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1. 연구목적
2. 김치냉장고 배경
3. 기업분석
4. 제품분석
5. 산업분석
6. 기업별 마케팅전략
7. 추천전략
8. 최종 결론
2. 김치냉장고 배경
3. 기업분석
4. 제품분석
5. 산업분석
6. 기업별 마케팅전략
7. 추천전략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치를 오래도록 아삭하게 보관해주는 ‘하우젠 아삭’의 특장점을 광고모델 이다해의 입을 통해 알기 쉽게 전달한 게 주효했기 때문이란 평가다.
7.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인터넷 기능의 부진, 홈네트워킹의 원활한 실행을 위한 개발 미흡
- 지속적인 기술력 개발로 인터넷 기능을 강화한 제품의 출시가 필요
(2) 자사제품끼리 충돌가능성
- 제품군과 타켓층의 차별에 따른 브랜드별 충돌이나 수익양분 줄임
(3) 제품의 인지도와 판매율 차이
- 보상판매를 통한 판매율 제고 + 지속적인 문화마케팅 홍보 인지도 상승 노력
(4) 차별성 없는 TV광고
- 고급화, 이미지화의 원래 것 유지 + 타 회사와의 차별성 개발
(5) 인테리어 업계의 위험
- 가구업체와의 연계, 독점적 계약 통한 타 회사와의 차별성
8. 최종 결론
하우젠의 가장 큰 성과는 바로 사양 산업이라고 비유되던 백색가전 시장에서 새로운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일 것이다. 이미 백색가전 브랜드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지만, 새로운 시장의 분석과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으로 프리미엄 생활가전 통합 브랜드를 출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결과적으로 하우젠은 원래의 목적이었던 가전제품 시장에서의 고부가가치 획득, 통합 브랜드를 통한 마케팅 자원의 효율적 관리, 그리고 가전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을 통한 시장 선도성 확보를 이루게 되었다.
하우젠은 통합 브랜드가 가지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차별화된 기술로 가전제품에 전문성 이상의 과학성을 내세웠다. 그리하여 하우젠은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와 함께 인테리어 생활가전이라는 입지를 다지게 되었고, 이러한 하우젠의 노력이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고급형 가전제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게 된 것이다.
추천전략
①보상판매 제도
- 기존의 하우젠 가전제품을 가지고 있는 고객들에게 기존의 제품을 반납하고 하우젠 김치냉장고를 구매시에 일정 가격을 할인해 주는 제도
기존의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들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삼성의 약점인 타사제품 보다 높은 가격부분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
②미니김치 냉장고
(1) Segmentation
1) 인구통계학적 특성
- 연령: 20대 ~ 30대 독신 남녀 혹은 그들을 자녀로 둔 40~50대 부모
- 소득 수준: 월 200 이상
- 거주: 아파트 빌라 원룸 오피스텔
- 가구구성:1세대
→ 제품의 주사용자인 독신남녀 이지만 그들의 부모도 큰 영향력 발휘
2) 구매 행동적 특성
번거로움을 싫어하고 간편하고 인스턴트 적인 것을 좋아하는 성향을 파악하려 기존의 번거로움과 귀찮음을 간편하게 ‘대신’ 해줄 수 있는 무엇인가를 필요로 함. 필요하지만 번거로웠던 부분에 대해서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다면 이것에 돈을 지불하는 것을 아끼지 않음
→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관심 증가
3) 라이프 스타일적 특성: 기존에 혼자사는 남녀들은 대개 귀찮아하고 건강, 특히 먹을것에 있어서 부실하다는 고정관념이 있었으나 well-being 시대에 발맞춰 젊을 때부터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혼자 사는 자녀를 둔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의 건강을 챙겨주려고 함.
