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료제의 개념과 특징
2.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1) 계층제 vs 평등성
(2) 효율성 추구 vs 민주성 추구
(3) 전문성에 입각한 소수 관료들의 참여 vs 시민 참여
3. 한국 관료제의 문제점과 방안
(1) 관료제의 비민주화
(2) 소통의 부재
(3) 고질적 뇌물비리, 도덕적 해이
(4) 관료문화
(5) 고위공무원들의 특권의식
4. 결론 및 시사점
2.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1) 계층제 vs 평등성
(2) 효율성 추구 vs 민주성 추구
(3) 전문성에 입각한 소수 관료들의 참여 vs 시민 참여
3. 한국 관료제의 문제점과 방안
(1) 관료제의 비민주화
(2) 소통의 부재
(3) 고질적 뇌물비리, 도덕적 해이
(4) 관료문화
(5) 고위공무원들의 특권의식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를 거치면서 국가의 정부의 역할이 늘어나면서 관료제의 규모도 함께 커졌다. 관료제가 수행해야 할 분야의 범위가 커짐에 따라 행정뿐만 아니라 정책, 경제, 사회적 측면까지 개입하게 되고, 복잡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문성을 추구하게 되고, 관료들의 정보가 커다란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은 기본적으로 민주주의가 가지고 있는 속성과 다르다. 민주성을 추구하는 민주주의에 비해 관료제는 효율성을 더욱 추구하게 된다. 정보의 개방을 요구하는 민주주의에 반해 관료제는 발전하면서 정보의 조작이나 왜곡이 더욱 심화된다. 또한, 다원성과 개방성을 통한 시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민주주의와 비교해 관료제는 관료권이 강력해짐에 따라 전문성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이렇듯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속성은 판이하게 다르고 관료제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조직이나 관료제의 책임과 통제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현재 없기 때문에 민주주의와 관료제를 잘 조화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한국행정학 - 유민봉, 박영사, 2010
관료제와 시민사회 - 김창수, 한국학술정부(주), 2009
정부관료제 - 박천오, 법문사, 2007
지방공무원의 인사개혁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권경득, 한국행정연구원, 2006
팀제 도입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박천오, 이춘해, 한국행정논집, 2006
한국관료제의 병리현상과 해결방안에 관한 평가 - 석웅규, 연세대학교, 2006
한국 지방행정 옴브즈만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민, 조선대대학원, 2006
공무원 인적자원관리론 - 김택, 유종해, 한국학술정보(주), 2006
공직자의 도덕적 해이 현상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분석 - 김대군, 국민윤리연구, 2005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확보를 통한 조화의 모색 - 박천오 외, 행정논총. 2005
우리나라 공공관료의 부패유형별 분석 - 김용철, 한국부패학회보, 2004
한국 공무원 인사제도 개혁 - 김판석, 집문당, 2004
한국 관료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문정식,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004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 : 한국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박천오, 행정논총, 2004
학습관료제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부패방지정책의 문제점 분석 - 김상식, 한국부패학회, 2004
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 - 남궁근 외, 나남출판, 2000
지방관료부패와 대민행정 : 원인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김택, 한국행정학회, 2000
관료가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허명환, 한국세정신문사, 1999
공무원은 상전이 아니다 - 김정길, 베스트셀러, 1998
관료망국론과 재벌신화의 붕괴 - 박태견, 살림, 1997
Visions of Corruption Control and the Evolution of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 Anechiarico, F. and J. Jacob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94
이와 같은 특성들은 기본적으로 민주주의가 가지고 있는 속성과 다르다. 민주성을 추구하는 민주주의에 비해 관료제는 효율성을 더욱 추구하게 된다. 정보의 개방을 요구하는 민주주의에 반해 관료제는 발전하면서 정보의 조작이나 왜곡이 더욱 심화된다. 또한, 다원성과 개방성을 통한 시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민주주의와 비교해 관료제는 관료권이 강력해짐에 따라 전문성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된다.
이렇듯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속성은 판이하게 다르고 관료제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조직이나 관료제의 책임과 통제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현재 없기 때문에 민주주의와 관료제를 잘 조화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한국행정학 - 유민봉, 박영사, 2010
관료제와 시민사회 - 김창수, 한국학술정부(주), 2009
정부관료제 - 박천오, 법문사, 2007
지방공무원의 인사개혁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권경득, 한국행정연구원, 2006
팀제 도입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박천오, 이춘해, 한국행정논집, 2006
한국관료제의 병리현상과 해결방안에 관한 평가 - 석웅규, 연세대학교, 2006
한국 지방행정 옴브즈만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김종민, 조선대대학원, 2006
공무원 인적자원관리론 - 김택, 유종해, 한국학술정보(주), 2006
공직자의 도덕적 해이 현상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분석 - 김대군, 국민윤리연구, 2005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확보를 통한 조화의 모색 - 박천오 외, 행정논총. 2005
우리나라 공공관료의 부패유형별 분석 - 김용철, 한국부패학회보, 2004
한국 공무원 인사제도 개혁 - 김판석, 집문당, 2004
한국 관료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문정식,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004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 : 한국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박천오, 행정논총, 2004
학습관료제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부패방지정책의 문제점 분석 - 김상식, 한국부패학회, 2004
고위공무원 개방형 임용제도 - 남궁근 외, 나남출판, 2000
지방관료부패와 대민행정 : 원인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김택, 한국행정학회, 2000
관료가 바뀌어야 나라가 산다 - 허명환, 한국세정신문사, 1999
공무원은 상전이 아니다 - 김정길, 베스트셀러, 1998
관료망국론과 재벌신화의 붕괴 - 박태견, 살림, 1997
Visions of Corruption Control and the Evolution of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 Anechiarico, F. and J. Jacob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94
추천자료
시민사회의 정치교육
시민사회의 시민운동. 환경문제
한국시민사회와 NGO 분석과 전망
한국 민주주의의 형성과정, 한국의 헌법과 민주적 기본질서, 한국민주주의와 그 제약적 조건...
[헤겔][변증법][스피노자][주자]헤겔의 사상, 헤겔의 법에 대한 이념, 헤겔의 변증법, 헤겔의...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시민연합-사회복지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A+자료) 국가 존재의 정당성에 관한 조사분석과 소규모 공동체로서의 정치적 삶 및 국가-기...
시민사회와 NGO: 한국의 지방정치와 풀뿌리 시민운동의 과제
[제주 4 3사건]제주 4 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의 중요성, 규정, 제주 4 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의...
[시민][민주시민성][시민권][시민불복종운동][시민행동][시민사회][시민단체][민주시민][민주...
[시민연대][시민][연대][시민연대 역할][시민연대 문화연대][시민연대 총선시민연대][시민연...
[시민연대][시민][연대][총선시민연대][호주제폐지시민연대]시민연대의 형성, 시민연대와 문...
[안토니오 그람시][헤게모니론][보르디가 분파]안토니오 그람시의 약력, 안토니오 그람시의 ...
시민사회와 N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