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그 나라의 정치, 사회, 경제, 민족성 등을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진리는 비단 미국뿐만이 아닌 모든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 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거꾸로 생각해 보면 한 나라의 대중문화를 살펴보면 그 나라의 특성을 알 수 있다는 뜻도 된다. 이렇듯 대중문화는 민중들의 의식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타 문화를 이해하고자 할 때 그들의 대중문화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정희준, 미국 신보수주의와 대중문화 읽기(람보에서 마이클 조든까지), 책세상, 2007
제임스 밀러 저,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미국 신좌파운동과 참여민주주의), 개마고원, 2010
록 음악과 미국 정치
(2010.11.24)
국제관계학과
200710446
최진희
<참고문헌>
정희준, 미국 신보수주의와 대중문화 읽기(람보에서 마이클 조든까지), 책세상, 2007
제임스 밀러 저,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미국 신좌파운동과 참여민주주의), 개마고원, 2010
록 음악과 미국 정치
(2010.11.24)
국제관계학과
200710446
최진희
추천자료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일본문화는 저질문화인가?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성격과 실체비판 (A+리포트)
<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스타][연예인][팬클럽][백댄서][연예산업][대중문화]스타(연예인)와 문화, 스타(연예인)와 ...
[대중문화와매스컴미디어] 인터넷 댓글문화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한 댓글문화의 특성분석
[문화예술][문화예술진흥법][문화예술단체]문화예술의 개념, 문화예술의 문화예술진흥법, 문...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대중문화의 개념 및 특징과 과거와 현대의 대중문화 조사분석과 나아가야 할 길
[대중사회론]대중 가요을 통해 본 한국의 대중문화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대중문화와 기독교]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과 대중문화
[대중문화와 기독교] 기독교 문화와 대중문화 - 부실한 벽은 허물고 차라리 울타리를 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