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4. 현 건강상태
5. 중환자실 flow sheet
6. 간호진단
7. 문헌고찰
2. 과거력
3. 가족력
4. 현 건강상태
5. 중환자실 flow sheet
6. 간호진단
7. 문헌고찰
본문내용
mmHg
99.0
137.4■
155.2■
142.5■
136.0■
혈액 내 산소농도와 관련
SaO2
95~100
%
97.8
98.8
99.2
99.0
98.9
산소포화도는 산소에 포함되는 Hgb
HCO3
22-26
mM/L
37.9■
41.9■
42.8■
43.0■
46.8■
병적 대사시 소비되어 완충계 역할
T-CO2
22-28
mM/L
39.4■
43.7■
44.3■
44.6■
48.6■
전체적인 탄소의 양
4) 특수검사
* EKG
=> Normal sinns Rhythm (26일)
6. 간호진단
# 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 S : 없음
◈ O : 계속 누워 있음.
양팔이 억제대로 묶여 있음.
혼자 움직이지 못함.
욕창 발생(coccxy 부위, 단계, 7*7cm)
◈ A : 부동과 관련되어 발생한 욕창
◈ P : 1. 2시간마다 change position 해준다
(한 부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
2. change position할 때마다 massage를 해주고 필요시에는 파우더를 발라준다.
3. air bed를 깔아준다. (공기가 들어가 피부에 압력이나 자극을 감소시켜줌).
4.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파악하고 확인 한다
5. 욕창 dressing을 해준다.
6.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 I : 1,2수행함.
◈ E : 다른 부위에 욕창이 생기거나 더 확산되지 않음
# self care불능으로 인한 구강위생상태 결여
◈ S : 없음
◈ O : 입술주의 건조해 하얗게 일어남.
악취가 많이 남
혀와 치아에 이물질이 축척되어 있음
sheet가 지저분함
◈ A : 의식 저하와 병실 환경(중환자실)과 관련된 self care의 불능
◈ P : 1. special mouth care를 해준다.
2. 거즈를 적셔 입술에 대어준다.
3. 바세린을 입술과 입주위에 발라 준다.
4. sheet 새 것으로 갈아줌
◈ I : 1,3,4수행함.
◈ E : 입술주의의 건조증이 완화되고 악취가 줌
7. 문헌고찰
1. 유기인계 화합물이란?
1) 작용기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않고 신경세포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작용을 하게 만들어 독성을 나타낸다. 즉 신경이 지속적인 흥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유기인계 화합물은 신경계통에 작용하는데 중추신경계, 무스카린계, 니코틴계의 신경에 작용한다.
작용원리 - 하나의 신경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그 자극을 다음 신경세포로 전달하게 되는데, 자극을 보내고자 하는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 물질을 분비하면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다음 세포에 전달되어 자극이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경전달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존재하여 한번 사용된 신경전달물질은 즉시 분해 된다.
2) 증 상
중독초기의 국소증상
피부접촉시; sweating, muscle fasciculation
흡입시 ; rhinorrhea wheezing breath with tightness on chest, miosis
내복시 ; abdominal cramp, diarrhea, vomiting
중추신경계 중독증상 : 피로, 감정의 변화, 두통, 수족의 떨림, 의식이 흐려짐,착란, 언어구사의 장애, 전신쇠약,등이 있으며 심할 경우 혼수상태, 발작, 호흡기능 저하, 심장기능저하로 인해 사망하게 된다
무스카린계 중독증상 : 기관지, 침샘, 눈물샘, 심장등 부교감 신경에 작용한다.
기관지 분비물 증가, 침, 눈물증가, 동공축소, 소화기능장애, 구토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또한 기관지 수축에 의해 폐기능 저하도 나타난다.
니코틴계 중독증상 : 근육수축, 근육경련, 근력저하, 마비등이 일어나며, 심할 경우 호흡 근육의 마비로 인해 호흡정지가 일어나 사망하게 된다.
심한유기인제 중독에 있어서 중요한 증상이 동공수축이다. 하지만 동공수축은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므로 유기인제 중독환자가 동공수축이 없어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유기인제 중독환자의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호흡근육 마비로 인한 호흡정지 및 중추신경손상으로 인한 호흡정지이다.
