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리더십의 개요
1) 리더십의 정의
2) 리더십 이론의 발전과정
Ⅱ. 리더십 특성이론
1) 특성이론의 개요
2) 한계점
Ⅲ. 리더십 행동이론 (Behavioral Theory of Leadership)
1) 등장배경
2) 행동이론의 개요
3) 행동이론의 연구
4) 의의와 한계점
Ⅳ. 리더십 상황 이론
1) 등장배경
2) 상황이론의 개요
3) 상황이론의 연구
(1) Fiedler의 상황적응이론
(2)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3) Hersey &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
(4)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4) 상황이론의 비교
5) 한계점
< 참고자료 >
1) 리더십의 정의
2) 리더십 이론의 발전과정
Ⅱ. 리더십 특성이론
1) 특성이론의 개요
2) 한계점
Ⅲ. 리더십 행동이론 (Behavioral Theory of Leadership)
1) 등장배경
2) 행동이론의 개요
3) 행동이론의 연구
4) 의의와 한계점
Ⅳ. 리더십 상황 이론
1) 등장배경
2) 상황이론의 개요
3) 상황이론의 연구
(1) Fiedler의 상황적응이론
(2)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3) Hersey &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
(4)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4) 상황이론의 비교
5) 한계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있다고 확신하지 못한다면 집단2형(G2)의 의사결정방식은 고려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비구조적 문제규칙 - 만일 당면한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고 리더가 충분한 정보와 능력이 없으며 문제 또한 구조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와 능력을 지니고 있는 하급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요구되다. 따라서 젠제1형(A1)과 전제2형(A2) 그리고 자문1형(C1)은 고려될 수 없다.
수용규칙 - 하급자들이 결정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한데 리더에 의한 독단적인 결정이 하급자들에게 수용되리라는 확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제1형과 전제2형은 고려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갈등규칙 - 의사결정에 대한 하급자들의 수용이 중요하고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을 하급자들이 수용할지가 불분명하며 하급자들 사이에 문제의 해결방안에 대해 갈등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부하들 간의 개방적인 토론을 통하여 상호 간의 견해 차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제1형과 전제2형 그리고 자문1형은 의사결정방식으로 고려될 수 없다.
공평성규칙 - 리더가 당면한 의사결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하급자들의 수용이 중요하고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문제해결에 있어서 하급자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전제12형 및 자문12형은 모두 구려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수용우선규칙 - 만일 의사결정에 대한 하급자들의 수용이 절대적으로 중요한데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이것이 확보되지 않고 하급자들이 조직목표를 달성하는 데 협조하는 경우에는 의사결정과정에 모든 하급자들을 전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려대상에서 전제12형 및 자문12형을 제외시켜야 한다.
④ 의의
Vroom & Yetton은 이와 같은 규칙들을 이용하여 상황을 진단하고 적절한 행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이 이론은 경영자들이 실제로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여러 상황과 결부시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리더십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4) 상황이론의 비교
< 리더십에 대한 4가지 상황이론의 핵심내용 >
리더십 이론
핵심내용
Fiedler의 상황적응이론(Contingency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그룹 효과성의 견지에서 정의
3가지 상황요소
- 리더의 지위권력, 리더-부하간의 관계, 과업구조
리더는 자연적 또는 고정적 유형을 가지고 있음.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path-goal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부하의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에 대한 리더의 노력으로 정의
상황변수
- 환경요소, 부하 개인적 특성
리더는 4가지 리더십 유형에서 자기유형을 선택: 지시적, 후원적, 참여적, 성취지향적
Hersey &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 (situational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의 대응으로
정의
부하의 성숙도(직무관련, 심리적)
리더는 4가지 리더십 유형에서 자기유형을 선택: 지시형, 설득형, 참여형, 위임형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normative theory)
효과적 리더를 부하들의 참여로 정의
상황변수
