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Ⅰ-ⅰ kusama yayoi 의 환영
Ⅰ-ⅱ. 프로필
Ⅰ-ⅲ. 시대를 앞지른 '광기'의 예술
Ⅰ-ⅳ. 외신이 이야기하는 그녀의 작품 (평론)
Ⅱ. 본론
Ⅱ-ⅰ. kusama yayoi 의 어린 시절
Ⅱ-ⅱ. kusama yayoi의 작품세계
Ⅱ-ⅲ. 주요 작품 설명
Ⅲ. kusama yayoi 의 중요한 두 명의 인물
Ⅲ -ⅰ.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Ⅲ-ⅱ. 니시마루 시호 박사
Ⅳ. kusama yayoi의 작품 활동
Ⅳ-ⅰ. 미술계 거장들과의 활동
Ⅳ-ⅱ. 사회 참여적이며 전위적인 해프닝
Ⅳ-ⅲ. 앞선 감각의 대명사
Ⅳ-ⅳ. 집착과 환각을 예술로 승화하는 쿠사마의 세계
Ⅴ- 결론
Ⅴ-ⅰ. 그녀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Ⅰ-ⅰ kusama yayoi 의 환영
Ⅰ-ⅱ. 프로필
Ⅰ-ⅲ. 시대를 앞지른 '광기'의 예술
Ⅰ-ⅳ. 외신이 이야기하는 그녀의 작품 (평론)
Ⅱ. 본론
Ⅱ-ⅰ. kusama yayoi 의 어린 시절
Ⅱ-ⅱ. kusama yayoi의 작품세계
Ⅱ-ⅲ. 주요 작품 설명
Ⅲ. kusama yayoi 의 중요한 두 명의 인물
Ⅲ -ⅰ.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Ⅲ-ⅱ. 니시마루 시호 박사
Ⅳ. kusama yayoi의 작품 활동
Ⅳ-ⅰ. 미술계 거장들과의 활동
Ⅳ-ⅱ. 사회 참여적이며 전위적인 해프닝
Ⅳ-ⅲ. 앞선 감각의 대명사
Ⅳ-ⅳ. 집착과 환각을 예술로 승화하는 쿠사마의 세계
Ⅴ- 결론
Ⅴ-ⅰ. 그녀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본문내용
itgeist
미술흐름과 공감을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앤디워홀과의 작업 - 몇몇 미술 사가들이 쿠사마와 워홀의 작품 간에서 보이는 혼란스런 형식적 유사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1962년에 그녀가 만든 예를 들면, '항공우편' 스티커를 나란히 붙여 만든 작품
콜라주는 같은 해에 워홀이 제작한 1달러자리 지폐, 코카콜라 병 등
실크스크린 판화와 관련지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1964년 천개의 보트 전시에서 벽면에 부착된 동일한 보트 이미지의 복제 본들은 바로 그 후에 워홀이 디자인한 벽지를 상기시킨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그 형식에 있어서는 워홀의 인터뷰를 계승하여 1969년 쿠사마가 발행한 타블로이드지 "쿠사마 난장파티"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가 없다. 한 가지는 분명하다. 오늘날 우리 시대에 쿠사마처럼 믿을 수 없이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작가는 드물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작가로서의 공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그녀의 모습은 흡사 스타의 모습과도 같다. 에릭 트롱시, 디종 르 콩소르시움 공동 디렉터, (야요이 쿠사마 카탈로그)글 발췌문
Ⅳ-ⅱ. 사회 참여적이며 전위적인 해프닝
1970년대 초 일본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사회 참여적이며 전략적인 해프닝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일례로, 뉴욕의 센트럴 파크나 자유의 여신상 앞에서 댄서들의 나신에 점을 찍는 행위로 경찰의 제지를 받으면서 신문의 일면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또한 1966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초대되지 않은 것에 대한 반발로, 비엔날레관 앞 분수대에 1500여 개의 은색 공들을 쏟아 붓는 행위를 하였는데, 이러한 것이 이슈화되고 전시 참여 작가보다 더 유명세를 타게 됨으로써, 국제 현대미술 행사인 베니스 비엔날레의 시스템 자체를 공격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해프닝들은 이후 <쿠사마의 자기 소멸>이라는 타이틀로 영화화 되었으며, 각종 영화제에서 상을 받기도 하였다.
Ⅳ-ⅲ. 앞선 감각의 대명사
야요이 쿠사마는 늘 자신의 이름을 트레이드마크로 걸며, 다양한 영역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 왔다. 1960년대 후반 가슴 부위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드레스를 제작하며 "쿠사마 패션 컴퍼니"라는 부띠끄를 열기도 하였고, 1970년대 중반 이후 자신의 글을 모아 시집과 소설을 출간하며 "쿠사마 오르지"라는 잡지를 창간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 그녀의 작품을 함께 제작하는 이들이 활동하는 회사는 "쿠사마 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다방면에 걸친 창작활동은 1960년대 당시의 사회, 정치적 운동은 물론이고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등의 사조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그녀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전위적 표현 양식들, 즉 히피적인 경향들은 이 당시 패션계와 예술계에 커다란 파급력을 가져왔다.
