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용어, 낱말)들의 정의와 해설
2) 개념들의 조작화
3) 학문적 진술들 의 종류
4) 이론들, 가설들 그리고 이것들의 검증
2) 개념들의 조작화
3) 학문적 진술들 의 종류
4) 이론들, 가설들 그리고 이것들의 검증
본문내용
, 막걸리 등)은 동일한 결과-구성 요소들에 있어서 정보 내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4) 이론들, 가설들 그리고 이것들의 검증
- 경험적-분석적 연구 및 이의 학문 이론의 틀 속에서 결정적인 문제는, 경험적 이론들의 진리 가치를 파악하는 데 놓여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발견 연관(발견 맥락)과 정초 연관(정당화 맥락) 사이에 구분이 이뤄져야만 한다.
예) “6원자 고리 결합체이다”- 꿈 속에서 뱀이 자기 꼬리를 물었다(꿈)- 발견 연관
- X선 투절했더니 육각형 모양 보임- 정초 연관
- 더 이전의 실증주의 속에서는 예컨대 귀납 추리를 매개로 관찰들, 실험들 등을 서술하는 “특수한 명제들로부터 일반적 명제들, 가설들 내지 이론들로의” 추론이 이루어지면서, (진술들의 진리)-참의 근거는 귀납법이다! 가 귀납 원리의 도움으로 증명된다고 하였다.
이 점이 언제나 단지 미미한 수의 사례들에 있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의 주장을 지닌 가설들의 실증은 근본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가설들은 그런 까닭에 실증될 수는 없고, 오히려 반증될 수 밖에 없다.
※ 헴펠-오펜하임-모델(가설 연역적 설명 모델)
1. 법칙
2. 주변 조건들 : 설명항
------------------------------------------
1과 2에서부터 설명되는 명제(명제들): 피설명항
- 가설/법칙: 모든 철은 전기를 전달한다는 하나의 법칙이 있다면,
- 주변 조건: 그리고 일정한 막대가 철로부터 만들어져 있다면, : 설명항
- 피설명항: 그러면 이 막대는 전기를 전달한다.
→ 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
예) 물이 얼면 팽창한다- 법칙
물이 얼었다(어제)- 주변조건 : 설명항 - 가설의 법칙
사발이 깨졌다 : 피설명항 - 벌어진 현상
- 사회과학들은 비-결정론적인 타당성 주장을 지닌 가설들을, 즉 개연적인 가설들(개연성 등급을 지닌 가설들)을 이용한다. “처벌하게 되어 있는 인물들의 대략 95%가 재발하게 된다”- 개연성
- “통계적 가설들에 있어서 끊임없이 이중적인 오류 가능성에 내맡겨져 있는 것이다: a. 잘못된 것을 올바른 것으로 간주하거나 b. 올바른 가설들을 외견상 모순된 경험 자료들에 의거해 배격하는 오류” 따라서 개연성 진술들(통계적 진술들)에 있어서의 더 큰 불확실설 요인들에 의거해, 무엇이 타당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에 대한 학자들 사이의 관습주의적인 동의 형성에, 결정론적인 법칙들에 있어서 보다 더 큰 의미가 부가된다.
4) 이론들, 가설들 그리고 이것들의 검증
- 경험적-분석적 연구 및 이의 학문 이론의 틀 속에서 결정적인 문제는, 경험적 이론들의 진리 가치를 파악하는 데 놓여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발견 연관(발견 맥락)과 정초 연관(정당화 맥락) 사이에 구분이 이뤄져야만 한다.
예) “6원자 고리 결합체이다”- 꿈 속에서 뱀이 자기 꼬리를 물었다(꿈)- 발견 연관
- X선 투절했더니 육각형 모양 보임- 정초 연관
- 더 이전의 실증주의 속에서는 예컨대 귀납 추리를 매개로 관찰들, 실험들 등을 서술하는 “특수한 명제들로부터 일반적 명제들, 가설들 내지 이론들로의” 추론이 이루어지면서, (진술들의 진리)-참의 근거는 귀납법이다! 가 귀납 원리의 도움으로 증명된다고 하였다.
이 점이 언제나 단지 미미한 수의 사례들에 있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보편타당성의 주장을 지닌 가설들의 실증은 근본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가설들은 그런 까닭에 실증될 수는 없고, 오히려 반증될 수 밖에 없다.
※ 헴펠-오펜하임-모델(가설 연역적 설명 모델)
1. 법칙
2. 주변 조건들 : 설명항
------------------------------------------
1과 2에서부터 설명되는 명제(명제들): 피설명항
- 가설/법칙: 모든 철은 전기를 전달한다는 하나의 법칙이 있다면,
- 주변 조건: 그리고 일정한 막대가 철로부터 만들어져 있다면, : 설명항
- 피설명항: 그러면 이 막대는 전기를 전달한다.
→ 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
예) 물이 얼면 팽창한다- 법칙
물이 얼었다(어제)- 주변조건 : 설명항 - 가설의 법칙
사발이 깨졌다 : 피설명항 - 벌어진 현상
- 사회과학들은 비-결정론적인 타당성 주장을 지닌 가설들을, 즉 개연적인 가설들(개연성 등급을 지닌 가설들)을 이용한다. “처벌하게 되어 있는 인물들의 대략 95%가 재발하게 된다”- 개연성
- “통계적 가설들에 있어서 끊임없이 이중적인 오류 가능성에 내맡겨져 있는 것이다: a. 잘못된 것을 올바른 것으로 간주하거나 b. 올바른 가설들을 외견상 모순된 경험 자료들에 의거해 배격하는 오류” 따라서 개연성 진술들(통계적 진술들)에 있어서의 더 큰 불확실설 요인들에 의거해, 무엇이 타당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가에 대한 학자들 사이의 관습주의적인 동의 형성에, 결정론적인 법칙들에 있어서 보다 더 큰 의미가 부가된다.
추천자료
일본 문화 개방에 대하여..
중3 본시지도안
Team 10의 성립과 성격, 중심 건축가, 도시이념 및 특징에 대한 레포트
우리나라예산심의의 문제점
[유아사회교육B형]도덕성발달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정리하고, 유치원과 가정에서 활용할 수 ...
한국교회의 행정적인 미숙과 문제점의 분석 및 해결책(D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학교 3학년 사회 본시지도안
고등학교 사회, 10학년 사회 본시지도안
학문 중심 교육과정
교육 과정
식민지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화론 등장배경, 내재적발전론 비교, 의의 및 한계
피에르 부르디외와 아비투스 이론
음악 및 동작활동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유아수학교육의 개념을 찾아보고 활동계획서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