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미술공예운동의 의의
1) 존 러스킨과 윌리엄 모리스의 예술관
2. 미술공예운동의 특징 및 사례
3. 미술공예운동의 한계와 영향
1) 아르누보의 양식의 형성배경과 전개
2) 아르누보의 양식의 특징
3) 아르누보의 대표 작가
4) 미술공예 운동과의 비교
Ⅲ. 결 론
Ⅱ. 본 론
1. 미술공예운동의 의의
1) 존 러스킨과 윌리엄 모리스의 예술관
2. 미술공예운동의 특징 및 사례
3. 미술공예운동의 한계와 영향
1) 아르누보의 양식의 형성배경과 전개
2) 아르누보의 양식의 특징
3) 아르누보의 대표 작가
4) 미술공예 운동과의 비교
Ⅲ. 결 론
본문내용
한 미술공예운동은 고딕미술의 역사적 양식과 유기적 양식을 보인다. 이는 정식적 모델로서 중세 길드를 택하였기 때문이다. 미술공예운동에서 장인은 곧 예술가로 예술행위 그 자체는 사회에서 선이라는 긍정적인 힘을 고취하고 제공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의 맥락에서 기존의 예술이 가지던 High Art, 부유한 이들이 향유하던 전유물의 예술을 대중의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계급적 차별을 배제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아르누보의 경우에는 그 핵심이 장식에 있었다. 식물모양을 공예양식에 도입하여 양식미를 강조하였다. 백합꽃의 줄기를 연상시키는 감각적인 곡선, 곤충의 촉각, 가느다란 화염 그리고 유기적인 곡선 등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아르누보는 여성과 이국적인 예술형식을 반영하였다. 나른한 모습의 여성상을 식물과 꽃 등의 독특한 주제로 구성하였다. 아르누보의 작가 티파니의 경우는 로마의 세공품을 모방하고 , 그 위에 무지개빛을 강조하는 등 고대 형식에 관심을 갖는 것 외에 극동의 예술형식을 추구하였다. 이런 양식미의 특성은 고전장식의 형식인 유일한 아칸더스 황금율을 추방한 셈이다. 이와 같은 특징적 장식미에 대하여 종종 ‘여성예술’이라 불리기도 하는 한편 월터 크레인(Walter Crane)는 ‘괴상한 장식병’이라 비판하기도 하였다. 카린 자그너, 심희섭 번역, ‘아떻게 이해할까?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
랜돌프 칼데콧과 케이트 그리너웨이와 함께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3대 그림책 작가이다. 그 자신은 아르누보를 기묘한 장식의 병이라 표현했지만 보다 수준높은 생활용품을 창조하고자 했던 그의 열정은 아르누보 운동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Ⅲ 결 론.
“모든 사람은 자기 나름의 규칙과 법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사물과 상황의 지각에 있어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토마스 쿤’은 역설했다. 토머스 새무엘 쿤, 김명자 번역,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2007
이는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성향이 있으며, 그 외의 것은 자신의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에 따라 잘못 보거나 혹은 사물, 현상을 선택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 비추어 디자인사를 보면 산업혁명에 따른 이들 두 운동은 디자인의 역사에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디자인이란 어원적으로 설계 혹은 도안을 뜻하지만 이는 단편적인 부분이다. 디자인은 이보다 복합적인 의미를 가진다. 디자인이라는 것이 인류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한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디자인은 항상 ‘인간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실체의 세계’인 것이다. 인간이 의미 있는 것을 실체화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노력해온 결과가 인간의 생활이고, 문명의 세계이며, 따라서 생활의 실체, 문명의 실체가 곧 디자인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산업혁명에 들어서면서 디자인을 단순히 시각적이고 상품적인 것으로 정의하게 된다. 디자인을 오로지 이익의 수단으로 정의한 것이다.
그러나 미술공예운동과 아르누보, 두 운동은 이러한 편협한 시각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한다. 예술을 인간의 가장 고귀한 행위로 정의한 이들 두 운동은 기존의 미술 질서를 거부하고 현대디자인의 지평을 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물론 이들 두 운동에 한계는 존재한다. 가령 미술공예운동은 디자인을 통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주의를 지향하였지만, 이를 실천함에서 예술가 자신의 연합과 실천에만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수공예를 중시하였기에, 이에 따른 예술품들은 고가로 거래되었다. 한편 아르누보의 경우 장식을 지나치게 중시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이들 두 운동은 디자인과 인간, 그리고 사회를 모두 복합적인 관계로 정의하고, 이전의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려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두 운동은 디자인 역사의 지평을 연 예술의 혁명이라 할 수 있다.