Ⅳ-ⅳ. 집착과 환각을 예술로 승화하는 쿠사마의 세계
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동경의 한 정신병원에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75세의 야요이 쿠사마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서 나타난 정신 병리학적 집착과 환각 증세를 예술로 승화시키며, 단순하고 일관적인 요소들의 반복과 확산을 통하여 무한대의 환상적 세계를 유도하며, 밝고 환희에 찬 '쿠사마 세계'를 탄생시켰다.
Ⅴ- 결론
kusama yayoi의 작품이 드디어 고등학교 교과서에까지 실리게 되었다.
kusama yayoi 특유의 물방울무늬와 색감이 잘 드러나 있다. 평면작업은 눈을 어질어질하게 할 만큼 명도대비와 착시효과를 강조하고 있어, 오래 보고 있으면 관람자는 현미경으로 본 세포 속에 자신이 들어와 있는 듯 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효과는 그림을 통해 지각되는 심리적 공간을 확장시킨다. 이 반점들은 평면회화 위에서만 머물지 않고, 입체작업의 요철을 표현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쿠사마의 작품은 강박과 불안 속에서 싹튼다. 벽에, 천장에 스며들어 검고 푸른 얼룩의 추상화를 만들어내듯, 그녀가 즐겨 쓰는 기묘한 형태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규칙적이고 안정된 세계의 구축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Ⅴ-ⅰ. 그녀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꽃은 나와 함께 있고, 나는 꽃 속에 있다. 거대한 자연 속에서 우리는 하나다" 그녀의 말에서처럼 그녀는 물방울을 통해 심오한 사고를 통한 메시지 전달이 아니다. 그저 자연스럽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처럼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물방울이란 이미지로 자유라는 것을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닐까? 물방울이란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근한 이미지 이다.
어린 시절 물방울무늬의 스커트가 너무 좋아 그것에 집착하던 어린 시절의 생각이 떠오른다. 물방울을 계속 쳐다보고 있노라면 눈이 뱅글뱅글 돌아가며 물방울은 우리를 자신들의 세상 속으로 끌어 들인다.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물방울무늬의 집착과 물방울을 오랜 시간 쳐다보았다가 생기는 환각현상의 어린시절체험, 이렇듯 쿠사마의 물방울은 어렵고 심오한 내용의 강박관념의 표출보다 오히려 단순히 어린 시절 심정의 자유로움으로 받아들여도 무관할듯하다.
Kusama yayoi의 작품사진들
Invisible life. 2000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Rotterdam, 2008
Dots Obsession 시리즈
Narcissus Garden
Infinity Mirror Room
Pumpkin: medium, 2008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68 3/4 x 70 3/4 x 74 1/4 inches (175 x 180 x 190 cm)
YAYOI KUSAMA Aftermath of Obliteration of Eternity, 2009
Mixed media installation 163 1/2 x 163 1/2 x 113 1/4 inches (415 x 415 x 287.4 cm) Ed. of 3
KUSAMA YAYOI
참고자료
. 리포트, 쿠사마 야요이 ( Kusama Yayoi )와 그녀의 작품에 관하여 분석
- ID : donguri18
. 리포트, [작가연구] 야요이 쿠사마ID : rany7487
. 네이버 블로그 _어느멋진날
미술흐름과 공감을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앤디워홀과의 작업 - 몇몇 미술 사가들이 쿠사마와 워홀의 작품 간에서 보이는 혼란스런 형식적 유사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1962년에 그녀가 만든 예를 들면, '항공우편' 스티커를 나란히 붙여 만든 작품
콜라주는 같은 해에 워홀이 제작한 1달러자리 지폐, 코카콜라 병 등
실크스크린 판화와 관련지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1964년 천개의 보트 전시에서 벽면에 부착된 동일한 보트 이미지의 복제 본들은 바로 그 후에 워홀이 디자인한 벽지를 상기시킨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그 형식에 있어서는 워홀의 인터뷰를 계승하여 1969년 쿠사마가 발행한 타블로이드지 "쿠사마 난장파티"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가 없다. 한 가지는 분명하다. 오늘날 우리 시대에 쿠사마처럼 믿을 수 없이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작가는 드물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에 둘러싸여 작가로서의 공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그녀의 모습은 흡사 스타의 모습과도 같다. 에릭 트롱시, 디종 르 콩소르시움 공동 디렉터, (야요이 쿠사마 카탈로그)글 발췌문
Ⅳ-ⅱ. 사회 참여적이며 전위적인 해프닝
1970년대 초 일본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사회 참여적이며 전략적인 해프닝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일례로, 뉴욕의 센트럴 파크나 자유의 여신상 앞에서 댄서들의 나신에 점을 찍는 행위로 경찰의 제지를 받으면서 신문의 일면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또한 1966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초대되지 않은 것에 대한 반발로, 비엔날레관 앞 분수대에 1500여 개의 은색 공들을 쏟아 붓는 행위를 하였는데, 이러한 것이 이슈화되고 전시 참여 작가보다 더 유명세를 타게 됨으로써, 국제 현대미술 행사인 베니스 비엔날레의 시스템 자체를 공격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해프닝들은 이후 <쿠사마의 자기 소멸>이라는 타이틀로 영화화 되었으며, 각종 영화제에서 상을 받기도 하였다.
