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욕의 정의
욕의 사용 목적
욕 사용시 심리상태
욕설의 양상
1)출신, 성분의 비하
2)용모, 행실의 비하
3) 형벌 관련 욕설
4)질병에 의한 저주
5)의미 변화에 따라 욕이 된 경우
6) 성관련 욕
-쉬어가기 - 욕 이쁘게 하는 법
결 론
♤ 참고문헌
욕의 사용 목적
욕 사용시 심리상태
욕설의 양상
1)출신, 성분의 비하
2)용모, 행실의 비하
3) 형벌 관련 욕설
4)질병에 의한 저주
5)의미 변화에 따라 욕이 된 경우
6) 성관련 욕
-쉬어가기 - 욕 이쁘게 하는 법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명을 해야 한다는군요...아~불쾌해...
결 론
지금까지 욕의 정의에서부터 욕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언어는 사회성과 문화적 수준을 직접 반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가 불건전 하면 언어도 불건전하기 마련이다. 인정이 넘치고 살기 좋은 사회에서는 정겹고 즐거운 언어가 오가지만 인정에 각박하고 살기 어려운 사회에서는 거칠고 삭막한 언어가 사용된다. 그 예로 옛날에는 ‘오살할’, ‘육시랄’, ‘급살 맞다’ 등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쳐 죽이다’, ‘찢어죽이다’, ‘씹어 먹다’, ‘잡아먹다’, ‘갈아 마시다’, ‘말려죽이다’,‘목을 댕강댕강 자르다’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는 옛날에 비해 인간성 상실로 말미암아 빚어진 인심의 각박함, 비정, 살벌함을 잘 보여주는 것이고. 이에 반해 ‘씨발’의 변화형태로 신발끈, 쓰벌, 십원짜리 등이 쓰이고, ‘좆나’는 조낸, 졸라,졸리 등은 통신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순화된 형태의 욕설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그러나 욕이 순화된 형태로 나타나거나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널리 사용 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우리 시대가 경제난이나 실업난 등으로 불안정한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나왔듯이 사람들이 욕을 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끼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욕의 형태는 변하겠지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이주행 < 한국어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이해 > 2005년 한국문화사
천소영 < 한국어와 한국문화 > 2005년 우리책
http://kin.naver.com/open100
** 반송중학교 학생들
** 국문과 학우들
결 론
지금까지 욕의 정의에서부터 욕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언어는 사회성과 문화적 수준을 직접 반영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가 불건전 하면 언어도 불건전하기 마련이다. 인정이 넘치고 살기 좋은 사회에서는 정겹고 즐거운 언어가 오가지만 인정에 각박하고 살기 어려운 사회에서는 거칠고 삭막한 언어가 사용된다. 그 예로 옛날에는 ‘오살할’, ‘육시랄’, ‘급살 맞다’ 등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쳐 죽이다’, ‘찢어죽이다’, ‘씹어 먹다’, ‘잡아먹다’, ‘갈아 마시다’, ‘말려죽이다’,‘목을 댕강댕강 자르다’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는 옛날에 비해 인간성 상실로 말미암아 빚어진 인심의 각박함, 비정, 살벌함을 잘 보여주는 것이고. 이에 반해 ‘씨발’의 변화형태로 신발끈, 쓰벌, 십원짜리 등이 쓰이고, ‘좆나’는 조낸, 졸라,졸리 등은 통신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순화된 형태의 욕설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그러나 욕이 순화된 형태로 나타나거나 사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널리 사용 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우리 시대가 경제난이나 실업난 등으로 불안정한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나왔듯이 사람들이 욕을 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끼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욕의 형태는 변하겠지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이주행 < 한국어 사회방언과 지역방언의 이해 > 2005년 한국문화사
천소영 < 한국어와 한국문화 > 2005년 우리책
http://kin.naver.com/open100
** 반송중학교 학생들
** 국문과 학우들
추천자료
텍스트 의미 구조의 과정 중심 분석 방법 연구
언어지식 - 한언어를 안다는것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학교문법정리
형용사 파생 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답-, -스럽, -롭-, 하-’와 ‘-的’의 경우’)
온라인과 오프라인 용어
비고츠키, 와이너, 반두라, 켈러 이론 핵심개념정리
한국어의 특징
띄어쓰기
[언어지식]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기본방향, 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필요성, ...
합성어의 기준
[내부구조, 내부구조와 합성명사, 내부구조와 위치마디, 내부구조와 합성동사, 내부구조와 위...
[언어의 이해 D형] 소쉬르 언어연구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시오.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국문학개론] - 한,몽 언어 문화적 특성 비교 연구 - 언어사고 방식을 중심으로,이론적 배경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