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사상의 이해 기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사상의 이해 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반야심경,색즉시공,딴뜨리즘,바가바드기타

본문내용

속적 욕망이나 재물로부터 자유로운 해탈로 나아가야 하는 시기이다.
7. 샹카라의 마야사상과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을 비교, 설명.
샹카라에서의 ‘마야’란 간단히 말해서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존재들이 환상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주장의 핵심적 개념이다. 마야의 교의는 우선적으로 '무지'한 사람들에게 이 사바세계의 고통에서 해방되는 바른 길을 가르칠 때 쓰이는 것이며, 단지 부차적으로만 신비적이고 불가해한 형이상학이나 인식론적 문제들을 기술하는데 쓰인다.
반면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약간 다르다. 공사상의 의미를 알고 나면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공은 부정사로서 없다(無)는 의미로 사용될 때 이것은 존재 자체의 부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존재하는 것은 자체ㆍ실체ㆍ본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을 나타낸다. 말하자면 고정적 실체의 부정이다. 이러한 공사상은 특히 나가르주나의 반야사상에서 핵심이 되었다.
샹카라에서 마야사상의 핵심은 ‘모든 존재들은 환상적’인 것이지만,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존재들의 자체실체의 부재, 즉 고정적 실체의 보정’이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두 사상의 차이점은 ‘환상의 초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1,4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