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뇌졸증, 고혈압, 기관지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뇌졸증, 고혈압, 기관지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 CVA (Cerebral Vascular Accident) = Stroke, 뇌졸중
■ 고혈압 (hypertension )
■ 기관지염 (Bronchitis)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문제

Ⅲ. 결론
1. 연구결과의 정리
2.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사에게 알림으로써 담당 간호사와 대상자가 대화를 나누는 횟 수가 늘었으며, 자주 접촉 할 수 있었음.
4-(2). 간호학생의 질문과 의견을 수렴하여 담당 간호사는 대 상자의 보호자인 조카에게 연락을 취하여 면회 오기를 권유하였으며, 상담을 통하 여 대상자의 현재 병력에 관하여 설명하였음. 보호자 인 조카는 이번 설 연휴에 시간을 내어 대상자를 잠시 방문하기로 하였으며, 그 때 대상자의 기관 내 삽관에 대하여 상담을 하기로 하였 음.
# 128. 기동성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손으로 머리를 긁적이며) 가..려....”
· “움직이기..힘..들어..”
객관적 자료
· 침대 위에서 거의 움직임 없이 누워있는 모습이 관찰됨.
· 자가 간호가 이루어 지지 않아 눈꼽이 많이 끼고 머리에서 냄새가 나는등 전체적으로 지저분한 모습이 보임.
간호목표
단기목표
· 자가 간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가 간호를 수행하려는 의지를 가질 것이다.
장기목표
· 가능한 최대의 기능 수준으로 자가 간호를 수행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 자가간호 능력을 사정함.
2.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가 간호 를 하도록 격려함.
3.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행 위에 대해 함께 의논함.
1-1. 대상자의 가능한 활동범위와 움직임 정도를 사정하여 어 느정도 자가간호를 수행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1-2. 자가간호 능력을 사정하여 현 재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였 다.
2-1.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자가간호의 범위를 자세하게
알려주었다.
2-2. 자가간호를 스스로 수행하도 록 격려하여 주었다.(대상자 활동 범위 내.)
3-1.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자가간호에 대해 함께 의논하 기를 시도하였다.
1-1). 대상자의 가능한 활동범위와 움직임 정도를 파악하여야 자가간호 수행가능여부와 정 도를 확인할 수 있기때
1-2). 자가간호 능력을 사정하여 현재 대상자의 수준과 상태 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
2-1).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자가
간호 가능여부와 범위를 알
고 있어야 무리하지 않고 적
절한 범위내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
2-2). 가능한 범위에서 자가간호를 하도록 격려함으로써 대상자 에게 의욕을 고취시켜줄 수 있기 때문.
3-1). 대상자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자가간호에 대해 함께 의논 함으로써 자가간호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
1-(1). 간호사선생님과 함께 의논해
봄으로써 대상자의 가능한 활동범위와 움직임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음.
1-(2). 자가간호 능력을 사정하여 현재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 하고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음.
2-(1). 대상자가 고개를 끄덕이며
“네..알..겠어요” 라고 대답하
며 인지하는 모습을 보였음.
2-(2). 자가간호를 하도록 격려함으 로써 대상자의 의욕을 고취 되어 대상자는 자가간호 수 행 (예: 눈꼽을 떼어 달라고 표현함. 휴지를 손에 쥐어주 면 눈물을 스스로 닦음.)에 도움이 되었음.
3-(1). 대상자의 언어가 불분명하고 오래 대화하지 못해 의논하 기에 실패하였음.
재계획 - 간호사선생님들의 조언을
얻어 계획함.
Ⅲ. 결론
1. 연구결과의 정리
이번 뇌졸중을 주제로 사례연구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그저 단순히 무서운 병으로만 알려져 있고 자세한 발생기전이나 치료법, 예방법 등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착안해 문헌고찰이나 케이스를 통해서 많이 알리려고 노력하였다.
실제로 중환자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직접 뇌졸중을 앓고 있고 그로인해 마비 증세나 불분명한 언어사용, 자가 간호 결핍 등의 증상을 볼 수 있어 연구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번 실습에서 케이스로 정했던 대상자의 경우는 특히 지지체계가 부족한 고령의 환자인데다 뇌졸중이외에 고혈압과 기관지염을 앓고 있어 병의 상태가 더욱 위중해 보였다.
뇌졸중 치료 뿐 아니라 고혈압과 기관지염의 까지 병행하다보니 대상자는 많이 쇠약한 상태였고 L-tube Feeding을 하고 침상에서 거의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여서 특히 의료인의 손길이 많이 필요한 대상자였다.
그런 대상자를 상대로 연구를 하느라 어려운 점도 많았지만 그 만큼 뇌졸중이나 기타 질병에 대해 더 자세하게 이론을 토대로 직접 관찰할 수 있어서 배울 점이 많았던 연구였다.
간호학을 배우고 있는 입장이면서도 평소 막연하게만 생각했었던 뇌졸중에 대해 이번 연구를 계기로 더 많이 알게 되었고 배울 수 있어 뜻 깊은 연구가 되었고 실제로 뇌졸중을 앓고 있는 대상자를 옆에서 지켜봄으로써 이 병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도 되었다.
실로 무서운병인 뇌졸중의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더 대중화 되고 알려져서 조금이라도 막을 수 있고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보며 이번 연구를 마칠까 한다.
2. 제언
이번 연구에 있어서 환자의 간호력 수집에 있어 최대한 대상자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노력했던 점과 문헌고찰에서 뇌졸중이라는 병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고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던 점이 좋았다.
그러나 간호과정에서 진단을 하고 계획과 수행을 한 후에 그 대상자를 좀 더 오래 관찰하고 실제로 오랜 기간 환자의 변화 상태나 또 그것을 토대로 계획을 수정하고 재계획할 수 있는 기간이 부족했던 점이 아쉬웠다.
짧은 실습기간으로 좀 더 지속적인 관찰을 토대로 한 간호과정을 이루지 못한 점이 아쉬웠고, 앞으로는 더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 김명자 외 (2005), 최신기본간호학 上·下, 서울, 현문사
· 송경애 외 (2005), 기본간호의 실제, 서울, 현문사
· 이향연 외 (2001), 성인간호학 Ⅰ·Ⅱ, 서울, 수문사
· Sally S. Roach(2005), 간호사를 위한 임상 약리학, 서울, E*PUBLIC
· 김조자 외(2006), 기초간호과학, 서울, 수문사
· CJ제일제당 전문의약제, http://www.cjmall.com/, ‘08년 2월 4일 참고.
· 대웅제약 전문의약제 http://www.daewoong.co.kr, ‘08년 2월 4일 참고.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9.04.1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3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