2. 치료
1) 독극물 제거
- 피부세척
- 안구 세척
- 구토
- 위세척
- 장세척
2) 보존적 치료
- 기도확보 : 환자를 눕히고 고개를 뒤로 젖힌 다음 입을 벌려 입안에 있는 이물을 손가락이나 설압자로 깨끗이 제거한다.
- 인공호흡 : 약제에 따라 특히 organophosphous제의 경우 기관지 수축이나 분비물 증가로 인해 위세척 등의 처치보다도 선행하여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가있다.
- 산소공급 : PaO2가 60mmHg이하 이거나 PaCO2가 50mmHg이상 되면 산소주입이 필요하다.
약물중독에서 특히 산소주입이 필요한 경우
* 폐부종, 폐렴
* 기도폐색, 기도과다 분비
* 호흡근 마비
* 쇽, 저혈압, 심부전증
* Hemoglobin 기능의 이상
- 수액요법 : 많은 약제들이 구토, 설사, 분비물과다, 체내수액 분포의 불균형등을 초래하며 수액의 투여가 필요하나 폐부종이 있을 때에는 극히 조심해야 하며 이때는 12시간 내에는 수액의 투여를 피하는 것이 좋다.
수액은 sodium, magnesium, bicorbonate등이 포괄적으로 함유된 balanced electrolyte solution이 좋다.
- serum chlinesterase를 모니터링 한다.
3) 유기인제 화합물의 치료제
a. Atropine sulfate
물리적인 해독제로서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신경세포에 작용하는 부위에 먼저 결합해 버림으로써 아세틸콜린이 신경세포에 자극을 주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니코틴계 신경에서는 작용능력이 약하므로 근육마비에는 효과가 별로 없다,(그러므로 호흡유지하는 치료를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b. 2-PAM
유기인계 화합물에 의해 기능이 억제당한 Acetylchlinesterase를 회복시킴으로서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체내에 남아있는 유기인계 화합물에 작용하는 독성을 약화시킨다.
PAM을 최대한 빨리 투여할수록 좋다. 아트로핀과 PAM을 같이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트로핀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치료에 따른 부작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99.0
137.4■
155.2■
142.5■
136.0■
혈액 내 산소농도와 관련
SaO2
95~100
%
97.8
98.8
99.2
99.0
98.9
산소포화도는 산소에 포함되는 Hgb
HCO3
22-26
mM/L
37.9■
41.9■
42.8■
43.0■
46.8■
병적 대사시 소비되어 완충계 역할
T-CO2
22-28
mM/L
39.4■
43.7■
44.3■
44.6■
48.6■
전체적인 탄소의 양
4) 특수검사
* EKG
=> Normal sinns Rhythm (26일)
6. 간호진단
# 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 S : 없음
◈ O : 계속 누워 있음.
양팔이 억제대로 묶여 있음.
혼자 움직이지 못함.
욕창 발생(coccxy 부위, 단계, 7*7cm)
◈ A : 부동과 관련되어 발생한 욕창
◈ P : 1. 2시간마다 change position 해준다
(한 부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
2. change position할 때마다 massage를 해주고 필요시에는 파우더를 발라준다.
3. air bed를 깔아준다. (공기가 들어가 피부에 압력이나 자극을 감소시켜줌).
4.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파악하고 확인 한다
5. 욕창 dressing을 해준다.
6.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 I : 1,2수행함.
◈ E : 다른 부위에 욕창이 생기거나 더 확산되지 않음
# self care불능으로 인한 구강위생상태 결여
◈ S : 없음
◈ O : 입술주의 건조해 하얗게 일어남.
악취가 많이 남
혀와 치아에 이물질이 축척되어 있음
sheet가 지저분함
◈ A : 의식 저하와 병실 환경(중환자실)과 관련된 self care의 불능
◈ P : 1. special mouth care를 해준다.
2. 거즈를 적셔 입술에 대어준다.
3. 바세린을 입술과 입주위에 발라 준다.
4. sheet 새 것으로 갈아줌
◈ I : 1,3,4수행함.