- 의사결정의 질, 의사결정의 수용성, 적시성(timelines)
리더는 5가지 유형 중에서 의사결정수를 이용하여 적절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 A1, A2, C1, C2, G1
(자료: 이호연(2004)「리더십 유형과 협상허용범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황이론의 비교 >
상황이론
리더 스타일
상황적 요소
연구관심
피들러의 이론(Contingency Theory)
과업지향적
관계지향적
리더-부하관계, 과업구조, 리더의 지휘권한
리더: 유리한 또는 불리한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Path-Goal Theory)
지시적/후원적/참여적/성취 지향적
부하특성: 능력 내외재론적 서향, 욕구, 동기
환경적 요인: 과업, 공식적 권한 체계 작업집단
동기행동에 관련된 상황에 대한 인지과정: 기대감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리더십 행동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Normative Theory)
전제적/협의적/집단적
부하의 의사결정 참여정도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 결정
Hersey & Blanchard의 통합이론 (Life Cycle Theory)
설득적/참여적/위임적/지시적
부하의 성숙도
부하의 성숙수준에 맞춘 리더십
(자료: 조성종(2002)「서비스 지향적 리더십과 인간관계」서울: 두남)
5) 한계점
대부부의 상황이론들은 명제가 명확하게 진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기서 구체적으로 검증 가능한 명제를 도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도 이론을 간접적 또는 부분적으로만 지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들은 측정의 정확에서에서 문제를 안고 있고, 대부분이 상관관계 연구들이므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기 어렵다는 점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신응섭, 2002).
< 참고자료 >
백기복(2005)「리더십리뷰」창민사
박유진(2008)「현대사회의 조직과 리더십」서울: 민서각
조성종(2002)「서비스 지향적 리더십과 인간관계」서울: 두남
이상갑이상수(1997)「조직행위론」서울: 진영사
교육행정학회(1995)「교육조직론」서울: 하우
오붕익(2009)「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계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김현태(2008)「군 조직 특성과 리더십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강관수(2006)「여성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에 관한 비교연구」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박민수(2005)「리더와 部下의 리더십 認識水準 差異가리더십과 組織成果의 關係에 미치는 影響」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이민경(2005)「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에 관한 분석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조남정(2004)「사회복지행정에서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이호연(2004)「리더십 유형과 협상허용범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비구조적 문제규칙 - 만일 당면한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하고 리더가 충분한 정보와 능력이 없으며 문제 또한 구조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와 능력을 지니고 있는 하급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요구되다. 따라서 젠제1형(A1)과 전제2형(A2) 그리고 자문1형(C1)은 고려될 수 없다.
수용규칙 - 하급자들이 결정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한데 리더에 의한 독단적인 결정이 하급자들에게 수용되리라는 확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제1형과 전제2형은 고려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갈등규칙 - 의사결정에 대한 하급자들의 수용이 중요하고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을 하급자들이 수용할지가 불분명하며 하급자들 사이에 문제의 해결방안에 대해 갈등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부하들 간의 개방적인 토론을 통하여 상호 간의 견해 차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제1형과 전제2형 그리고 자문1형은 의사결정방식으로 고려될 수 없다.
공평성규칙 - 리더가 당면한 의사결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하급자들의 수용이 중요하고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문제해결에 있어서 하급자들의 상호작용을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전제12형 및 자문12형은 모두 구려대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수용우선규칙 - 만일 의사결정에 대한 하급자들의 수용이 절대적으로 중요한데 리더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이것이 확보되지 않고 하급자들이 조직목표를 달성하는 데 협조하는 경우에는 의사결정과정에 모든 하급자들을 전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려대상에서 전제12형 및 자문12형을 제외시켜야 한다.
