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다이즘 미술][초현실주의][다다이스트]다다이즘 미술의 의미, 다다이즘 미술의 특징, 다다이즘 미술의 정신, 다다이즘 미술과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미술의 다다이스트, 다다이즘 미술의 영향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다이즘 미술][초현실주의][다다이스트]다다이즘 미술의 의미, 다다이즘 미술의 특징, 다다이즘 미술의 정신, 다다이즘 미술과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미술의 다다이스트, 다다이즘 미술의 영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다다이즘 미술의 의미

Ⅲ. 다다이즘 미술의 특징

Ⅳ. 다다이즘 미술의 정신
1. 다다의 기본적 원칙은 부정이다
2. 예술은 죽었다
3. 무(無) 의 정신

Ⅴ. 다다이즘 미술과 초현실주의

Ⅵ. 다다이즘 미술의 다다이스트
1. 쮜리히 다다
2. 뉴욕 다다

Ⅶ. 다다이즘 미술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맡겨진 작품을 제작하였다.(반이성의 결과)
2. 뉴욕 다다
1914년 수많은 유럽 이민자들이 자유로운 미국으로 몰려들어 뉴욕에 있던 전위예술가들의 단체(사진작가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의 화랑, 예술 후원자 월터 콘라스 알젠버그의 살롱)와 급속도로 접촉함으로써 뉴욕 다다가 시작되었다. 유럽은 1차대전에서 문화전통과 과학문명의 합리성에 대한 걷잡을 수 없는 불신을 낳았다. 가난과 재난을 해결할 것으로 믿었던 과학의 발달은 치명적인 전쟁의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래서 근원적인 계기를 준 서구의 합리정신에 대한 깊은 불신이 쌓이게 되었다. 합리정신의 부정은 전통성, 기성적 가치 등 기존의 체제의 전반에 대해 도전하고 모든 것을 \'제로의 상태\'에서 다시 시작할 것을 주장하는 소위 \'다다\'운동을 탄생시킨다. 형식주의를 표방하는 모더니즘의 예술관은 다다이스트가 타파해야할 과제였다. 상아탑의 예술과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하는 예술지상주의를 탈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모든 요인들, 즉 부르주아의 가치관, 예술 = 미의 관념, 예술의 자율성이 도래한 삶과 분리된 예술에서 삶에 통합된 예술을 꿈꾼다. 특별히 뒤샹은 전위적인 다다이스트로서 어떤 부류에도 매이지 않고 다다정신을 구현한 예술가이다. 반예술로서 예술의 개념을 부르짖고 르네상스 이래 삶과 분리된 자율적이고 지고의 가치를 지닌, 신성화를 꾀한 부르주아적 예술의 개념을 부정한다. 뉴욕다다는 근대 회화에서의 미의 추구를 서구 부르주아적 가치관과 맥을 같이 하여 나타난 개성의 신성화, 창조의 신성화란 과정을 거쳐 허구화되고 있는 상황을 직시했다고 볼 수 있다.그 대표자로 뒤샹, 피카비아, 만 레이 등이 있다.
Ⅶ. 다다이즘 미술의 영향
전쟁의 참화와 파괴에 의한 가치관의 전도, 전통적인 유럽적 가치에 대한 일체의 불신이 그 배후의 정신 상황이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독일에서는 반전운동과 코뮤니즘에 결합된 베를린 다다가 1919년에 결성되었다. 또 1919년 쾰른에서는 아르프, 에른스트, 요하네스 바르겔트에 의해 전람회가 개최되었으나, 관에 의해 폐쇄 당했다. 하노버에서는 1919년에 쿠르트 슈비터스가 메르츠빌트를 창안해냈다. 피카비아는 또 바르셀로나에서 잡지 <391>을 창안하여 취리히 다다와 이어지고 있다. 파리에서는 같은 해 앙드레 브르통, 루이 아라공 등에 의한 시 잡지인 <리테라튀르>가 창간되어 취리히 그룹의 거의 전원이 여기에 참가했다. 그리하여 1920년대 초기에는 다다운동이 거의 전 유럽과 미국에까지 미쳐 1922년 파리에서 대규모의 국제전이 개최되었다. 그리고 24년 초현실주의가 발족되면서 발전적으로 해체되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유럽의 다다 운동에는 직접 가담하지 않았으나, 1912년경부터 이미 다다적인 경향을 보이기 시작했던 프랑스의 화가 마르셀 뒤샹이 만 레이와 함께 뉴욕 다다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이들 작품의 공통적인 경향으로서는 소위 레디메이드의 오브제 또는 움직이는 오브제, 콜라주 또는 앗상블라주로 통하는 메르츠 빌트 등이 시도되었던 점이다. 기계적, 성적인 이미지의 사용도 특색이다. 이들 수법은 다다의 강렬한 가치 부정적 관념과 함께 추상미술, 초현실주의 또는 제2차 세계대전 후 60년대의 예술 등에도 강한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 김성진, 다다이즘과 네오 다다이즘
◈ 김홍태, 다다와 초현실 미술에 나타난 원시적 성향에 관한 연구
◈ 매슈 게일,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 미쉘 사누이예, 임진수 옮김, 다다?, 열화당, 1992
◈ 양명주, 다다이즘의 부정정신,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5
◈ 한스 리히터, 김채현 역, 다다 예술과 반 예술, 서울 : 미진사, 1985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0.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