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관절
-정의
-역할
Ⅰ.관절의 분류
1. 부동관절
2. 가동관절
Ⅱ.관절의 운동
1. 활주(Gliding)
2. 각운동(Angular movement)
3. 회선운동(Rotational movement)
4. 특수운동(special movement)
Ⅲ. 인체의 주요관절
1. 두개골의 주요관절
2. 척추의 주요관절
3. 상지의 관절
4. 하지의 관절
-정의
-역할
Ⅰ.관절의 분류
1. 부동관절
2. 가동관절
Ⅱ.관절의 운동
1. 활주(Gliding)
2. 각운동(Angular movement)
3. 회선운동(Rotational movement)
4. 특수운동(special movement)
Ⅲ. 인체의 주요관절
1. 두개골의 주요관절
2. 척추의 주요관절
3. 상지의 관절
4. 하지의 관절
본문내용
, 신전, 내전, 외전, 회선
(5)지절간관절(interphalageal joint)
손가락 뼈인 기절골, 중절골, 말절골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번관절
보강: 관절낭, 장측인대, 측부인대
운동: 굴곡, 신전
4. 하지의 관절
1)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골반후벽을 이루는 관절로 천골의 이상면과 장골의 이상면이 서로 접하여 이루는 운동성이 극히 제한된 관절
보강: 관절낭, 전천장인대, 후천장인대, 골간천장인대
운동: 제한
2)치골결합(symphysis pubis)
좌우의 치골이 섬유연골로 결합되는 것
보강: 상치골인대, 치골궁인대, 치골간원판
운동: 제한
3) 대퇴관절(고관절 hip joint)
관골구와 대퇴골두가 이루는 구상관절로 인체에서 어깨관절
다음으로 운동범위가 큰 관절
관골절구의 둘레에는 절구테두리가 있어 관절면을 넓혀주며
또한 관절강내에는 대퇴골머리인대가 관절강 내부에 존재하 기 때문에 대퇴관절이 인체에서 가장 튼튼한 관절이다.
보강: 관절낭, 장골대퇴인대, 치골대퇴인대, 좌골대퇴인대,
대퇴골두 인대, 관절순, 관골구횡인대
운동: 굴곡, 신전, 내전, 왼전, 내외측회전, 회선
4) 무릎관절(슬관절 knee joint)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침해받기 쉬운 관절로, 대퇴골과 경골이 무릎관절의 주축을 이루나 무릎뼈가 대퇴골의 전면에
접촉함으로써 복합관절을 형성한다. 이 관절의 특징은 3Cs라고 불리는 구조물이다. 3Cs란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 십자인대 (cruciate ligament) 그리고 관절반원인 관절연골(cartilage)를 말한다.
보강: 관절낭, 슬개인대, 사슬와인대, 내외측부인대, 전후십자인대, 내외측반월판, 슬횡인대
운동: 굴곡, 신전, 내외회전
5) 경비관절(tibiofibular joint)
경골과 비골의 연결로 상단, 골체 및 하단의 3곳에서 관절한다.
보강: 전후비골두인대, 골간막, 전후경비인대
운동: 제한
6) 거퇴관절(talocrural joint. ankle joint)
경골과 비골의 하단에 있는 관절면과 거골활차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이며, 체중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위치여서 탈구와 염좌가
자주 일어난다.
보강: 관절낭, 삼각인대, 전거비인대, 후거비인대, 종비인대, 거주인대
운동: 배측굴, 족척굴
7) 족근간관절(intertarsal joint)
7개의 족근골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
보강: 관절낭, 이분인대, 척측종주인대, 거종인대
운동: 활주
8) 족근중족관절(tarsometatarsal joint)
원위 족근골과 각 중족골의 저부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관절로
제 1설상골과 제 1 중족골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족근중족관절
은 독립된 관절낭을 가지고 있으나 나머지 제 2~5 족근중족관
절은 공동 관절낭으로 싸여있고 운동도 제한되어있다.