④ 의의
Vroom & Yetton은 이와 같은 규칙들을 이용하여 상황을 진단하고 적절한 행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이 이론은 경영자들이 실제로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는지를 여러 상황과 결부시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리더십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4) 상황이론의 비교
< 리더십에 대한 4가지 상황이론의 핵심내용 >
리더십 이론
핵심내용
Fiedler의 상황적응이론(Contingency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그룹 효과성의 견지에서 정의
3가지 상황요소
- 리더의 지위권력, 리더-부하간의 관계, 과업구조
리더는 자연적 또는 고정적 유형을 가지고 있음.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path-goal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부하의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에 대한 리더의 노력으로 정의
상황변수
- 환경요소, 부하 개인적 특성
리더는 4가지 리더십 유형에서 자기유형을 선택: 지시적, 후원적, 참여적, 성취지향적
Hersey & Blanchard의 상황대응이론 (situational theory)
효과적 리더십을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의 대응으로
정의
부하의 성숙도(직무관련, 심리적)
리더는 4가지 리더십 유형에서 자기유형을 선택: 지시형, 설득형, 참여형, 위임형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normative theory)
효과적 리더를 부하들의 참여로 정의
상황변수
- 의사결정의 질, 의사결정의 수용성, 적시성(timelines)
리더는 5가지 유형 중에서 의사결정수를 이용하여 적절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 A1, A2, C1, C2, G1
(자료: 이호연(2004)「리더십 유형과 협상허용범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황이론의 비교 >
상황이론
리더 스타일
상황적 요소
연구관심
피들러의 이론(Contingency Theory)
과업지향적
관계지향적
리더-부하관계, 과업구조, 리더의 지휘권한
리더: 유리한 또는 불리한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
House의 경로-목표 이론 (Path-Goal Theory)
지시적/후원적/참여적/성취 지향적
부하특성: 능력 내외재론적 서향, 욕구, 동기
환경적 요인: 과업, 공식적 권한 체계 작업집단
동기행동에 관련된 상황에 대한 인지과정: 기대감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리더십 행동
Vroom & Yetton의 규범이론 (Normative Theory)
전제적/협의적/집단적
부하의 의사결정 참여정도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 결정
Hersey & Blanchard의 통합이론 (Life Cycle Theory)
설득적/참여적/위임적/지시적
부하의 성숙도
부하의 성숙수준에 맞춘 리더십
(자료: 조성종(2002)「서비스 지향적 리더십과 인간관계」서울: 두남)
5) 한계점
대부부의 상황이론들은 명제가 명확하게 진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기서 구체적으로 검증 가능한 명제를 도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연구에서 나온 결과들도 이론을 간접적 또는 부분적으로만 지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들은 측정의 정확에서에서 문제를 안고 있고, 대부분이 상관관계 연구들이므로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히기 어렵다는 점에서 취약점을 안고 있다(신응섭, 2002).
< 참고자료 >
백기복(2005)「리더십리뷰」창민사
박유진(2008)「현대사회의 조직과 리더십」서울: 민서각
조성종(2002)「서비스 지향적 리더십과 인간관계」서울: 두남
이상갑이상수(1997)「조직행위론」서울: 진영사
교육행정학회(1995)「교육조직론」서울: 하우
오붕익(2009)「리더십 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계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김현태(2008)「군 조직 특성과 리더십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강관수(2006)「여성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에 관한 비교연구」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논문
박민수(2005)「리더와 部下의 리더십 認識水準 差異가리더십과 組織成果의 關係에 미치는 影響」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이민경(2005)「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에 관한 분석 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조남정(2004)「사회복지행정에서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논문
이호연(2004)「리더십 유형과 협상허용범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추천자료
리더십의 본질과 이론 최고경영자(CEO)의 리더십 전략적 리더십 개발
[리더십][리더쉽][리더십 유형][리더쉽 유형][상황적 리더십 이론][상황적 리더쉽 이론]리더...
효과적인 리더십 기본이론 및 최신이론
변혁적 리더십의 개요, 이론, 사례
리더십 행동이론
리더십 이론
리더십 이론의 동향
리더십 이론의 유형과 내용
리더십(Leader-ship)에 대한 일반적 이론
리더십의 특성이론과 행동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본인은 어떤 이론이 더 현실적인지에 대하여 ...
허시와 블랜차드 리더십 상황이론을 설명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사례 분석
LG그룹 고 구본무 회장의 리더십을 상황이론 3가지(특성론 행동론 상황론)에 부합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