→ well-being에 대한 관심 증가
(2) Targeting
1) 표적시장 선정
구분
표적시장1
표적시장2
인구 통계적 특성
20대~30대 독신남녀
20대~30대 독신남녀를 자녀로 둔 40~50대 부모
소득
중산층
중산층 또는 고소득층
지역 및 주거환경
원룸, 오피스텔
아파트나 고급빌라
또는 단독주택
생활양식 및 개성
간편함, 웰빙
웰빙, 자녀에 대한 관심도
추구하는 편익
기능성, 디자인
기능성, 디자인, 가격
<하우젠 표적시장>
① 중산층의 20대~30대 독신남녀
기존의 독신남녀에 대해서 건강, 특히 먹을 것에 대해 부실하다는 고정관념과 그것에 대해 탈피하지 못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그들이 필요로 하였지만 실상 찾을 수 없었던 번거로움을 대신해 줄 무엇인가를 창출해 내는 것이 최종목표이다. 웰빙시대에 발맞춰 건강에 대해서 젊었을 때부터 신경을 썼고 밖에서 사먹기 보다는 집에서 먹는 가정식이 더 좋다는 인식과 더불어 김치를 사먹거나 혹은 집에서 얻어왔을 때의 보관방법이나 장소에 대해 불편함을 대신 해소해 줄 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② 그들을 자녀로 둔 부모들
미니 김치냉장고는 20대~30대의 독신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자녀에 대한 걱정과 관심의 표현으로 해석해 볼 수가 있다. 부모들은 자식을 챙겨주려고 하는 마음이 한결같으며 특히 김치에 경우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나 냄새문제, 보관장소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번거로웠던 부분을 해결해 줄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2) 시장 공략 전략의 선택 : 연계마케팅
기존 20대~30대 독신남녀들이 바로 구매할 것이라고는 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들을 자녀로 둔 부모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자녀들에게 사준 후에 제품을 샀던 친구들의 구전홍보나 부모들의 홍보로 인해 결국 20대~30대 독신남녀들 개개인의 need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3) Positioning
기존의 20대~30대의 독신남녀들은 김치냉장고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 혼자사는 데 김치가 무슨필요가 있으며 더더욱이 부모들이 보내준 김치는 골칫덩이 였으나 미니 김치냉장고를 구매함으로 인해서 기존의 독신남녀와는 다른 차별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건강에 대해 특히 화제거리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돋보일 수 있는 제품이기도 하다
<참고자료>
www.hauzen.com
www.sec.co.kr
www.gokea.org
www.nanet.go.kr
www.nso.go.kr
www.fnnews.com
www.hankyung.com
www.hani.co.kr
www.khan.co.kr
news.hankooki.com
마케팅원론 - 안광호 외, 학현사, 2007
브랜드의 힘을 읽는다. - 안광호, 이진용, 더난출판, 2006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 조서환, 위즈덤하우스, 2005
여성 마케팅 (성공과 실패에서 배우는) - 김미경, 위즈덤하우스, 2005
7.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인터넷 기능의 부진, 홈네트워킹의 원활한 실행을 위한 개발 미흡
- 지속적인 기술력 개발로 인터넷 기능을 강화한 제품의 출시가 필요
(2) 자사제품끼리 충돌가능성
- 제품군과 타켓층의 차별에 따른 브랜드별 충돌이나 수익양분 줄임
(3) 제품의 인지도와 판매율 차이
- 보상판매를 통한 판매율 제고 + 지속적인 문화마케팅 홍보 인지도 상승 노력
(4) 차별성 없는 TV광고
- 고급화, 이미지화의 원래 것 유지 + 타 회사와의 차별성 개발
(5) 인테리어 업계의 위험
- 가구업체와의 연계, 독점적 계약 통한 타 회사와의 차별성
8. 최종 결론
하우젠의 가장 큰 성과는 바로 사양 산업이라고 비유되던 백색가전 시장에서 새로운 브랜드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시작하였다는 점일 것이다. 이미 백색가전 브랜드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지만, 새로운 시장의 분석과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으로 프리미엄 생활가전 통합 브랜드를 출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결과적으로 하우젠은 원래의 목적이었던 가전제품 시장에서의 고부가가치 획득, 통합 브랜드를 통한 마케팅 자원의 효율적 관리, 그리고 가전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을 통한 시장 선도성 확보를 이루게 되었다.
하우젠은 통합 브랜드가 가지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차별화된 기술로 가전제품에 전문성 이상의 과학성을 내세웠다. 그리하여 하우젠은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와 함께 인테리어 생활가전이라는 입지를 다지게 되었고, 이러한 하우젠의 노력이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고급형 가전제품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게 된 것이다.
추천전략
①보상판매 제도
- 기존의 하우젠 가전제품을 가지고 있는 고객들에게 기존의 제품을 반납하고 하우젠 김치냉장고를 구매시에 일정 가격을 할인해 주는 제도
기존의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고객들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삼성의 약점인 타사제품 보다 높은 가격부분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
②미니김치 냉장고
(1) Segmentation
1) 인구통계학적 특성
- 연령: 20대 ~ 30대 독신 남녀 혹은 그들을 자녀로 둔 40~50대 부모
- 소득 수준: 월 200 이상
- 거주: 아파트 빌라 원룸 오피스텔
- 가구구성:1세대
→ 제품의 주사용자인 독신남녀 이지만 그들의 부모도 큰 영향력 발휘
2) 구매 행동적 특성
번거로움을 싫어하고 간편하고 인스턴트 적인 것을 좋아하는 성향을 파악하려 기존의 번거로움과 귀찮음을 간편하게 ‘대신’ 해줄 수 있는 무엇인가를 필요로 함. 필요하지만 번거로웠던 부분에 대해서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다면 이것에 돈을 지불하는 것을 아끼지 않음
→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관심 증가
3) 라이프 스타일적 특성: 기존에 혼자사는 남녀들은 대개 귀찮아하고 건강, 특히 먹을것에 있어서 부실하다는 고정관념이 있었으나 well-being 시대에 발맞춰 젊을 때부터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혼자 사는 자녀를 둔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의 건강을 챙겨주려고 함.
