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확약의 의의
2. 확약의 허용성
3. 확약의 요건 및 효력
2. 확약의 허용성
3. 확약의 요건 및 효력
본문내용
개최전에 직위해제처분을 할 것이라는 확약을 해서는 안된다.
② 기속행위이든 재량행위이든 상관없이 확약을 할수 있다.
③ 요건사실 완성 전이든 완성 후이든 상관없이 확약을 할 수 있다.
3. 확약의 요건 및 효력
(1) 확약의 요건
① 주체측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행정청에 의해 행사되어야 한다.
② 절차측면
사전절차의 생략이 불가하다.
③ 내용측면
적법하고 실현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2) 효력
상대방에게 확약된 행위를 하여야 할 자기구속적 의무가 발생된다.
(3) 권리구제
① 행정쟁송
특히 의무이행심판부작위위법확인소송 통하여 본처분의 불이행 다툴 수 있다.
② 손해배상
위법하게 확약이 철회된 경우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③ 손실보상
적법한 공익상 사유로 확약이 철회된 경우 손실보상 청구가 가능하다.
② 기속행위이든 재량행위이든 상관없이 확약을 할수 있다.
③ 요건사실 완성 전이든 완성 후이든 상관없이 확약을 할 수 있다.
3. 확약의 요건 및 효력
(1) 확약의 요건
① 주체측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행정청에 의해 행사되어야 한다.
② 절차측면
사전절차의 생략이 불가하다.
③ 내용측면
적법하고 실현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2) 효력
상대방에게 확약된 행위를 하여야 할 자기구속적 의무가 발생된다.
(3) 권리구제
① 행정쟁송
특히 의무이행심판부작위위법확인소송 통하여 본처분의 불이행 다툴 수 있다.
② 손해배상
위법하게 확약이 철회된 경우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다.
③ 손실보상
적법한 공익상 사유로 확약이 철회된 경우 손실보상 청구가 가능하다.
추천자료
행정법상의 신뢰보호의 원칙
동의에 의한 행정행위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법치행정의 원리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상 사실행위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법규명령과 행정행위의 차이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심판의 당사자와 관계인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성립요건과 효력요건
행정법상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주체, 내용, 절차, 형식의 무효원인과 취소원인
행정법상 행정행위의 하자(흠)에 대한 구별
행정상 사실행위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법상 행정행위 철회
행정법상 행정청의 권한의 위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