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효과정
2. 호흡작용
3. 미생물상
4. 사일리지 제조 중 영양소의 손실
5. 사일리지 첨가제
6. 사일로
7. 사일로의 특성
8. 사일로의 크기
9. 사일리지의 품질감정
10. 외관에 의한 품질감정
11.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품질감정
12. 조사료의 가소화성분 퇴정
2. 호흡작용
3. 미생물상
4. 사일리지 제조 중 영양소의 손실
5. 사일리지 첨가제
6. 사일로
7. 사일로의 특성
8. 사일로의 크기
9. 사일리지의 품질감정
10. 외관에 의한 품질감정
11.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품질감정
12. 조사료의 가소화성분 퇴정
본문내용
어 밀폐할 수 있게끔 함
- 사각형의 사일로는 원통형에 비하여 축조가 용이하며
- 한쪽 벽면에 판자를 끼우게 되면 충전이나 먹이는 작업이 간단하고 두수가 늘었을 때 쉽게 위로 연결하여 증축
- 용적의 계산이 간단하여 최근에는 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
(2) 트렌치 사일로
- 땅에 간단한 구장의 구덩이를 파고 여기에 직접 재료를 담는 것
- 다수사육의 경우 이 트렌치 사일로를 많이 이용
- 탑형 사일로에 비하여 건조비가 적게 들고 충전작용이 쉬움
- 피복하는 표면적이 커서 배기량이 많고 지하수가 높은 곳이나 비가 많은 곳에는 침수의 염려가 있는 것이 단점
- 소규모의 농가와 사일로가 부족한 낙농가에 장차 크게 장려
(3) 방카 사일로
- 탑형 사일로에 비하여 건축하는데 경비가 적게 들고 다산사육을 할 수 있으며 기계를 사용하여 능률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
- 표면적이 넓고 압착이 잘 되지 않아 배기량이 많은 단점
- 방카 사일로로 만든 사일리지의 품질을 보면 322쪽 표 9-37과 같음
(4) 스태크 사일로
- 재료를 지상에 퇴적하여 발효시키는 방법
- 필요에 따라 어떤 장소에서 언제든지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는 이점
- 이것은 폐기량이 35% 정도에 달하게 되어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으나, 플라스틱으로 기밀을 하거나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진공압착을 하는 경우도 있음
- 아직 우리나라에는 적당한 규격이 없을 뿐 아니라 실용화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5) 기밀 사일로
- 영양소의 손실이 매우 적고 품질이 좋으며 저부로부터 자동취출기로 사일리지를 밑으로부터 꺼내 먹일 수 있는 기계화 급여가 가능
- 재료를 연속적으로 저장 할 수 있어 보통 사일로의 2~3배의 양을 취급할 수 있고, 헤일리지나 건조상태가 좋지 못한 곡류도 저장 할 수 있음
- 또한 기밀이 완전하므로 탑형 사일로에서 일어나는 2차발효를 방지할 수 있음
(6) 플라스틱 백 사일로
- 재료를 20~500kg 정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포대를 만들어 1일 1마리용 또는 1군 1일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밀봉 사일리지
- 진공처리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으나, 재료의 수분함량이 많을지라도 60일 이내에 이용할 경우에는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 할 수 있음
8. 사일로의 크기
- 사일로의 크기는 사육하고 있는 종류와 두수, 사일리지를 급여하여야 할 일수, 담일 재료와 양에 따라서 결정
- 원통형의 탑형 사일로의 용적계산은
사일로의 용적 = (사일로의 직경/2)제곱 X 3.14 X 사일로의 깊이
9. 사일리지의 품질감정
- 외관에 의한 방법, 화학적 방법, 영양학적인 방법으로 나눔
10. 외관에 의한 품질감정
- 오감의 감각을 통하여 판정하는 것
- 많은 경험이 있어야 정확하게 판정
- 농가에서 더욱 필요한 감정법
(1) 색
- 질이 좋은 사일리지는 담황갈색을 나타냄
- 흑색 또는 흑갈색의 것은 질이 좋지 못함
- 암갈색의 것은 고온발효를 한 것
- 고구마 덩굴 사일리지는 농갈색이 정상
(2) 냄새
- 약간 강한 산취로 사일리지 고유의 방향을 풍김
- 좋은 냄새가 가는 것은 유산이 많고 전혀 낙산발효를 하지 않는 것
- 일반적으로 pH 4.0 이하
- 퇴비냄새, 부패취, 낙산취가 나는 것은 발효가 잘 되지 못한 것
(3) 맛
- 사일리지를 입에 넣엇을 때 상쾌한 산미를 느끼는 것이 좋음
(4) 촉감
- 수분의 함유량이 적당하고 부드러운 감이 있는 것이 좋음
11.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품질감정
(1) 일반성분에 의한 감정
- 사일리지는 일반적으로 에너지가 소화율에 있어서 다른 저장형태의 조사료에 비해 차이가 없으나 조단백질의 이용은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pH가에 의한 감정
- pH가에 의한 사일리지의 등급은 326쪽 표 9-41과 같음
(3) 유기산 조성비율에 의한 감정
- 유산, 낙산, 초산, 이산을 분석하여 이들의 함량 비율로서 328쪽 표 9-43, 표 9-44와 같이 품질을 판정하는 방법
12. 조사료의 가소화성분 퇴정
- 가소화단백질(DP)
모든 목초 DP = CP X 0.929-3.48