Ⅳ-ⅲ. 앞선 감각의 대명사
야요이 쿠사마는 늘 자신의 이름을 트레이드마크로 걸며, 다양한 영역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 왔다. 1960년대 후반 가슴 부위에 두 개의 구멍이 뚫린 드레스를 제작하며 "쿠사마 패션 컴퍼니"라는 부띠끄를 열기도 하였고, 1970년대 중반 이후 자신의 글을 모아 시집과 소설을 출간하며 "쿠사마 오르지"라는 잡지를 창간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 그녀의 작품을 함께 제작하는 이들이 활동하는 회사는 "쿠사마 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다방면에 걸친 창작활동은 1960년대 당시의 사회, 정치적 운동은 물론이고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등의 사조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그녀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전위적 표현 양식들, 즉 히피적인 경향들은 이 당시 패션계와 예술계에 커다란 파급력을 가져왔다.
Ⅳ-ⅳ. 집착과 환각을 예술로 승화하는 쿠사마의 세계
7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동경의 한 정신병원에 거주하며 작업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75세의 야요이 쿠사마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서 나타난 정신 병리학적 집착과 환각 증세를 예술로 승화시키며, 단순하고 일관적인 요소들의 반복과 확산을 통하여 무한대의 환상적 세계를 유도하며, 밝고 환희에 찬 '쿠사마 세계'를 탄생시켰다.
Ⅴ- 결론
kusama yayoi의 작품이 드디어 고등학교 교과서에까지 실리게 되었다.
kusama yayoi 특유의 물방울무늬와 색감이 잘 드러나 있다. 평면작업은 눈을 어질어질하게 할 만큼 명도대비와 착시효과를 강조하고 있어, 오래 보고 있으면 관람자는 현미경으로 본 세포 속에 자신이 들어와 있는 듯 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효과는 그림을 통해 지각되는 심리적 공간을 확장시킨다. 이 반점들은 평면회화 위에서만 머물지 않고, 입체작업의 요철을 표현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쿠사마의 작품은 강박과 불안 속에서 싹튼다. 벽에, 천장에 스며들어 검고 푸른 얼룩의 추상화를 만들어내듯, 그녀가 즐겨 쓰는 기묘한 형태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규칙적이고 안정된 세계의 구축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Ⅴ-ⅰ. 그녀가 우리에게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꽃은 나와 함께 있고, 나는 꽃 속에 있다. 거대한 자연 속에서 우리는 하나다" 그녀의 말에서처럼 그녀는 물방울을 통해 심오한 사고를 통한 메시지 전달이 아니다. 그저 자연스럽게 자연과 하나가 되는 것처럼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물방울이란 이미지로 자유라는 것을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닐까? 물방울이란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근한 이미지 이다.
어린 시절 물방울무늬의 스커트가 너무 좋아 그것에 집착하던 어린 시절의 생각이 떠오른다. 물방울을 계속 쳐다보고 있노라면 눈이 뱅글뱅글 돌아가며 물방울은 우리를 자신들의 세상 속으로 끌어 들인다.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물방울무늬의 집착과 물방울을 오랜 시간 쳐다보았다가 생기는 환각현상의 어린시절체험, 이렇듯 쿠사마의 물방울은 어렵고 심오한 내용의 강박관념의 표출보다 오히려 단순히 어린 시절 심정의 자유로움으로 받아들여도 무관할듯하다.
Kusama yayoi의 작품사진들
Invisible life. 2000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 Rotterdam, 2008
Dots Obsession 시리즈
Narcissus Garden
Infinity Mirror Room
Pumpkin: medium, 2008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68 3/4 x 70 3/4 x 74 1/4 inches (175 x 180 x 190 cm)
YAYOI KUSAMA Aftermath of Obliteration of Eternity, 2009
Mixed media installation 163 1/2 x 163 1/2 x 113 1/4 inches (415 x 415 x 287.4 cm) Ed. of 3
KUSAMA YAYOI
참고자료
. 리포트, 쿠사마 야요이 ( Kusama Yayoi )와 그녀의 작품에 관하여 분석
- ID : donguri18
. 리포트, [작가연구] 야요이 쿠사마ID : rany7487
. 네이버 블로그 _어느멋진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