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행동요법의 개요
1) 인지요법
2) 행동요법
2. 인지행동요법의 목표
3. 인지행동요법의 특성
4. 인지행동요법의 대상 및 적응증
1) 대상
2) 적응증
5. 인지행동요법의 장점
6. 치료기간 및 치료방법
7. 인지기능
8. 인지행동 사정
9. 치료전략
10. 인지행동요법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1) 인지요법
2) 행동요법
2. 인지행동요법의 목표
3. 인지행동요법의 특성
4. 인지행동요법의 대상 및 적응증
1) 대상
2) 적응증
5. 인지행동요법의 장점
6. 치료기간 및 치료방법
7. 인지기능
8. 인지행동 사정
9. 치료전략
10. 인지행동요법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본문내용
행동에 대한 강화를 계속 함
- 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신중한 관찰, 기다림, 강화 등이 필요함
③ 토큰경제(Token Economy)
- 아동이나 정신병원 입원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긍정적 강화 형식의 하나임
-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토큰, 패스, 점수 등을 줌으로써 환자에게 보상을 해 주는 것
④ 역할극(Role Play)
- 환자에게 문제가 되는 쟁점(행동)을 연기하게 하고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게 함
- 의사 결정에 대한 연습과 그 결과에 대해 살펴 볼 수 있게 해 줌
- 역할 바꾸기 연습을 통해 다른 사람과 역할을 바꾸어 봄으로써 같은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해 줌
⑤ 사회 기술 훈련(Social skills training)
- 사회 기술은 학습되는 것이며 교육을 통해 훈련을 시행함
⑥ 혐오치료(Aversion therapy)
- 부적응적인 행동이 일어났을 때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
- 환자가 원하지는 않지만 지속되는 부 적응적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됨
⑦ 임시 계약(Contingency contraction)
- 어떤 행동이 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행동에 어떤 결과가 따르게 되는지에 대한 환자와 치료자간의 형식적 계약
- 바람직한 행동에는 긍정적 결과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는 부정적 결과가 포함됨
10. 인지행동요법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 간호사는 제일선에서 간호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선택적 강화, 모델링, 소멸, 기술 훈련, 유형화, 역할 수행 등을 담당하는 집단이다. 간호사들은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기 때문에 환자들을 관찰 하고 문제 영역을 사정하고 나아가 인지 행동 수행의 목표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 인지행동 치료와 관련된 간호사의 3가지 기본적 역할
① 직접적 환자 간호
② 치료 프로그램 계획
③ 다른 사람에게 인지행동 기술들을 사용하는 법에 대해 교육하기
※ 참고문헌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고성희(2003), 간호계획을 위한 지침 정신간호 진단, 하나 의학사
이은옥(1992),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대한약사회(http://www.kpanet.or.kr/f_index.jsp)
ward class
인지 행동 요법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학 교 :
학 과 :
제 출 일 :
지도교수 :
학 번 :
이 름 :
- 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신중한 관찰, 기다림, 강화 등이 필요함
③ 토큰경제(Token Economy)
- 아동이나 정신병원 입원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긍정적 강화 형식의 하나임
-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토큰, 패스, 점수 등을 줌으로써 환자에게 보상을 해 주는 것
④ 역할극(Role Play)
- 환자에게 문제가 되는 쟁점(행동)을 연기하게 하고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게 함
- 의사 결정에 대한 연습과 그 결과에 대해 살펴 볼 수 있게 해 줌
- 역할 바꾸기 연습을 통해 다른 사람과 역할을 바꾸어 봄으로써 같은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경험할 수 있게 해 줌
⑤ 사회 기술 훈련(Social skills training)
- 사회 기술은 학습되는 것이며 교육을 통해 훈련을 시행함
⑥ 혐오치료(Aversion therapy)
- 부적응적인 행동이 일어났을 때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
- 환자가 원하지는 않지만 지속되는 부 적응적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됨
⑦ 임시 계약(Contingency contraction)
- 어떤 행동이 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행동에 어떤 결과가 따르게 되는지에 대한 환자와 치료자간의 형식적 계약
- 바람직한 행동에는 긍정적 결과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는 부정적 결과가 포함됨
10. 인지행동요법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 간호사는 제일선에서 간호를 제공하는 사람으로서 선택적 강화, 모델링, 소멸, 기술 훈련, 유형화, 역할 수행 등을 담당하는 집단이다. 간호사들은 환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기 때문에 환자들을 관찰 하고 문제 영역을 사정하고 나아가 인지 행동 수행의 목표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 인지행동 치료와 관련된 간호사의 3가지 기본적 역할
① 직접적 환자 간호
② 치료 프로그램 계획
③ 다른 사람에게 인지행동 기술들을 사용하는 법에 대해 교육하기
※ 참고문헌
이광자 외(2006),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고성희(2003), 간호계획을 위한 지침 정신간호 진단, 하나 의학사
이은옥(1992),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대한약사회(http://www.kpanet.or.kr/f_index.jsp)
ward class
인지 행동 요법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학 교 :
학 과 :
제 출 일 :
지도교수 :
학 번 :
이 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