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ASE STUDY *
1. 대상자의 건강력
1) 입원동기
2) 주호소
3) 가족력
2.대상자의 건강양식
[ 교 환 ]
① 순환
② 심장
③ 신체 통합성
④ 산소공급
3.신체검사
4.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5. 약물
6. 간호진단
#1. 천루술 및 혈종배액술과 관련된 통증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1. 대상자의 건강력
1) 입원동기
2) 주호소
3) 가족력
2.대상자의 건강양식
[ 교 환 ]
① 순환
② 심장
③ 신체 통합성
④ 산소공급
3.신체검사
4.진단검사(임상병리검사 및 특수검사)
1) 일반 혈액 검사
5. 약물
6. 간호진단
#1. 천루술 및 혈종배액술과 관련된 통증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본문내용
에 침상의 Head를 flat 하게 유지할 것을 설명한다.
-환자의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 (trolac 30mg 1ⓐ IM & Somalgen)를 투여하고 투여되었음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환자가 통증을 많이 호소 할 경우, 정서적으로 안정을 시키도록 지지하고 격려한다.
◇평가
-BP 130/80으로 Check(6/1, 2pm)되며 Head flat유지되고 있음.
-대상자의 Headache 호소가 없다.
-통증사정 척도가 2점으로 측정되었다.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난간 안올리고 자도, 떨어진 적이 없어. 괜찮아.”, “지팡이 없이도 걸을 수 있나 볼라 그래. 걱정 말고 들어가서 일 봐.”, “넘어질 뻔 했는데 괜찮아. 넘어지면 말할게.”
-객관적 자료: 낮에 낮잠을 주무실 때, side rail이 내려져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화장실을 갈 때, 지팡이 없이 ambulation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지팡이가 없어 넘어지려는 모습이 관찰되어 주의를 주었으나, 괜찮다며 다소 불쾌해 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환자의 옆에 보호자 keep 상태가 아니다.
◇목표
-낙상하지 않는다. 안전에 대한 사항들(side rail을 올린다, 지팡이를 짚고 걷는다 등)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계획 및 수행
-낙상 위험성의 정도를 사정한다.
-침대의 바퀴 고정 여부를 확인하고, 고정시켜 놓는다.
-수면 시나 평상시에 침대의 side rail을 올리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낙상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side rail을 올릴 것과 ambulation 시에 지팡이를 꼭 짚을 것을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연락하여 대상자 옆에 keep할 수 있도록 하며, 대상자의 낙상위험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평가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side rail을 올리고 낮잠을 자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화장실을 갈 때 지팡이를 짚거나 walker를 가지고 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
①SDH란?
: 두부에 외상을 입은 후, 두통의식장애반신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경미할 경우 대증치료 시행하다가 증상이 악화되어 검사나 수술로 혈종이 확인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해, 뇌에는 3개의 막이 존재하는데, 뇌와 막 사이에 피가 고인 것(뇌막의 내부, 특히 경막 아래의 거미막하 공간 내에 생긴 출혈)이 확인되는 것이다. 경막하 출혈은 연막 상부에 혈액이 존재하기 때문에, 뇌 내출혈과 달리 뇌 조직 자극은 유발하지 않는다.
②SDH의 증상
: 고유의 증상은 없으나 혈종의 크기와 발생부위, 혈종의 형성속도, 뇌 좌상의 정도 타혈종의 합병 유무 및 수반되는 뇌부종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 뇌 좌상이나 뇌 열창이 수반되기 때문에 경막외 혈종보다 예후 가 좋지 않으며 사망률이 50% 이상이다.
③SDH의 치료
: (진단) 뇌전산화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검사(MRI)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치료) 수술(천공배액술, 소천공배액술, 개두술, 경막하-복강간 단략술 등)이 1차적인 치료이다. 두 개강 내압이 상승이 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치료(예를 들어, J-P bag/ 약물요법 등)도 병행해야 한다.
④SDH의 예후
: 수술 전 예후가 청명한 경우, 예후가 좋지만 혈종 피막에서 출혈이 되어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수술 후 경과가 불량하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일단 재발(8~20%)을 의심하여 Brain CT를 촬영한다. 수술 후 간질 발작이 약 10%에서 나타나므로, 수술 후 항 경련제가 투여된다. 수술 사망률은 10%이하로 약 75%가 치유된다.