수분이 61% 이하인 엔실리지 작물
DP=CPX0.86
ADFN을 가진 예
AP(가용성 단백질) = CP-ADFP, 여기서 ADFP= ADFN X 6.25
DP = 1.44 + (0.68X AP)-(0.60X ADFP)
TDN
두과작물, TDB= 74.43+0.35CP-0.73CF
화본과 옥수수대(옥수수알 없는 것)
TDN=50.41+1.04CP-0.07CF
혼합된 건초작물과 목초
- 사각형의 사일로는 원통형에 비하여 축조가 용이하며
- 한쪽 벽면에 판자를 끼우게 되면 충전이나 먹이는 작업이 간단하고 두수가 늘었을 때 쉽게 위로 연결하여 증축
- 용적의 계산이 간단하여 최근에는 이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
(2) 트렌치 사일로
- 땅에 간단한 구장의 구덩이를 파고 여기에 직접 재료를 담는 것
- 다수사육의 경우 이 트렌치 사일로를 많이 이용
- 탑형 사일로에 비하여 건조비가 적게 들고 충전작용이 쉬움
- 피복하는 표면적이 커서 배기량이 많고 지하수가 높은 곳이나 비가 많은 곳에는 침수의 염려가 있는 것이 단점
- 소규모의 농가와 사일로가 부족한 낙농가에 장차 크게 장려
(3) 방카 사일로
- 탑형 사일로에 비하여 건축하는데 경비가 적게 들고 다산사육을 할 수 있으며 기계를 사용하여 능률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
- 표면적이 넓고 압착이 잘 되지 않아 배기량이 많은 단점
- 방카 사일로로 만든 사일리지의 품질을 보면 322쪽 표 9-37과 같음
(4) 스태크 사일로
- 재료를 지상에 퇴적하여 발효시키는 방법
- 필요에 따라 어떤 장소에서 언제든지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는 이점
- 이것은 폐기량이 35% 정도에 달하게 되어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으나, 플라스틱으로 기밀을 하거나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진공압착을 하는 경우도 있음
- 아직 우리나라에는 적당한 규격이 없을 뿐 아니라 실용화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음.
(5) 기밀 사일로
- 영양소의 손실이 매우 적고 품질이 좋으며 저부로부터 자동취출기로 사일리지를 밑으로부터 꺼내 먹일 수 있는 기계화 급여가 가능
- 재료를 연속적으로 저장 할 수 있어 보통 사일로의 2~3배의 양을 취급할 수 있고, 헤일리지나 건조상태가 좋지 못한 곡류도 저장 할 수 있음
- 또한 기밀이 완전하므로 탑형 사일로에서 일어나는 2차발효를 방지할 수 있음
(6) 플라스틱 백 사일로
- 재료를 20~500kg 정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포대를 만들어 1일 1마리용 또는 1군 1일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밀봉 사일리지
- 진공처리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으나, 재료의 수분함량이 많을지라도 60일 이내에 이용할 경우에는 양질의 사일리지를 생산 할 수 있음
8. 사일로의 크기
- 사일로의 크기는 사육하고 있는 종류와 두수, 사일리지를 급여하여야 할 일수, 담일 재료와 양에 따라서 결정
- 원통형의 탑형 사일로의 용적계산은
사일로의 용적 = (사일로의 직경/2)제곱 X 3.14 X 사일로의 깊이
9. 사일리지의 품질감정
- 외관에 의한 방법, 화학적 방법, 영양학적인 방법으로 나눔
10. 외관에 의한 품질감정
- 오감의 감각을 통하여 판정하는 것
- 많은 경험이 있어야 정확하게 판정
- 농가에서 더욱 필요한 감정법
(1) 색
- 질이 좋은 사일리지는 담황갈색을 나타냄
- 흑색 또는 흑갈색의 것은 질이 좋지 못함
- 암갈색의 것은 고온발효를 한 것
- 고구마 덩굴 사일리지는 농갈색이 정상
(2) 냄새
- 약간 강한 산취로 사일리지 고유의 방향을 풍김
- 좋은 냄새가 가는 것은 유산이 많고 전혀 낙산발효를 하지 않는 것
- 일반적으로 pH 4.0 이하
- 퇴비냄새, 부패취, 낙산취가 나는 것은 발효가 잘 되지 못한 것
(3) 맛
- 사일리지를 입에 넣엇을 때 상쾌한 산미를 느끼는 것이 좋음
(4) 촉감
- 수분의 함유량이 적당하고 부드러운 감이 있는 것이 좋음
11.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품질감정
(1) 일반성분에 의한 감정
- 사일리지는 일반적으로 에너지가 소화율에 있어서 다른 저장형태의 조사료에 비해 차이가 없으나 조단백질의 이용은 약간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pH가에 의한 감정
- pH가에 의한 사일리지의 등급은 326쪽 표 9-41과 같음
(3) 유기산 조성비율에 의한 감정
- 유산, 낙산, 초산, 이산을 분석하여 이들의 함량 비율로서 328쪽 표 9-43, 표 9-44와 같이 품질을 판정하는 방법
12. 조사료의 가소화성분 퇴정
- 가소화단백질(DP)
모든 목초 DP = CP X 0.929-3.48
수분이 61% 이하인 엔실리지 작물
DP=CPX0.86
ADFN을 가진 예
AP(가용성 단백질) = CP-ADFP, 여기서 ADFP= ADFN X 6.25
DP = 1.44 + (0.68X AP)-(0.60X ADFP)
TDN
두과작물, TDB= 74.43+0.35CP-0.73CF
화본과 옥수수대(옥수수알 없는 것)
TDN=50.41+1.04CP-0.07CF
혼합된 건초작물과 목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