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스트 비평의 이미지의 재현양식은 만들어지고 생산되고 조작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함.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노동투쟁 영화. 노동자의 입장을 지지하는 영화로 그 의미가 조작 될 가능성이 있다. 감독은 노동자와 자본자의 입장을 공정하게 그려내려고 노력했지만 분위기는 노동자의 입장을 드러내서 보여준다. 실존인물인 전태일의 투쟁을 위한 분신자살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계급투쟁의 개념을 어필한 작품.
8. 페미니스트 비평
. 남녀차별주의 사회 산물로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판에 박은 편견적 묘사를 자주 나타내는 영화들을 집중적으로 관찰하는 것.
. 여성들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취급되고 묘사되어 왔는가에 관찰하고 관심을 가짐.
. 여성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에 관심을 가짐.
. 영화 속에 나타난 여성들의 성격과 그 역할이 여성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분석 등에 비중을 둠. 오늘 현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성 역할은 상품화로 이용되고 있다. 여성의 에로티시즘, 누드화, 패션 등 상품화로서 남성들에게 눈요기 거리로 주로 어필되는 시대이다. 여성의 권익을 찾는 영화는 어떤 영화인가, 어떻게 영화를 만들어낼 것인가.
. <피아노>(1993) 한 여성이 남성의 난폭과 권위와 주도에 굴하지 않고 비록 말 못하는 불구의 여성이지만 피아노를 통해 자기 자신을 주장하고 드러낸다. 여성감독이 만든 작품. 자주적인 여성의 모습을 그리려고 하는 영화가 페미니즘 영화인데 이 작품이 바로 그렇다. 벙어리 처녀가 당시 미개했던 뉴질랜드 섬으로 건너가 나이 많은 남자와 살게 되고 원주민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삼각관계에 빠지게 되는 여인의 사랑의 투쟁. 여인의 시각에서 가치존재를 부각시키는 작품으로 페미니스트 비평의 대상이 된다.
9. 사회문화적 비평
. 영화를 제작한 사회를 잘 이해하기 위해 영화를 이용하는 것.
. 영화의 내용과 어떻게 영화가 ‘문화적 가공품 cultural artifacts\' 으로 이용되는가에 관심을 갖고 분석함.
. 한 사회의 정치적 구조와 그 사회의 피상적 관습, 사고방식을 전제로 한 그 사회의 희망, 꿈, 공포 등 영화 속에 나타난 모든 것을 검토함. 사회 문화적 비평 대상 영화는 모두가 될 수 있다. 영화가 사회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는가 읽어내는 것이 때문에 그 속에 있는 사고방식과 관습들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 <학생부군신위> 장례식을 다른 관점에서 보여 줌. 오늘날 사회의 새로운 관점을 읽어낼 수 있다. 우리의 장례문화를 색다른 시각에서 보여주는 박철수 감독의 작가적인 작품이다. 장례의 분위기를 슬프지 않고 즐겁게만 하는 일본의 분위기를 표절했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 우리의 장례식 분위기를 새롭게 조명하는 작품. 사회문화의식을 새롭게 조명해주는 대표적인 기능을 하는 작품이다. 사회문화적 비평 역시 정치적 비평 역시 영화를 만드는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관점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영화사 또는 개인이기 때문에 그러한 관점은 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 영화를 보는 다양한 관점을 비평 방식을 토대로 가져봐야 한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원하는 쪽으로 영화를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10. 영상문화
. ‘영상’ 이라는 용어의 애매모호한 개념은 영호와의 차이성을 지적하는 것임.
. 이제 영화라는 문화적 행위는 제한된 범주에서 벗어나 영상이라는 폭넓은 의미로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음. 필름에 새겨지는 영상을 영사기를 통해서 극장의 스크린에서 만나야만 하는 제한된 범주에서 벗어나 비디오 영상과 컴퓨터 영상이 연출하는 CD롬 등 영상이라는 폭 넓은 의미로서 영화보다 더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음.
영상은 필름에 의한 아날로그적 이미지에서 탈피 → 전자화 되는 디지털적 이미지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
. 1990년대 이후 우리의 영상문화 수용방식 -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음.
. 영상문화의 창조에 동참하는 적극적인 참여의식은 결국 오늘의 영상 소비자를 동시에 영화 영상 창조자로 변화시키고 있음.
. 16세기 르네상스 이후 신 중심의 숭배문화에서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으로 전환한 근대화 이후 등장한 주도권자에 의한 문화의 이데올로기 생산은 모더니즘의 등장으로 위협받음.
