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자원개발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자원개발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계, 학계, 기업계, 의료계 등)로 조직된 단체들 사이에서 지역사회조직 시작.
3) 이들 조직과 지방자치단체, 관련 개별단체, 지역사회 주민과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 한 유기적 관계망을 맺고 본연의 기능을 돕도록 협조하는 역할.
4) 현재 존재하는 지역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회, 또 자원봉사와 관련된 기구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단체를 조직하도록 도와주되 절대 기존하는 단체에 흡수시키지 말고 자체를 인정해야 함.
5) 지역사회복지에 주민(개인 또는 단체)이 참여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자원봉사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강력한 동기부여를 해야 하고, 자원봉사영역과 관련된 봉사능력을 배양해 줄 계획, 직접 나가서 봉사할 수 있는 기회 창출, 적재, 적소에 배정(체계적 시스템 구축).
6)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노고와 감사의 시간 필요. 특히 주민화합의 기회 마련 필요
7) 지역사회 신문, 라디오, TV, 벽보 등 대중매체를 충분히 활용하여 지역사회복지활동을 충분히 홍보.
<참고문헌>
이정학. 사회복지연구논문집 제21집 국립사회복지연수원
김광식(1999). [한국NGO 연구]. 서울: 동명사.
김용택(1991). "외국선진의 지역사회복지," [아산], 제52호.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pp.16-22.
심재호(1999). "민간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재편 : 참여와 계획화, 그리고 네트워킹", 1999년 한국사회복지학회자료집.
오정수(1998). "우리 나라 민간복지 부문의 기능과 구조 개선방안." [사회복지] 제136호.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pp.40-52.
오혜경(1996). "영국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의 전개와 기본조건." [사회복지 리뷰], 창간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pp. 73-99.
조희연(1999).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 민주화와 시민사회운동."
정무성(1997).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997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자료집
______(1999). "민간 사회안전망의 필요성과 효율적 구축방안," [민간사회안전망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서울: 실업극복국민운동위원회.
최일섭(1985).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최일섭·류진석(199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한국사회복지관협회(2000). [사회복지관백서]. 서울:한국사회복지관협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5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