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골격계 ≫
《 뼈의 기능 》
《 뼈의 구조 》
《 뼈의 분류 》
《 척추 - vertebra 》
《 흉곽 - thorax 》
《 상완 》
《 전완 》
《 손가락 》
《 다리 》
《 연골(cartilage) 》
《 관절(joint) 》
《 뼈의 기능 》
《 뼈의 구조 》
《 뼈의 분류 》
《 척추 - vertebra 》
《 흉곽 - thorax 》
《 상완 》
《 전완 》
《 손가락 》
《 다리 》
《 연골(cartilage) 》
《 관절(joint) 》
본문내용
l carpal row : 손바닥뼈와 연결. 대능형골, 소능 형골, 유두골, 유구골
◇ 두상골 - pisiform : 손의 연한 근육조직 중앙부의 소지구 돌기의 기 본점에서 발견
◇ 유구골 - hamate : 갈고리골이라고도 하고 돌출되어 있어 두상골의 원 위와 후방에 위치
◇ 주상골 - scaphoid : 수근 근위 층 후방에 위치, 엄지손가락을 들어올릴때 두 개의 건에 의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손목관절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의 연결에 의해 형성 된 이축성 관절.
움직임은 좌우면과 전후면 안에서 허락.
손목은 손으로부터 요골로 힘을 전달, 골 간막을 통해 척골로 힘을 전해준다.
◇ 수근간관절 - intercarpal joint : 무축성이며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 수근중수 관절 - carpometacarpal joint : 원위 수근골은 다섯개의 중수골과 연결, 수근중수관절을 형성, 손등의 원위에서 쉽게 발견.
◇ 중수지골 관절 - metacarpophalangeal joint : 중수골이 손가락과 만나는 지점으로 단축성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하고는 이축성관절로 나타난다. 손 등에서 쉽게 보여지며 넉클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 지절간 관절 - interphalangeal joint : 두개의 손가락관절에 의해 형성. 엄지를 제외하고 모두 두개의 손가락 관절을 가진다. 위치에 따라 근위나 원위로 불리며, 단축성이다.
《 다리 》
고관절의 움직임은 장골인 대퇴로 전이. 대퇴는 원위에서 경골과 결합해 무릎관절을 이룬다.
◇ 대전자 - greater trochanter
대전자는 대퇴골의 근위 끝에서부터 외측 으로 돌출된 큰 융기.
파트너의 다리를 안과 밖으로 회전시켜 피 부아래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퇴상과 - femoral epicondyles
무릎을 굽히면 쉽게 볼 수 있으며, 대퇴골 원 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내측과 외측이 있 다. 내측상과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돌출
◇ 내전근 결절 - adductor tubercle
내측상과의 위쪽에 위치하는 특별한 구조로 고관절에서 내전을 수행하는 큰 근육의 부착점. 상과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게 돌출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 대퇴의 과 - femoral condyles
대퇴의 과는 둥근모양으로 경골의 과와 연결되어 무릎관절을 이룬다.
《 연골(cartilage) 》
연골은 단단하고 약간 탄력이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딱딱한 젤리와 유사하다. 연골에는 소관이나 하버스관이 없고 연골세포간의 물질이동은 세포간질을 통한 확산으로 이루어진다.
세포간질은 젤리모양의 기질에 포장된 교원섬유의 그물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연골의 기능에는 과다한 마모를 방지, 운동에 따른 충격 흡수, 관절의 맞춤을 원활하게 하며, 관절의 탈구를 방지한다.
◇ 초자연골(hyaline) : 맑고 투명한 청백색이며, 많은 교원섬유가 기질 내에 묻혀있다. 뼈의 관절면, 늑연골, 기관, 후두, 코등에서 볼수 있다.
◇ 섬유연골(fiber) : 매우 질기며 압력과 견인의 힘이 크고 섬유성 결합 조직과 구조가 비슷하다. 치밀한 교원섬유로 된 결합조직으로 사이사이 초자연골의 기질과 같은 부분이 있다.
◇ 탄력연골(elastic) : 연골중에 가장 탄력성이 풍부한 것으로 외이, 이관, 후 두개 등에 있다.
《 관절(joint) 》
뼈의 연결은 봉합, 연골결합, 관절의 세가지가 있는데, 봉합은 뼈사이가 톱니와 같이 결합해서 밀착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 뼈의 결합으로 두개골의 결합상태를 말한다. 연골결합은 흉골과 늑골사이에 늑연골이 있어 결합된 것처럼 연골에 의해 결합된 경우이며, 관절은 뼈와 뼈 사이에 관절강이 있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며 사지가 이에 해당된다.