◈ E : 입술주의의 건조증이 완화되고 악취가 줌
7. 문헌고찰
1. 유기인계 화합물이란?
1) 작용기전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해되지 않고 신경세포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작용을 하게 만들어 독성을 나타낸다. 즉 신경이 지속적인 흥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유기인계 화합물은 신경계통에 작용하는데 중추신경계, 무스카린계, 니코틴계의 신경에 작용한다.
작용원리 - 하나의 신경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그 자극을 다음 신경세포로 전달하게 되는데, 자극을 보내고자 하는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 물질을 분비하면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다음 세포에 전달되어 자극이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경전달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존재하여 한번 사용된 신경전달물질은 즉시 분해 된다.
2) 증 상
중독초기의 국소증상
피부접촉시; sweating, muscle fasciculation
흡입시 ; rhinorrhea wheezing breath with tightness on chest, miosis
내복시 ; abdominal cramp, diarrhea, vomiting
중추신경계 중독증상 : 피로, 감정의 변화, 두통, 수족의 떨림, 의식이 흐려짐,착란, 언어구사의 장애, 전신쇠약,등이 있으며 심할 경우 혼수상태, 발작, 호흡기능 저하, 심장기능저하로 인해 사망하게 된다
무스카린계 중독증상 : 기관지, 침샘, 눈물샘, 심장등 부교감 신경에 작용한다.
기관지 분비물 증가, 침, 눈물증가, 동공축소, 소화기능장애, 구토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또한 기관지 수축에 의해 폐기능 저하도 나타난다.
니코틴계 중독증상 : 근육수축, 근육경련, 근력저하, 마비등이 일어나며, 심할 경우 호흡 근육의 마비로 인해 호흡정지가 일어나 사망하게 된다.
심한유기인제 중독에 있어서 중요한 증상이 동공수축이다. 하지만 동공수축은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이 아니므로 유기인제 중독환자가 동공수축이 없어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유기인제 중독환자의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호흡근육 마비로 인한 호흡정지 및 중추신경손상으로 인한 호흡정지이다.
2. 치료
1) 독극물 제거
- 피부세척
- 안구 세척
- 구토
- 위세척
- 장세척
2) 보존적 치료
- 기도확보 : 환자를 눕히고 고개를 뒤로 젖힌 다음 입을 벌려 입안에 있는 이물을 손가락이나 설압자로 깨끗이 제거한다.
- 인공호흡 : 약제에 따라 특히 organophosphous제의 경우 기관지 수축이나 분비물 증가로 인해 위세척 등의 처치보다도 선행하여 인공호흡이 필요한 경우가있다.
- 산소공급 : PaO2가 60mmHg이하 이거나 PaCO2가 50mmHg이상 되면 산소주입이 필요하다.
약물중독에서 특히 산소주입이 필요한 경우
* 폐부종, 폐렴
* 기도폐색, 기도과다 분비
* 호흡근 마비
* 쇽, 저혈압, 심부전증
* Hemoglobin 기능의 이상
- 수액요법 : 많은 약제들이 구토, 설사, 분비물과다, 체내수액 분포의 불균형등을 초래하며 수액의 투여가 필요하나 폐부종이 있을 때에는 극히 조심해야 하며 이때는 12시간 내에는 수액의 투여를 피하는 것이 좋다.
수액은 sodium, magnesium, bicorbonate등이 포괄적으로 함유된 balanced electrolyte solution이 좋다.
- serum chlinesterase를 모니터링 한다.
3) 유기인제 화합물의 치료제
a. Atropine sulfate
물리적인 해독제로서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신경세포에 작용하는 부위에 먼저 결합해 버림으로써 아세틸콜린이 신경세포에 자극을 주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니코틴계 신경에서는 작용능력이 약하므로 근육마비에는 효과가 별로 없다,(그러므로 호흡유지하는 치료를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b. 2-PAM
유기인계 화합물에 의해 기능이 억제당한 Acetylchlinesterase를 회복시킴으로서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체내에 남아있는 유기인계 화합물에 작용하는 독성을 약화시킨다.
PAM을 최대한 빨리 투여할수록 좋다. 아트로핀과 PAM을 같이 투여하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아트로핀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치료에 따른 부작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