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용량(C) :
-저항(R) :
-충전시
초(s)
초(s)
초(s)
초(s)
5
0.27
65
1.57
125
2.50
185
3.16
10
0.39
70
1.65
130
2.55
190
3.22
15
0.51
75
1.75
135
2.62
195
3.24
20
0.64
80
1.84
140
2.69
200
3.28
25
0.75
85
1.91
145
2.74
205
3.32
30
0.86
90
2.00
150
2.79
210
3.37
35
0.97
95
2.07
155
2.84
215
3.41
40
1.08
100
2.15
160
2.90
220
3.45
45
1.20
105
2.20
165
2.95
225
3.48
50
1.30
110
2.29
170
3.01
230
3.52
55
1.40
115
2.35
175
3.05
235
3.55
60
1.47
120
2.42
180
3.11
240
3.58
- 방전시
초(s)
초(s)
초(s)
초(s)
5
3.56
65
2.54
125
1.79
185
1.29
10
3.45
70
2.48
130
1.74
190
1.26
15
3.37
75
2.41
135
1.69
195
1.23
20
3.26
80
2.36
140
1.65
200
1.19
25
3.19
85
2.30
145
1.61
205
1.17
30
3.10
90
2.22
150
1.56
210
1.13
35
3.02
95
2.16
155
1.51
215
1.10
40
2.93
100
2.10
160
1.48
220
1.07
45
2.865
105
2.06
165
1.44
225
1.04
50
2.79
110
1.98
170
1.40
230
1.01
55
2.70
115
1.88
175
1.36
235
0.998
60
2.63
120
1.84
180
1.32
240
0.964
5)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시간에 따른 전압의 충전 량과 방전 량을 알 수 있었다.
맨 처음 저항단자의 색을 보고 표를 이용해 저항 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이 저항값과 용량을 곱하여 를 구하였다. 우리 조의 값은 143.3으로 나왔다. 의 값이 143.3이 나왔다는 것은 143.3초가 지났을 때 배터리 전체 용량의 63.2%가 충전되었고, 방전시 배터리 전체 용량의 63.2%가 방전된다는 뜻이다.
우리 조 배터리의 용량은 5V였으므로 143.3초가 지났을 때 3.15V가 충전방전된다는 이론값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험값을 보았을 때 143.3초 일 때의 전압 값을 보았을 때 충전 시 약 2.74V가 충전(오차율=13%), 방전 시 약 3.39V(오차율=7%)가 방전되었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것은 첫째, 실험을 눈으로 관찰하고 결과 값을 썼고, 둘째, 실험기구를 다루는데 있어서의 미숙함으로 인해 발생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실험값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렸을 때 시간에 따른 전압변화율이 점점 작아지면서 어떠한 값에 수렴한다는 값이 나왔다. 이론값과 실험값이 약간 다르긴 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전압 값에 수렴된다는 것은 다르지 않았다.
-저항(R) :
-충전시
초(s)
초(s)
초(s)
초(s)
5
0.27
65
1.57
125
2.50
185
3.16
10
0.39
70
1.65
130
2.55
190
3.22
15
0.51
75
1.75
135
2.62
195
3.24
20
0.64
80
1.84
140
2.69
200
3.28
25
0.75
85
1.91
145
2.74
205
3.32
30
0.86
90
2.00
150
2.79
210
3.37
35
0.97
95
2.07
155
2.84
215
3.41
40
1.08
100
2.15
160
2.90
220
3.45
45
1.20
105
2.20
165
2.95
225
3.48
50
1.30
110
2.29
170
3.01
230
3.52
55
1.40
115
2.35
175
3.05
235
3.55
60
1.47
120
2.42
180
3.11
240
3.58
- 방전시
초(s)
초(s)
초(s)
초(s)
5
3.56
65
2.54
125
1.79
185
1.29
10
3.45
70
2.48
130
1.74
190
1.26
15
3.37
75
2.41
135
1.69
195
1.23
20
3.26
80
2.36
140
1.65
200
1.19
25
3.19
85
2.30
145
1.61
205
1.17
30
3.10
90
2.22
150
1.56
210
1.13
35
3.02
95
2.16
155
1.51
215
1.10
40
2.93
100
2.10
160
1.48
220
1.07
45
2.865
105
2.06
165
1.44
225
1.04
50
2.79
110
1.98
170
1.40
230
1.01
55
2.70
115
1.88
175
1.36
235
0.998
60
2.63
120
1.84
180
1.32
240
0.964
5) 논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시간에 따른 전압의 충전 량과 방전 량을 알 수 있었다.
맨 처음 저항단자의 색을 보고 표를 이용해 저항 값을 구하였다. 그리고 이 저항값과 용량을 곱하여 를 구하였다. 우리 조의 값은 143.3으로 나왔다. 의 값이 143.3이 나왔다는 것은 143.3초가 지났을 때 배터리 전체 용량의 63.2%가 충전되었고, 방전시 배터리 전체 용량의 63.2%가 방전된다는 뜻이다.
우리 조 배터리의 용량은 5V였으므로 143.3초가 지났을 때 3.15V가 충전방전된다는 이론값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험값을 보았을 때 143.3초 일 때의 전압 값을 보았을 때 충전 시 약 2.74V가 충전(오차율=13%), 방전 시 약 3.39V(오차율=7%)가 방전되었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것은 첫째, 실험을 눈으로 관찰하고 결과 값을 썼고, 둘째, 실험기구를 다루는데 있어서의 미숙함으로 인해 발생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실험값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렸을 때 시간에 따른 전압변화율이 점점 작아지면서 어떠한 값에 수렴한다는 값이 나왔다. 이론값과 실험값이 약간 다르긴 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전압 값에 수렴된다는 것은 다르지 않았다.
추천자료
[유체실험] 파이프 내부유동의 수두손실 예측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단진자의 주기 측정 실험(예비+결과)
[생물학 실험] 수질의 세균학적 검사에 대한 예비레포트+결과 레포트
[물리실험] 수파투영장치를 이용한 파동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낙하운동과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식품화학실험] 유지의 산가와 과산화가 실험(예비+결과레포트)
[물리실험] 전류 천칭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일반화학실험] 아보가드로의 수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일반화학 실험 - 산과 염기의 성질(예비&결과)
일반화학 실험 - 용해도곱 상수의 결정(예비&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금속황화물 나노분말 제조 레포트(예비+결과)
PH미터에 의한 수소 이온 농도의 측정 [예비+결과]
pH미터가 달린 칼로멜-유리전극을 이용한 전위차 측정법 (예비+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