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서론, 이렇게 쓸까요?
1) 서론의 구성 요소
2) 서론을 시작하는 방식들
(2) 본론, 이렇게 쓸까요?
1)논거 제시
2)짜임새 있는 문단 구성
3) 상대 입장에 대한 대응
(3) 결론, 이렇게 쓸까요?
1)결론의 역할
2)결론 쓰기에서 주의할 점
2. 본론
(1) 서론, 이렇게 쓸까요?
1) 서론의 구성 요소
2) 서론을 시작하는 방식들
(2) 본론, 이렇게 쓸까요?
1)논거 제시
2)짜임새 있는 문단 구성
3) 상대 입장에 대한 대응
(3) 결론, 이렇게 쓸까요?
1)결론의 역할
2)결론 쓰기에서 주의할 점
본문내용
복하면 효과적인 설득이 힘들어진다. 이럴 경우에는 핵심 주장을 제시하되 문제를 바라보는 각도를 바꾸어 접근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자신의 주장이 가진 사회적 함축을 부각시키는 것도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특히, 논술의 기본 성격은 문제 해결을 겨냥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론에서는 자신의 주장과 연관해서 실현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한편 전망을 제시한다면서 사족 같은 결론에 그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에 대해 살펴보았다.’라고 하면서 지금까지 한 얘기를 단순히 요약하는 내용으로 결론 단락을 메운 다음, ‘-하는 것이 인류의 공영을 위한 길이다.’라는 식의 거창한 내용으로 글을 마무리 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이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④ 불필요한 말은 쓰지 않도록 한다.
결론 부분에 불필요한 말을 써서는 안 된다. 결론 부분에서 말을 잘못 쓰게 되면 한 순간에 글의 일관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어쨌거나, 어차피, 여하튼, 좌우지간” 등은 자신의 논리를 스스로 무너뜨릴 위험이 있는 말들이다. 따라서 불가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런 말들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⑤ 도덕적 훈계와 당위적 주장에서 벗어나야 한다.
도덕적이고 계몽적인 훈계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흔히 매우 진부하고 뻔한, 그리고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것이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우리는 위에서 논한 두 가지 측면 중 나쁜 점은 피하고 좋은 점을 살리도록 해야겠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는 더욱 정의롭고 근면해야겠다.” 등과 같은 결론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열심히 잘해 보자,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따위의 말은 너무 뻔하고 진부하다.
논술문의 결론에서 학생들은 가장 흔히 제시하는 것이 ‘의식의 각성’과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의식을 갖자.’라든가 ‘정부는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문제를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에만 돌려서는 곤란하다.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해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야기되었다고 하더라도, 더 깊이 있게 반성해보면,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하게 하는 여러 사회적 현실적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가 개입해 제도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이라는 안이한 결론에 머무르지 말고, 주어진 논제와 관련된 사회적 상황을 둘러보면서 사회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⑥ 목표만 제시하지 말고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에서 대책을 제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목표만 추상적으로 밝혀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즉 목표 제시에 그치지 말고,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원칙만 제시하는 것은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④ 불필요한 말은 쓰지 않도록 한다.
결론 부분에 불필요한 말을 써서는 안 된다. 결론 부분에서 말을 잘못 쓰게 되면 한 순간에 글의 일관성을 무너뜨릴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어쨌거나, 어차피, 여하튼, 좌우지간” 등은 자신의 논리를 스스로 무너뜨릴 위험이 있는 말들이다. 따라서 불가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런 말들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⑤ 도덕적 훈계와 당위적 주장에서 벗어나야 한다.
도덕적이고 계몽적인 훈계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식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흔히 매우 진부하고 뻔한, 그리고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것이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컨대 “우리는 위에서 논한 두 가지 측면 중 나쁜 점은 피하고 좋은 점을 살리도록 해야겠다.”,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는 더욱 정의롭고 근면해야겠다.” 등과 같은 결론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열심히 잘해 보자,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 따위의 말은 너무 뻔하고 진부하다.
논술문의 결론에서 학생들은 가장 흔히 제시하는 것이 ‘의식의 각성’과 ‘정부의 대책’을 촉구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하는 의식을 갖자.’라든가 ‘정부는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문제를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에만 돌려서는 곤란하다.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해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야기되었다고 하더라도, 더 깊이 있게 반성해보면, 정신을 똑바로 차리지 못하게 하는 여러 사회적 현실적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문제에 대해 정부가 개입해 제도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의식 각성과 정부의 대책이라는 안이한 결론에 머무르지 말고, 주어진 논제와 관련된 사회적 상황을 둘러보면서 사회적 상황이 어떤 식으로 바뀌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⑥ 목표만 제시하지 말고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에서 대책을 제시할 경우, 일반적으로 목표만 추상적으로 밝혀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말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 즉 목표 제시에 그치지 말고, 그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당위적인 원칙만 제시하는 것은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추천자료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정의,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어려움,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특징과 ...
자기소개서 분야별샘플6개(작성팁 및 면접방법)이력서양식+자기소개서양식
[현장교육연구]현장교육연구의 의의, 현장교육연구의 유형,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
설명문쓰기(설명문 쓰는 방법, 글쓰기), 생활문쓰기(생활문 쓰는 방법, 글쓰기), 논설문쓰기(...
[사회복지조사론] 질문지 조사의 이해 - 질문지조사의 의의와 장단점, 질문지 작성과 작성 절...
국교재-국어과수업의계획과평가,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와 작성,수업 평가의 절차와 방법ppt...
평생교육방법론(교수설계 및 교안작성)
[목표설정(目標設定)의 방법] 목표와 방침의 차이점, 목표의 도출방법, 목표기술서의 작성
교육평가방법 - 평가문항 작성(채점법-선택형,서답형) & 채점법(선택형,서답형)
[보육과정] 보육시설과 부모와의 협력및 보육시설측면과 부모 측면에서 협력의 필요성, 보육...
정신건강과 간호 스트레스 일지작성, 분석, 대처방법
사회복지 전공자로서 아래의 추천도서를 읽고 느낀 점에 대해 에세이를 작성합니다.(세계에서...
2017 정신건강과간호] 지난 일주일 동안의 자신의 스트레스인식일지 작성 /교재66~68쪽에서 ...
평생교육방법론을 사용한 수업계획안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