◇ 관절의 구조 : 관절을 형성하는 두개의 골단은 보통 한쪽이 볼록한 관절두(joint caput)와 오목한 관절와(joint fossa)가 있다. 관절은 연골로 덮혀있어 매끈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고 서로 부딪치지 않는다.
두 골단은 관절포로 싸여 있어 두 골단과 관절포에 의해 관절강이 형성되고, 속에 활액이 있어 골단의 충돌을 방지하고, 관절면의 마찰도 감소된다. 관절의 외측에는 인대가 두 뼈를 연결하고 있어 관절을 보호하고,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관절의 종류
관절두와 관절와의 모양에 따라 관절의 운동범위가 결정되므로 관절은 관절을 구성하는 뼈의 수, 운동 축, 뼈의 모양 등에 따라 구분한다.
◇ 뼈의 수에 따른 구분
단관절(simple articulation) : 두 뼈로 된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 등이 있다.
복관절(compound articulaton) : 세뼈이상의 뼈 로 이루어지는 관절로 주관절, 요골 수근관절 등이 있다.
◇ 운동축의 수에 따른 구분
일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한 축으로만 이루어지는 관절로 중수지절관절등 이 있다.
이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두개의 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절로 요골수근 관절등이 있다.
다축성 관절 : 여러 개의 축으로 자유로이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등이 있다.
◇ 관절의 모양에 따른 구분
구상관절(spheroid j.) : 관절두가 볼록하고 관절와가 오목하여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이 있다.
안상관절(saddle j.) : 관절두와 관절와가 모두 말안장처럼 좌우로 퍼져있는 관절로, 엄지손가락의 제일수근중수관절이 있다.
경첩관절(hinge j.) : 홈이 파인 관절두와 이에 맞는 모가있는 관절와로 이루어져 마치 경첩과 같이 운동방향이 수평축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되는 관절로, 슬관절과 주관절등이 있다.
차축관절(trochoid j.) : 원판상의 관절두와 이에 적합한 관절와가 바퀴처럼 감싸면서 도는 관절로, 경추관절과 요척관절이 있다.
과상관절(condyloid j.) : 관절두가 구형이고 관절와가 얕은 소켓 모양으로 되어 있어 회전운동이 안되는 관절로, 굴곡과 신전만 할 수 있고, 악관절과 중수지절관절이 있다.
평면관절(plane j.) :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은 두 관절면이 평면으로 되어 그 사이에 활주만이 있는 관절로, 수근간관절, 족근간관절등이 있다.
◇ 두상골 - pisiform : 손의 연한 근육조직 중앙부의 소지구 돌기의 기 본점에서 발견
◇ 유구골 - hamate : 갈고리골이라고도 하고 돌출되어 있어 두상골의 원 위와 후방에 위치
◇ 주상골 - scaphoid : 수근 근위 층 후방에 위치, 엄지손가락을 들어올릴때 두 개의 건에 의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
손목관절은 주상골, 월상골, 삼각골의 연결에 의해 형성 된 이축성 관절.
움직임은 좌우면과 전후면 안에서 허락.
손목은 손으로부터 요골로 힘을 전달, 골 간막을 통해 척골로 힘을 전해준다.
◇ 수근간관절 - intercarpal joint : 무축성이며 미끄러짐이 일어난다.
◇ 수근중수 관절 - carpometacarpal joint : 원위 수근골은 다섯개의 중수골과 연결, 수근중수관절을 형성, 손등의 원위에서 쉽게 발견.
◇ 중수지골 관절 - metacarpophalangeal joint : 중수골이 손가락과 만나는 지점으로 단축성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하고는 이축성관절로 나타난다. 손 등에서 쉽게 보여지며 넉클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 지절간 관절 - interphalangeal joint : 두개의 손가락관절에 의해 형성. 엄지를 제외하고 모두 두개의 손가락 관절을 가진다. 위치에 따라 근위나 원위로 불리며, 단축성이다.
《 다리 》
고관절의 움직임은 장골인 대퇴로 전이. 대퇴는 원위에서 경골과 결합해 무릎관절을 이룬다.
◇ 대전자 - greater trochanter
대전자는 대퇴골의 근위 끝에서부터 외측 으로 돌출된 큰 융기.
파트너의 다리를 안과 밖으로 회전시켜 피 부아래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 대퇴상과 - femoral epicondyles
무릎을 굽히면 쉽게 볼 수 있으며, 대퇴골 원 위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내측과 외측이 있 다. 내측상과가 외측보다 뚜렷하게 돌출
◇ 내전근 결절 - adductor tubercle
내측상과의 위쪽에 위치하는 특별한 구조로 고관절에서 내전을 수행하는 큰 근육의 부착점. 상과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작게 돌출된 부분을 느낄 수 있다.