-환자의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 (trolac 30mg 1ⓐ IM & Somalgen)를 투여하고 투여되었음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환자가 통증을 많이 호소 할 경우, 정서적으로 안정을 시키도록 지지하고 격려한다.
◇평가
-BP 130/80으로 Check(6/1, 2pm)되며 Head flat유지되고 있음.
-대상자의 Headache 호소가 없다.
-통증사정 척도가 2점으로 측정되었다.
#2. 대상자의 안전 지식부족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난간 안올리고 자도, 떨어진 적이 없어. 괜찮아.”, “지팡이 없이도 걸을 수 있나 볼라 그래. 걱정 말고 들어가서 일 봐.”, “넘어질 뻔 했는데 괜찮아. 넘어지면 말할게.”
-객관적 자료: 낮에 낮잠을 주무실 때, side rail이 내려져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화장실을 갈 때, 지팡이 없이 ambulation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지팡이가 없어 넘어지려는 모습이 관찰되어 주의를 주었으나, 괜찮다며 다소 불쾌해 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환자의 옆에 보호자 keep 상태가 아니다.
◇목표
-낙상하지 않는다. 안전에 대한 사항들(side rail을 올린다, 지팡이를 짚고 걷는다 등)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계획 및 수행
-낙상 위험성의 정도를 사정한다.
-침대의 바퀴 고정 여부를 확인하고, 고정시켜 놓는다.
-수면 시나 평상시에 침대의 side rail을 올리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낙상의 위험성을 교육하고, side rail을 올릴 것과 ambulation 시에 지팡이를 꼭 짚을 것을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연락하여 대상자 옆에 keep할 수 있도록 하며, 대상자의 낙상위험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평가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side rail을 올리고 낮잠을 자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화장실을 갈 때 지팡이를 짚거나 walker를 가지고 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7. 문헌고찰
*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
①SDH란?
: 두부에 외상을 입은 후, 두통의식장애반신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경미할 경우 대증치료 시행하다가 증상이 악화되어 검사나 수술로 혈종이 확인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해, 뇌에는 3개의 막이 존재하는데, 뇌와 막 사이에 피가 고인 것(뇌막의 내부, 특히 경막 아래의 거미막하 공간 내에 생긴 출혈)이 확인되는 것이다. 경막하 출혈은 연막 상부에 혈액이 존재하기 때문에, 뇌 내출혈과 달리 뇌 조직 자극은 유발하지 않는다.
②SDH의 증상
: 고유의 증상은 없으나 혈종의 크기와 발생부위, 혈종의 형성속도, 뇌 좌상의 정도 타혈종의 합병 유무 및 수반되는 뇌부종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 뇌 좌상이나 뇌 열창이 수반되기 때문에 경막외 혈종보다 예후 가 좋지 않으며 사망률이 50% 이상이다.
③SDH의 치료
: (진단) 뇌전산화단층촬영(C-T) 혹은 자기공명검사(MRI)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치료) 수술(천공배액술, 소천공배액술, 개두술, 경막하-복강간 단략술 등)이 1차적인 치료이다. 두 개강 내압이 상승이 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치료(예를 들어, J-P bag/ 약물요법 등)도 병행해야 한다.
④SDH의 예후
: 수술 전 예후가 청명한 경우, 예후가 좋지만 혈종 피막에서 출혈이 되어 재수술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수술 후 경과가 불량하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일단 재발(8~20%)을 의심하여 Brain CT를 촬영한다. 수술 후 간질 발작이 약 10%에서 나타나므로, 수술 후 항 경련제가 투여된다. 수술 사망률은 10%이하로 약 75%가 치유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간호학]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경막하 출혈케이스 자료
뇌내출혈 간호사례 연구 (ICH)
[중풍][뇌졸중]중풍(뇌졸중)의 원인과 위험인자, 중풍(뇌졸중)의 종류, 중풍(뇌졸중)의 증상,...
지역사회간호학-치매 case study
경막하출혈(SDH ,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
S-ICH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경막하 출혈
ICU case - SDH
성인4뇌졸중환자의간호사례
신경계_환자의_간호
<성인간호실습>경막하출혈 case study
성인간호사전학습-응급실
[간호] CT검사
간호학과 실습 - 골절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