Ⅳ 출 처
<참고서적>
박연실, <디자인문화와 생활> 강의교안, daum.net.cafe, art design aesthetics
박홍규,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페니스피크, 편집부 옮김,『현대디자인의 전개』, 미진사, 1990
· 카린 자그너, 심희섭 옮김,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05
리디아 L. 데빌, 진임선 옮김, 『아르누보:한눈에 보는 흥미로운 아르누보의 세계』,예경, 2005
카린 자그너, 심희섭 번역, ‘아떻게 이해할까?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
<참고자료>
· 개인홈페이지, http://rmsk0424.blog.me/120110667209
그러나 아르누보의 경우에는 그 핵심이 장식에 있었다. 식물모양을 공예양식에 도입하여 양식미를 강조하였다. 백합꽃의 줄기를 연상시키는 감각적인 곡선, 곤충의 촉각, 가느다란 화염 그리고 유기적인 곡선 등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아르누보는 여성과 이국적인 예술형식을 반영하였다. 나른한 모습의 여성상을 식물과 꽃 등의 독특한 주제로 구성하였다. 아르누보의 작가 티파니의 경우는 로마의 세공품을 모방하고 , 그 위에 무지개빛을 강조하는 등 고대 형식에 관심을 갖는 것 외에 극동의 예술형식을 추구하였다. 이런 양식미의 특성은 고전장식의 형식인 유일한 아칸더스 황금율을 추방한 셈이다. 이와 같은 특징적 장식미에 대하여 종종 ‘여성예술’이라 불리기도 하는 한편 월터 크레인(Walter Crane)는 ‘괴상한 장식병’이라 비판하기도 하였다. 카린 자그너, 심희섭 번역, ‘아떻게 이해할까?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
랜돌프 칼데콧과 케이트 그리너웨이와 함께 19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3대 그림책 작가이다. 그 자신은 아르누보를 기묘한 장식의 병이라 표현했지만 보다 수준높은 생활용품을 창조하고자 했던 그의 열정은 아르누보 운동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Ⅲ 결 론.
“모든 사람은 자기 나름의 규칙과 법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사물과 상황의 지각에 있어 필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토마스 쿤’은 역설했다. 토머스 새무엘 쿤, 김명자 번역,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 2007
이는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성향이 있으며, 그 외의 것은 자신의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에 따라 잘못 보거나 혹은 사물, 현상을 선택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 비추어 디자인사를 보면 산업혁명에 따른 이들 두 운동은 디자인의 역사에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
디자인이란 어원적으로 설계 혹은 도안을 뜻하지만 이는 단편적인 부분이다. 디자인은 이보다 복합적인 의미를 가진다. 디자인이라는 것이 인류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한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디자인은 항상 ‘인간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실체의 세계’인 것이다. 인간이 의미 있는 것을 실체화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노력해온 결과가 인간의 생활이고, 문명의 세계이며, 따라서 생활의 실체, 문명의 실체가 곧 디자인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산업혁명에 들어서면서 디자인을 단순히 시각적이고 상품적인 것으로 정의하게 된다. 디자인을 오로지 이익의 수단으로 정의한 것이다.
그러나 미술공예운동과 아르누보, 두 운동은 이러한 편협한 시각에서 탈피하려고 노력한다. 예술을 인간의 가장 고귀한 행위로 정의한 이들 두 운동은 기존의 미술 질서를 거부하고 현대디자인의 지평을 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물론 이들 두 운동에 한계는 존재한다. 가령 미술공예운동은 디자인을 통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주의를 지향하였지만, 이를 실천함에서 예술가 자신의 연합과 실천에만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수공예를 중시하였기에, 이에 따른 예술품들은 고가로 거래되었다. 한편 아르누보의 경우 장식을 지나치게 중시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하지만 이들 두 운동은 디자인과 인간, 그리고 사회를 모두 복합적인 관계로 정의하고, 이전의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려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두 운동은 디자인 역사의 지평을 연 예술의 혁명이라 할 수 있다.
Ⅳ 출 처
<참고서적>
박연실, <디자인문화와 생활> 강의교안, daum.net.cafe, art design aesthetics
박홍규,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개마고원, 1998
페니스피크, 편집부 옮김,『현대디자인의 전개』, 미진사, 1990
· 카린 자그너, 심희섭 옮김,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05
리디아 L. 데빌, 진임선 옮김, 『아르누보:한눈에 보는 흥미로운 아르누보의 세계』,예경, 2005
카린 자그너, 심희섭 번역, ‘아떻게 이해할까? 아르누보’, 미술문화, 2007
<참고자료>
· 개인홈페이지, http://rmsk0424.blog.me/120110667209
추천자료
[조소][미술 조소][조소(미술 조소) 의의][조소(미술 조소) 분류][조소(미술 조소) 교육적 효...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미술교육)의 성취기준과 실태,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미술교육)의 내...
[신고전주의 미술][회화][화가][신고전주의 미술의 영향]신고전주의 미술의 특징, 신고전주의...
[일본 미술교육][일본 미술교육 교과서][일본 미술교육 감상영역]일본 미술교육의 특징, 일본...
[르네상스 미술]르네상스 미술의 의의, 르네상스 미술의 기원, 르네상스 미술의 회화, 르네상...
[후기인상파미술][고갱]후기인상주의(후기인상파) 미술의 의미, 후기인상주의(후기인상파) 미...
[미술과 발상지도][조소표현력신장]미술과 발상지도의 유형, 미술과 발상지도의 과정, 미술과...
[다다이즘 미술][초현실주의][다다이스트]다다이즘 미술의 의미, 다다이즘 미술의 특징, 다다...
[불교미술][불교미술의 분류][불교미술의 특징][불교미술의 전개][불교미술의 기능][불교미술...
[초현실주의 미술][데칼코마니][수학교육]초현실주의 미술의 의미, 초현실주의 미술의 특징, ...
[미술관][미술관 기능][미술관 교육적 기능][미술관 행정][미술관 전시공간][미술관 관람자조...
[미술감상][미술감삼활동][미술작품감상][미술품]미술감상의 개념, 미술감상의 필요성, 미술...
[유아미술치료][유아교육][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유아미술치료 개념, 유아미술치료 가치, ...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미술치료의 특성, 미술치료의 분류, 미술치료의 역사, 미술치료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