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다이달로스
* 이카로스
(1) 페르딕스 이야기
(2) 라비린토스 이야기
- 마티스의 ‘이카로스의 비행’
- 피테르 브뤼겔 ‘이카로스의 추락이 있는 풍경’
- 샤갈 ‘이카로스의 추락’
- 미노소스 궁전
* 참고문헌
* 이카로스
(1) 페르딕스 이야기
(2) 라비린토스 이야기
- 마티스의 ‘이카로스의 비행’
- 피테르 브뤼겔 ‘이카로스의 추락이 있는 풍경’
- 샤갈 ‘이카로스의 추락’
- 미노소스 궁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날개 짓 끝에 세계 최고의 화가로 우뚝 섰다. 그러나 어느덧 몸도 마음도 늙어서 더 이상 올라가기 힘든 시기에 도달했다. 생의 종착에 선 샤갈은 비상이 자신의 힘에 부친다는 사실을 난생 처음 깨달았다. 무게를 지닌 인감은 중력에 순응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는 것을 인정했다.
- 미노소스 궁전
실제로 궁전이 발견되지 않아서 아무도 그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였다. 트로이를 발굴하고 미케네, 티린스를 발굴한 독일의 쉴리만은 현지 총독과 협상하여 발굴권을 겨우 얻어냈다. 궁전이 있떤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의 지주와 흥정을 했다. 지주는 2500그루의 올리브 나무가격을 받아야 한다며 10만 프랑을 요구했다. 결국 4만프랑에 합의를 하고 현장을 조사 하던 중 나무가 888그루밖에 되지 않자 쉴리만은 화가 서 발굴 작업을 포기하고 말았다.
10여년 후 영국인 아서 에반스가 상형문자 해석에 관한 그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서 크레타 섬에 오게 되었다. 그는 쉴리만이 했던 것처럼 올리브 나무가 있는 곳을 궁전의 위치라고 생각했다. 올리브 나무가 있던 지역은 크레타의 수도 헤라크 레이온(혹은 이라크 레이온)에서 5km 남쪽으로 떨진 곳이었다. 에반스는 신화에서처럼 크레타에 반드시 미노스의 크노소스 궁전이 있으리라는 확신을 가지고 발굴에 착수했다. 발굴을 시작한 후, 거대한 궁전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방이 1천개가 넘는 궁전은 3~4층으로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었고 각 방은 층계를 통해 각 층을 연결하고 있었다. 궁전 안에는 수도 설비가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하수도 시설까지 완벽하게 설치되어 있었다. 각방의 밝기는 광정을 통해 자광이 들어와 건물 내부를 밝혔다. 이 광정은 지붕에서 바닥까지 수직으로 관하는 공간인데 이것이 건물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그들의 건축술이 고도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NAVER. 백과사전
http://user.chol.com/~moon2923/myth.htm
http://cafe.naver.com/edutou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494
http://www.abcgallery.com/
http://blog.daum.net/choogal/4181534?nil_profile=tot&srchid=IIM8G7VE00
이윤기, 그리스에 길을 묻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3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 미노소스 궁전
실제로 궁전이 발견되지 않아서 아무도 그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였다. 트로이를 발굴하고 미케네, 티린스를 발굴한 독일의 쉴리만은 현지 총독과 협상하여 발굴권을 겨우 얻어냈다. 궁전이 있떤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의 지주와 흥정을 했다. 지주는 2500그루의 올리브 나무가격을 받아야 한다며 10만 프랑을 요구했다. 결국 4만프랑에 합의를 하고 현장을 조사 하던 중 나무가 888그루밖에 되지 않자 쉴리만은 화가 서 발굴 작업을 포기하고 말았다.
10여년 후 영국인 아서 에반스가 상형문자 해석에 관한 그의 이론을 확인하기 위해서 크레타 섬에 오게 되었다. 그는 쉴리만이 했던 것처럼 올리브 나무가 있는 곳을 궁전의 위치라고 생각했다. 올리브 나무가 있던 지역은 크레타의 수도 헤라크 레이온(혹은 이라크 레이온)에서 5km 남쪽으로 떨진 곳이었다. 에반스는 신화에서처럼 크레타에 반드시 미노스의 크노소스 궁전이 있으리라는 확신을 가지고 발굴에 착수했다. 발굴을 시작한 후, 거대한 궁전의 모습이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했다. 방이 1천개가 넘는 궁전은 3~4층으로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었고 각 방은 층계를 통해 각 층을 연결하고 있었다. 궁전 안에는 수도 설비가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하수도 시설까지 완벽하게 설치되어 있었다. 각방의 밝기는 광정을 통해 자광이 들어와 건물 내부를 밝혔다. 이 광정은 지붕에서 바닥까지 수직으로 관하는 공간인데 이것이 건물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그들의 건축술이 고도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NAVER. 백과사전
http://user.chol.com/~moon2923/myth.htm
http://cafe.naver.com/edutou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494
http://www.abcgallery.com/
http://blog.daum.net/choogal/4181534?nil_profile=tot&srchid=IIM8G7VE00
이윤기, 그리스에 길을 묻다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3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