모더니즘은 부르조아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조롱하며 파괴하였음. 문화의 개인주의, 문화민주주의의 시작이었음.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문화적 경계가 허물어짐. 눈에 보이는 대로 수용하는 도구로서 디지털 영상의 등장은 가장 이상적인 모더니즘의 성취를 가능하도록 만듬.
. 기계복제 시대에서 예술매체가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텍스트들이 생산 되고 수용되고 있음.
. 영상문화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영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거론해야 하고 새로운 영상정책을 확립해야 함.
. 포스트모던화의 문화수용자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참여자이자 생산자로서 엄청난 문화환경의 변화를 극복할 수 잇을 것이며 영상혁명을 통한 민주주의 영상문화 시대의 도래를 앞당길 것임.
Q1. 영화비평방식과 관련이 없는 것은? 3
①장르비평 ②페미니즘비평 ③학구적 비평 ④사회문화적 비평
Q2. 영화기호학에 근거를 둔 영화비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4
①영화를 보는 작업에서 읽고 검증하는 작업으로 전환 ②기호학적 비평은 기호학 요소들의 관계에 관심
③텍스트 내에서 의미생산을 강조 ④사회문화적 비평
<학습정리>
1. 비평방식은 장르비평, 미쟝센 비평, 작가주의 비평, 기호학적 비평, 정신분석학적 비평, 정치적 비평, 막시스트 비평, 페미니스트비평, 사회문화적 비평이 있다.
2. 영상문화의 수용방식은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확대되어 영상문화의 창조에 동참하는 적극적인 참여의식은 오늘의 영상 소비자를 동시에 영상창조자로 변화시키고 있다.
3.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러 모든 문화적 경계가 허물어지고 눈에 보이는 대로 수용하는 도구로서 디지털 영상의 등장은 가장 이상적인 모더니즘의 성취를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4. 기계복제 시대에서 예술매치가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텍스트들이 생산되고 수용되는 영상문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영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거론해야 하고 여기에 걸 맞는 영상정책이 요구된다.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노동투쟁 영화. 노동자의 입장을 지지하는 영화로 그 의미가 조작 될 가능성이 있다. 감독은 노동자와 자본자의 입장을 공정하게 그려내려고 노력했지만 분위기는 노동자의 입장을 드러내서 보여준다. 실존인물인 전태일의 투쟁을 위한 분신자살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계급투쟁의 개념을 어필한 작품.
8. 페미니스트 비평
. 남녀차별주의 사회 산물로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판에 박은 편견적 묘사를 자주 나타내는 영화들을 집중적으로 관찰하는 것.
. 여성들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취급되고 묘사되어 왔는가에 관찰하고 관심을 가짐.
. 여성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에 관심을 가짐.
. 영화 속에 나타난 여성들의 성격과 그 역할이 여성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분석 등에 비중을 둠. 오늘 현대 사회에서의 여성의 성 역할은 상품화로 이용되고 있다. 여성의 에로티시즘, 누드화, 패션 등 상품화로서 남성들에게 눈요기 거리로 주로 어필되는 시대이다. 여성의 권익을 찾는 영화는 어떤 영화인가, 어떻게 영화를 만들어낼 것인가.
. <피아노>(1993) 한 여성이 남성의 난폭과 권위와 주도에 굴하지 않고 비록 말 못하는 불구의 여성이지만 피아노를 통해 자기 자신을 주장하고 드러낸다. 여성감독이 만든 작품. 자주적인 여성의 모습을 그리려고 하는 영화가 페미니즘 영화인데 이 작품이 바로 그렇다. 벙어리 처녀가 당시 미개했던 뉴질랜드 섬으로 건너가 나이 많은 남자와 살게 되고 원주민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삼각관계에 빠지게 되는 여인의 사랑의 투쟁. 여인의 시각에서 가치존재를 부각시키는 작품으로 페미니스트 비평의 대상이 된다.
9. 사회문화적 비평
. 영화를 제작한 사회를 잘 이해하기 위해 영화를 이용하는 것.
. 영화의 내용과 어떻게 영화가 ‘문화적 가공품 cultural artifacts\' 으로 이용되는가에 관심을 갖고 분석함.