◇ 대퇴의 과 - femoral condyles
대퇴의 과는 둥근모양으로 경골의 과와 연결되어 무릎관절을 이룬다.
《 연골(cartilage) 》
연골은 단단하고 약간 탄력이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딱딱한 젤리와 유사하다. 연골에는 소관이나 하버스관이 없고 연골세포간의 물질이동은 세포간질을 통한 확산으로 이루어진다.
세포간질은 젤리모양의 기질에 포장된 교원섬유의 그물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연골의 기능에는 과다한 마모를 방지, 운동에 따른 충격 흡수, 관절의 맞춤을 원활하게 하며, 관절의 탈구를 방지한다.
◇ 초자연골(hyaline) : 맑고 투명한 청백색이며, 많은 교원섬유가 기질 내에 묻혀있다. 뼈의 관절면, 늑연골, 기관, 후두, 코등에서 볼수 있다.
◇ 섬유연골(fiber) : 매우 질기며 압력과 견인의 힘이 크고 섬유성 결합 조직과 구조가 비슷하다. 치밀한 교원섬유로 된 결합조직으로 사이사이 초자연골의 기질과 같은 부분이 있다.
◇ 탄력연골(elastic) : 연골중에 가장 탄력성이 풍부한 것으로 외이, 이관, 후 두개 등에 있다.
《 관절(joint) 》
뼈의 연결은 봉합, 연골결합, 관절의 세가지가 있는데, 봉합은 뼈사이가 톱니와 같이 결합해서 밀착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 뼈의 결합으로 두개골의 결합상태를 말한다. 연골결합은 흉골과 늑골사이에 늑연골이 있어 결합된 것처럼 연골에 의해 결합된 경우이며, 관절은 뼈와 뼈 사이에 관절강이 있어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며 사지가 이에 해당된다.
◇ 관절의 구조 : 관절을 형성하는 두개의 골단은 보통 한쪽이 볼록한 관절두(joint caput)와 오목한 관절와(joint fossa)가 있다. 관절은 연골로 덮혀있어 매끈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고 서로 부딪치지 않는다.
두 골단은 관절포로 싸여 있어 두 골단과 관절포에 의해 관절강이 형성되고, 속에 활액이 있어 골단의 충돌을 방지하고, 관절면의 마찰도 감소된다. 관절의 외측에는 인대가 두 뼈를 연결하고 있어 관절을 보호하고, 과도한 신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관절의 종류
관절두와 관절와의 모양에 따라 관절의 운동범위가 결정되므로 관절은 관절을 구성하는 뼈의 수, 운동 축, 뼈의 모양 등에 따라 구분한다.
◇ 뼈의 수에 따른 구분
단관절(simple articulation) : 두 뼈로 된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 등이 있다.
복관절(compound articulaton) : 세뼈이상의 뼈 로 이루어지는 관절로 주관절, 요골 수근관절 등이 있다.
◇ 운동축의 수에 따른 구분
일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한 축으로만 이루어지는 관절로 중수지절관절등 이 있다.
이축성 관절 : 관절운동이 두개의 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절로 요골수근 관절등이 있다.
다축성 관절 : 여러 개의 축으로 자유로이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등이 있다.
◇ 관절의 모양에 따른 구분
구상관절(spheroid j.) : 관절두가 볼록하고 관절와가 오목하여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하는 관절로, 견관절, 고관절이 있다.
안상관절(saddle j.) : 관절두와 관절와가 모두 말안장처럼 좌우로 퍼져있는 관절로, 엄지손가락의 제일수근중수관절이 있다.
경첩관절(hinge j.) : 홈이 파인 관절두와 이에 맞는 모가있는 관절와로 이루어져 마치 경첩과 같이 운동방향이 수평축을 따라 한쪽 방향으로 되는 관절로, 슬관절과 주관절등이 있다.
차축관절(trochoid j.) : 원판상의 관절두와 이에 적합한 관절와가 바퀴처럼 감싸면서 도는 관절로, 경추관절과 요척관절이 있다.
과상관절(condyloid j.) : 관절두가 구형이고 관절와가 얕은 소켓 모양으로 되어 있어 회전운동이 안되는 관절로, 굴곡과 신전만 할 수 있고, 악관절과 중수지절관절이 있다.
평면관절(plane j.) :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은 두 관절면이 평면으로 되어 그 사이에 활주만이 있는 관절로, 수근간관절, 족근간관절등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