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논어(論語)』 제 7편 술이(述而)
‣ 『논어(論語)』 제 13편 자로(子路)
‣ 『논어(論語)』 제 12편 안연(顔淵)
‣ 『논어(論語)』 제 2편 위정(爲政), 제 9편 자한(子罕)
‣ 『논어(論語)』 제 15편 위령공(衛靈公)
‣ 『논어(論語)』 제 13편 자로(子路)
‣ 『논어(論語)』 제 12편 안연(顔淵)
‣ 『논어(論語)』 제 2편 위정(爲政), 제 9편 자한(子罕)
‣ 『논어(論語)』 제 15편 위령공(衛靈公)
본문내용
육목표는 군자, 즉 정치를 맡아 다스리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었는데 정치를 맡아 다스리는 일은 전통적인 신분 질서에 따라 귀족들이 세습했다. 그러나 공자는 타고난 신분이 아니라 갈고 닦은 능력과 덕성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물론 이것을 전적으로 공자가 창안해 낸 생각이라고 하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이미 공자가 활동하던 시기에는 전통적인 주나라 신분 질서와 사회 계급 구조가 크게 흔들리고 있었기 때문에 출신 성분과 상관없이 자신의 능력만으로 출세를 도모하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대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유교무류로 대표되는 공자의 교육 철학과 인간관은 충분히 혁신적인 것이었다.
<참고문헌>
이민홍(2005),『논어 강의』, 서울: 문자향
홍사중(2004),『나의 논어』, 서울: 이다미디어
<참고문헌>
이민홍(2005),『논어 강의』, 서울: 문자향
홍사중(2004),『나의 논어』, 서울: 이다미디어
키워드
추천자료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신국론
한국 사실주의 문학
1970년대 기독교 소설의 의식 고찰
역사 군담소설
불이 된 지귀의 사랑 - [지귀설화]
고전시가와 현대가요 속 여성의 삶
[국문학A+] 하층민의 리얼리즘, 강경애 작품분석 - 대표작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장 프루베 (Jean Prouve ; Jean Prouv&eacute;)의 인생과 작품관 (선택한 이유, 생애, 건...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공통]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
영화 올리버 트위스트 감상평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의 풍습의 단면(교육문화, 혼례문화, ...
김승옥 초기소설 연구
중국 역사와 문화를 통한 시대별 미의 기준 대표미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