→ well-being에 대한 관심 증가
(2) Targeting
1) 표적시장 선정
구분
표적시장1
표적시장2
인구 통계적 특성
20대~30대 독신남녀
20대~30대 독신남녀를 자녀로 둔 40~50대 부모
소득
중산층
중산층 또는 고소득층
지역 및 주거환경
원룸, 오피스텔
아파트나 고급빌라
또는 단독주택
생활양식 및 개성
간편함, 웰빙
웰빙, 자녀에 대한 관심도
추구하는 편익
기능성, 디자인
기능성, 디자인, 가격
<하우젠 표적시장>
① 중산층의 20대~30대 독신남녀
기존의 독신남녀에 대해서 건강, 특히 먹을 것에 대해 부실하다는 고정관념과 그것에 대해 탈피하지 못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그들이 필요로 하였지만 실상 찾을 수 없었던 번거로움을 대신해 줄 무엇인가를 창출해 내는 것이 최종목표이다. 웰빙시대에 발맞춰 건강에 대해서 젊었을 때부터 신경을 썼고 밖에서 사먹기 보다는 집에서 먹는 가정식이 더 좋다는 인식과 더불어 김치를 사먹거나 혹은 집에서 얻어왔을 때의 보관방법이나 장소에 대해 불편함을 대신 해소해 줄 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② 그들을 자녀로 둔 부모들
미니 김치냉장고는 20대~30대의 독신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자녀에 대한 걱정과 관심의 표현으로 해석해 볼 수가 있다. 부모들은 자식을 챙겨주려고 하는 마음이 한결같으며 특히 김치에 경우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나 냄새문제, 보관장소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번거로웠던 부분을 해결해 줄수 있는 제품이 될 것이다.
2) 시장 공략 전략의 선택 : 연계마케팅
기존 20대~30대 독신남녀들이 바로 구매할 것이라고는 보기가 힘들기 때문에 그들을 자녀로 둔 부모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여 자녀들에게 사준 후에 제품을 샀던 친구들의 구전홍보나 부모들의 홍보로 인해 결국 20대~30대 독신남녀들 개개인의 need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3) Positioning
기존의 20대~30대의 독신남녀들은 김치냉장고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 혼자사는 데 김치가 무슨필요가 있으며 더더욱이 부모들이 보내준 김치는 골칫덩이 였으나 미니 김치냉장고를 구매함으로 인해서 기존의 독신남녀와는 다른 차별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건강에 대해 특히 화제거리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돋보일 수 있는 제품이기도 하다
<참고자료>
www.hauzen.com
www.sec.co.kr
www.gokea.org
www.nanet.go.kr
www.nso.go.kr
www.fnnews.com
www.hankyung.com
www.hani.co.kr
www.khan.co.kr
news.hankooki.com
마케팅원론 - 안광호 외, 학현사, 2007
브랜드의 힘을 읽는다. - 안광호, 이진용, 더난출판, 2006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 조서환, 위즈덤하우스, 2005
여성 마케팅 (성공과 실패에서 배우는) - 김미경, 위즈덤하우스, 2005
추천자료
전자산업의 해외마케팅 사례 삼성전자 가전제품
[마케팅]사례분석_삼성카드 e-CRM 구축전략
[삼성 래미안][롯데제과][나뚜루][마케팅 전략][삼성][래미안][마케팅][브랜드]삼성 래미안, ...
심비오틱 마케팅(삼성, 소니).ppt
테마파크 삼성 에버랜드의 마케팅전략과 성공요인
디지털카메라 환경과 삼성 케녹스의 마케팅전략
레인콤 아이리버와 삼성전자 YEPP의 마케팅전략
존경받는 기업의 마케팅 분석-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삼성전자(마케팅)
[국제마케팅]삼성전자 성공사례 분석
삼성전자 스마트폰 마케팅전략분석과 스마트폰이 IT산업에 미치는영향및 스마트폰 시장분석과...
삼성전자,마케팅
차별화를 실현하지 못한 SM7,자동차실패,마케팅실패사례,SM7,삼성자동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