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그려보았을 때 윗부분의 간격이 더 큽니다. 같은 공간 안의 분자숫자를 비교해보면 아랫부분이 더 많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 즉 기압이 아래쪽이 더 크게 됩니다. 공기는 아래쪽뿐만 아니라 사방으로 압력을 가합니다. 그러므로 압력이 큰 아래쪽이 상대적으로 압력이 작은 위쪽을 누르게 됩니다. 이 원리로 비행기가 위로 뜰 수 있는 힘 즉 양력이 생기는 것입니다.
추천자료
풍동 실험
수리학실험 - 벤츄리미터
수리학실험 - 오리피스 실험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예비보고서
풍동실험을 통한 피토튜브 유속측정(항공역학실험)
벤츄리실험결과
수리학실험발표
유체 풍동실험
벤츄리미터 실험 (수리실험)
유체공학실험 보고서 - 벤츄리미터
유체공학실험 사전조사 - 벤츄리(벤투리/Venturi)와 오리피스(Orifice)의 유량 측정
실험보고서 - 벤츄리 미터
[유체공학 실험] 삼각 Weir(둑)를 이용하여 유량계수 측정 : 유량을 측정하기 용이한 삼각 We...
[열유체실험] 유량 측정 실험 (예비 +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