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 대장염 간호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궤양성 대장염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질병에 대한 고찰

1. 궤양성 대장염

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2)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3)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
4) 궤양성 대장염의 진단
5) 궤양성 대장염의 약물 치료
위의 사례에서 간호진단을 2개 이상 내리고 간호 진단을 결정하게 된 특성을 지적하시오.
1. 설사구토와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2. 질병과 관련된 불안
3.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4.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진단에 따른 간호목표를 서술하고 간호중재를 계획하시오.

본문내용

- 피부와 점막이 건조하지 않고 피부탄력성이 정상이다.
간호 중재
-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마사지 해준다.
- 오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 발한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 수액으로 Hydration 시행한다.
- CBC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CRP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 탈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간호진단
4. 식욕 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간호 목표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이 잡힌다.
-화학검사 상 Albumine 수치가 3.0~4.5g/dl을 유지한다.
-대상자의 혈청내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에 있다.(Na: 135~145 mmol/L, K: 3.5~4.5mmol/L, Cl: 90~110 mmol/L)
- 대상자의 Hematocrit 수치가 35~45%를 유지한다.
간호 중재
- 체액량을 유지하기 위해 지시된 수혈 제제와 수액을 투여한다.
- 경구 섭취를 제한하는 동안 수분과 영양 공급을 하기 위해 IV 수액과 총 비경구 영양 (TPN)을 시행한다.
- 더 이상 금식이 필요없는 경우, 유동식의 섭취를 시작한다. 적응 정도에 따라 식이를 진행 시킨다. 식이는 고열량과 고단백이어야 한다. 소량의 식이를 자주 공급한다.
- 알부민 제제를 IV 투약한다.
- 고단백 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 참고 문헌 -
● 김희순, 김수, 추상희 (2009) RN-BSN 자율 학습 모듈 건강문제와 간호 Ⅰ
● 순천향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
● 최영희 외 3, 1999 현문사 『간호 진단과 간호 중재』, p.86~89● 김순자 외 9, 2001 수문사 『기본 간호학』, p. 589~635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2.3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