보강: 배측 척측골간인대
운동: 활주
9) 중족간 관절(intermetatasal joint)
각 중족골 저부가 이웃하는 중족골과 이루는 관절
보강: 배측, 척측 및 골간인대
운동: 제한
10) 중족지절관절(metatasophalageal joint)
5개의 중족골두와 5개의 기절골 저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
보강: 측부인대, 심횡중족인대 등
운동: 굴곡, 신전, 내전, 외전, 회선
11)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 joint)
발가락 뼈인 기절골, 중절골 및 말절골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번관절
보강: 측부인대
운동: 굴곡, 신전
<참고문헌>
인체해부학(2006) 최인장 외 메디컬코리아
인체해부학(2002) 박형우 외 신광출판사
인체해부학(2000) 노민희 외 도서출판정담
인체해부학(2006) 소명숙 외 KMS
(5)지절간관절(interphalageal joint)
손가락 뼈인 기절골, 중절골, 말절골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번관절
보강: 관절낭, 장측인대, 측부인대
운동: 굴곡, 신전
4. 하지의 관절
1)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골반후벽을 이루는 관절로 천골의 이상면과 장골의 이상면이 서로 접하여 이루는 운동성이 극히 제한된 관절
보강: 관절낭, 전천장인대, 후천장인대, 골간천장인대
운동: 제한
2)치골결합(symphysis pubis)
좌우의 치골이 섬유연골로 결합되는 것
보강: 상치골인대, 치골궁인대, 치골간원판
운동: 제한
3) 대퇴관절(고관절 hip joint)
관골구와 대퇴골두가 이루는 구상관절로 인체에서 어깨관절
다음으로 운동범위가 큰 관절
관골절구의 둘레에는 절구테두리가 있어 관절면을 넓혀주며
또한 관절강내에는 대퇴골머리인대가 관절강 내부에 존재하 기 때문에 대퇴관절이 인체에서 가장 튼튼한 관절이다.
보강: 관절낭, 장골대퇴인대, 치골대퇴인대, 좌골대퇴인대,
대퇴골두 인대, 관절순, 관골구횡인대
운동: 굴곡, 신전, 내전, 왼전, 내외측회전, 회선
4) 무릎관절(슬관절 knee joint)
인체에서 가장 복잡하고 침해받기 쉬운 관절로, 대퇴골과 경골이 무릎관절의 주축을 이루나 무릎뼈가 대퇴골의 전면에
접촉함으로써 복합관절을 형성한다. 이 관절의 특징은 3Cs라고 불리는 구조물이다. 3Cs란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 십자인대 (cruciate ligament) 그리고 관절반원인 관절연골(cartilage)를 말한다.
보강: 관절낭, 슬개인대, 사슬와인대, 내외측부인대, 전후십자인대, 내외측반월판, 슬횡인대
운동: 굴곡, 신전, 내외회전
5) 경비관절(tibiofibular joint)
경골과 비골의 연결로 상단, 골체 및 하단의 3곳에서 관절한다.
보강: 전후비골두인대, 골간막, 전후경비인대
운동: 제한
6) 거퇴관절(talocrural joint. ankle joint)
경골과 비골의 하단에 있는 관절면과 거골활차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이며, 체중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위치여서 탈구와 염좌가
자주 일어난다.
보강: 관절낭, 삼각인대, 전거비인대, 후거비인대, 종비인대, 거주인대
운동: 배측굴, 족척굴
7) 족근간관절(intertarsal joint)
7개의 족근골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
보강: 관절낭, 이분인대, 척측종주인대, 거종인대
운동: 활주
8) 족근중족관절(tarsometatarsal joint)
원위 족근골과 각 중족골의 저부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관절로
제 1설상골과 제 1 중족골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족근중족관절
은 독립된 관절낭을 가지고 있으나 나머지 제 2~5 족근중족관
절은 공동 관절낭으로 싸여있고 운동도 제한되어있다.
보강: 배측 척측골간인대
운동: 활주
9) 중족간 관절(intermetatasal joint)
각 중족골 저부가 이웃하는 중족골과 이루는 관절
보강: 배측, 척측 및 골간인대
운동: 제한
10) 중족지절관절(metatasophalageal joint)
5개의 중족골두와 5개의 기절골 저부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절
보강: 측부인대, 심횡중족인대 등
운동: 굴곡, 신전, 내전, 외전, 회선
11)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 joint)
발가락 뼈인 기절골, 중절골 및 말절골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번관절
보강: 측부인대
운동: 굴곡, 신전
<참고문헌>
인체해부학(2006) 최인장 외 메디컬코리아
인체해부학(2002) 박형우 외 신광출판사
인체해부학(2000) 노민희 외 도서출판정담
인체해부학(2006) 소명숙 외 KM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