백히 한다.
퇴원에 앞서 이별 감정에 대한 행동변화(억압, 퇴행, 위축)를 파악한다.
이러한 행동과 관련된 감정을 대상자가 마무리 하도록 도와준다.
종료를 위한 시간과 장소를 허용한다. 일대일 인간관계의 기간이 길수록 종료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 ① 대상자에게 치료가 끝났음을 명백히 하고, 이별의 감정을 표현하고 이별의 불가피함을 인식시킨다.
② 그동안의 병원 생활을 되돌아보도록 하며, 치료 경험이 어떠한지 말하도록 유도한다.
③ 간호사나 병원에 의존하였던 것을 가족이나 친구에게로 지지체계가 옮겨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처한 환경내의 다른 사람(배우자, 친척, 고용자, 이웃, 친구)에게 정서적 지지로 의존하는 것을 점점 늘려나가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와의 치료가 끝남을 명백히 한다.
퇴원에 앞서 이별 감정에 대한 행동변화(억압, 퇴행, 위축)를 파악한다.
이러한 행동과 관련된 감정을 대상자가 마무리 하도록 도와준다.
종료를 위한 시간과 장소를 허용한다. 일대일 인간관계의 기간이 길수록 종료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 ① 대상자에게 치료가 끝났음을 명백히 하고, 이별의 감정을 표현하고 이별의 불가피함을 인식시킨다.
② 그동안의 병원 생활을 되돌아보도록 하며, 치료 경험이 어떠한지 말하도록 유도한다.
③ 간호사나 병원에 의존하였던 것을 가족이나 친구에게로 지지체계가 옮겨갈 수 있도록 격려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