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듀이’ 선정 동기
2. ‘듀이’의 생애
3. ‘듀이’의 기본 사상
4. ‘듀이’의 교육사상
5. ‘듀이’의 이론의 공헌점
6. 결론
2. ‘듀이’의 생애
3. ‘듀이’의 기본 사상
4. ‘듀이’의 교육사상
5. ‘듀이’의 이론의 공헌점
6. 결론
본문내용
, ‘교수법’만을 중시하던 풍토가 ‘교수-학습법’으로 바뀌는 등의 교육과정 변화에는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과정을 반대하고 ‘학생’을 중시하였던 듀이의 사상이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생각된다.
6. 결론
듀이가 워낙 유명한 인물이고, ‘진보주의’혹은 ‘실용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래도 수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워낙 여러 분야에 방대한 사상을 내세웠기 때문에 오히려 듀이의 사상을 정리하는 것이 조금 어려웠다.
나는 단지 ‘흥미 중심’, ‘아동 중심’이라는 단어에 끌려서 듀이를 택했는데, 막상 조사를 해보니 내가 생각한 ‘흥미 중심’이랑 내용이 조금 달랐다. 물론 흥미가 있는 내용을 아이들은 더 열심히 하게 되고, 관심을 갖는 분야를 교육할 때 교육의 효율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나는 경험적이거나 실용적인 교과, 흥미를 가질만한 교과 못지않게 이론을 다루는 교과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한글을 못읽고 못쓴다든지, 우리말을 못해서 우리나라 사람끼리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굳이 국어 문법이나 지금은 쓰지도 않는 고전문학 등을 배우는 것은 듀이의 관점에서 볼 때 비효율적이고 버려야 할 전통적인 교육이다. 하지만 ‘간접 경험’이라는 것도 있고, ‘상식’이라는 것도 있고, 사람이 살아가는데에 꼭 ‘실용적’인 것이 아니라도 알고 있는 것이 많으면 훨씬 유리한 경우가 많은데, 이론적인 교과를 무시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또한 아이들이 직접 교육내용을 선택하는 것도 민주적인 방식이고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듀이 스스로도 말했듯이,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서 판단능력이나 지식수준이 떨어진다. 성인의 경험으로 보았을 때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지 않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 교육과정에 내용을 편성해야 하는데, 아동들이 교육과정을 선택한다면 이러한 내용들이 편성되기 어려울 것이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진보적인 이론들은 현대에서 취할 만하고, 민주주의적 교육 방식도 21세기 창의성 있는 인재를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또한 흥미가 있는 분야를 학생들이 더 열심히 하는 것에는 전적으로 동의하므로, 교육과정을 흥미위주로 편성하기 보다는 현재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교수법이나 교육매체활용 등의 분야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6. 결론
듀이가 워낙 유명한 인물이고, ‘진보주의’혹은 ‘실용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래도 수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워낙 여러 분야에 방대한 사상을 내세웠기 때문에 오히려 듀이의 사상을 정리하는 것이 조금 어려웠다.
나는 단지 ‘흥미 중심’, ‘아동 중심’이라는 단어에 끌려서 듀이를 택했는데, 막상 조사를 해보니 내가 생각한 ‘흥미 중심’이랑 내용이 조금 달랐다. 물론 흥미가 있는 내용을 아이들은 더 열심히 하게 되고, 관심을 갖는 분야를 교육할 때 교육의 효율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나는 경험적이거나 실용적인 교과, 흥미를 가질만한 교과 못지않게 이론을 다루는 교과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한글을 못읽고 못쓴다든지, 우리말을 못해서 우리나라 사람끼리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데 굳이 국어 문법이나 지금은 쓰지도 않는 고전문학 등을 배우는 것은 듀이의 관점에서 볼 때 비효율적이고 버려야 할 전통적인 교육이다. 하지만 ‘간접 경험’이라는 것도 있고, ‘상식’이라는 것도 있고, 사람이 살아가는데에 꼭 ‘실용적’인 것이 아니라도 알고 있는 것이 많으면 훨씬 유리한 경우가 많은데, 이론적인 교과를 무시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또한 아이들이 직접 교육내용을 선택하는 것도 민주적인 방식이고 좋은 방법이긴 하지만, 듀이 스스로도 말했듯이,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서 판단능력이나 지식수준이 떨어진다. 성인의 경험으로 보았을 때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지 않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 교육과정에 내용을 편성해야 하는데, 아동들이 교육과정을 선택한다면 이러한 내용들이 편성되기 어려울 것이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진보적인 이론들은 현대에서 취할 만하고, 민주주의적 교육 방식도 21세기 창의성 있는 인재를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또한 흥미가 있는 분야를 학생들이 더 열심히 하는 것에는 전적으로 동의하므로, 교육과정을 흥미위주로 편성하기 보다는 현재 교육과정을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교수법이나 교육매체활용 등의 분야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John Dewey(듀이)의 교육사상과 유아교육 사상 및 실험학교에 대한 이해와 고찰
존 듀이의 입장에서 바라본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존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 피터스의 교육의 정의에 대한 비판
듀이 -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 독후감
교육사상가 - 존 듀이(John Dewey)에 대하여
교육철학 Deway(듀이)
[교육철학및 교육사] 존 듀이와 실용주의, 진보주의
존 듀이 Dewey 생애, 저서, 교육 철학, 교육관, 아동관, 교육 방법, 목적, 실험학교, 시사점
존 듀이(John Dewey)의 교육관이 성인교육학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
존 듀이(John Dewey)의 교육 원리,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철학 - 존 듀이(John Dewey), 아동중심교육, 교육론
[프뢰벨] 프뢰벨(Frobel / Fröbel)의 아동관, 프뢰벨의 교육관, 프뢰벨의 교육방법,...
(A+,교육철학) UNIT / UNIQUE / UNITY 학습자가 민주시민형태로의 발전과정 _ 듀이(Dewey)의 ...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듀이(John Dewey, 1859~1952) - 듀이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