. 한 사회의 정치적 구조와 그 사회의 피상적 관습, 사고방식을 전제로 한 그 사회의 희망, 꿈, 공포 등 영화 속에 나타난 모든 것을 검토함. 사회 문화적 비평 대상 영화는 모두가 될 수 있다. 영화가 사회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는가 읽어내는 것이 때문에 그 속에 있는 사고방식과 관습들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
. <학생부군신위> 장례식을 다른 관점에서 보여 줌. 오늘날 사회의 새로운 관점을 읽어낼 수 있다. 우리의 장례문화를 색다른 시각에서 보여주는 박철수 감독의 작가적인 작품이다. 장례의 분위기를 슬프지 않고 즐겁게만 하는 일본의 분위기를 표절했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 우리의 장례식 분위기를 새롭게 조명하는 작품. 사회문화의식을 새롭게 조명해주는 대표적인 기능을 하는 작품이다. 사회문화적 비평 역시 정치적 비평 역시 영화를 만드는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관점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영화사 또는 개인이기 때문에 그러한 관점은 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 영화를 보는 다양한 관점을 비평 방식을 토대로 가져봐야 한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원하는 쪽으로 영화를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10. 영상문화
. ‘영상’ 이라는 용어의 애매모호한 개념은 영호와의 차이성을 지적하는 것임.
. 이제 영화라는 문화적 행위는 제한된 범주에서 벗어나 영상이라는 폭넓은 의미로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음. 필름에 새겨지는 영상을 영사기를 통해서 극장의 스크린에서 만나야만 하는 제한된 범주에서 벗어나 비디오 영상과 컴퓨터 영상이 연출하는 CD롬 등 영상이라는 폭 넓은 의미로서 영화보다 더 광범위하게 수용되고 있음.
영상은 필름에 의한 아날로그적 이미지에서 탈피 → 전자화 되는 디지털적 이미지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
. 1990년대 이후 우리의 영상문화 수용방식 -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음.
. 영상문화의 창조에 동참하는 적극적인 참여의식은 결국 오늘의 영상 소비자를 동시에 영화 영상 창조자로 변화시키고 있음.
. 16세기 르네상스 이후 신 중심의 숭배문화에서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으로 전환한 근대화 이후 등장한 주도권자에 의한 문화의 이데올로기 생산은 모더니즘의 등장으로 위협받음.
모더니즘은 부르조아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조롱하며 파괴하였음. 문화의 개인주의, 문화민주주의의 시작이었음.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문화적 경계가 허물어짐. 눈에 보이는 대로 수용하는 도구로서 디지털 영상의 등장은 가장 이상적인 모더니즘의 성취를 가능하도록 만듬.
. 기계복제 시대에서 예술매체가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텍스트들이 생산 되고 수용되고 있음.
. 영상문화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영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거론해야 하고 새로운 영상정책을 확립해야 함.
. 포스트모던화의 문화수용자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참여자이자 생산자로서 엄청난 문화환경의 변화를 극복할 수 잇을 것이며 영상혁명을 통한 민주주의 영상문화 시대의 도래를 앞당길 것임.
Q1. 영화비평방식과 관련이 없는 것은? 3
①장르비평 ②페미니즘비평 ③학구적 비평 ④사회문화적 비평
Q2. 영화기호학에 근거를 둔 영화비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4
①영화를 보는 작업에서 읽고 검증하는 작업으로 전환 ②기호학적 비평은 기호학 요소들의 관계에 관심
③텍스트 내에서 의미생산을 강조 ④사회문화적 비평
<학습정리>
1. 비평방식은 장르비평, 미쟝센 비평, 작가주의 비평, 기호학적 비평, 정신분석학적 비평, 정치적 비평, 막시스트 비평, 페미니스트비평, 사회문화적 비평이 있다.
2. 영상문화의 수용방식은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확대되어 영상문화의 창조에 동참하는 적극적인 참여의식은 오늘의 영상 소비자를 동시에 영상창조자로 변화시키고 있다.
3.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러 모든 문화적 경계가 허물어지고 눈에 보이는 대로 수용하는 도구로서 디지털 영상의 등장은 가장 이상적인 모더니즘의 성취를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4. 기계복제 시대에서 예술매치가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텍스트들이 생산되고 수용되는 영상문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영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거론해야 하고 여기에 걸 맞는 영상정책이 요구된다.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기말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기말고사 예상문제 - 카톨릭상지대학(사이버대학)
장애인복지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한국국제대학(사이버대학)
정신건강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정신건강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성화대학(사이버대학)
정신건강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카톨릭상지대학(사이버대학)
지역사회복지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지역사회복지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한국국제대학(사이버대학)
청소년복지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청소년복지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한국국제대학(사이버대학)
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고사 예상문제 - 성민대학(사이버대학)
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고사 예상문제 - 성화대학(사이버대학)
사회학개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교양과목-생활과환경- 기말고사 예상문제 - 명신대학(사이버대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