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1-1.에탄올발효
1-2.효모
1-3.미생물 생장곡선
1-4.수율
1-5.미생물 측정법
2.EXPERIMENTAL
2-1.실험재료
2-2.실험방법
3.RESULTS&DISCUSSION
3-1.RESULTS 3-2.CONCLUSION
3-3.DISCUSSION
4.REPERENCE
1-1.에탄올발효
1-2.효모
1-3.미생물 생장곡선
1-4.수율
1-5.미생물 측정법
2.EXPERIMENTAL
2-1.실험재료
2-2.실험방법
3.RESULTS&DISCUSSION
3-1.RESULTS 3-2.CONCLUSION
3-3.DISCUSSION
4.REPERENCE
본문내용
면전, 호일로 덮어주고 고체배지의 플라스크에는 호일을 덮어 121℃에서 15분간 Autoclave 멸균했다. 1시간 30분후 Autoclave멸균기에서 꺼내어 clean blench에 두고 약간 식힌후 알콜램프로 멸균시키고 고체배지를 petridish에 25~30ml씩 부어 하루이상 건조시켰다. 식힌 액체배지를 알콜램프로 멸균한 백금이를 이용하여 Yeast를 약간 묻혀 액체배지(100ml)에 넣어주고 진탕배양기에서 약30℃로 배양시켰다.
둘째날
petri dish에 건조시킨 고체배지에 화염멸균한 백금이를 이용해 진탕 배양시킨 액체배지에서 균을 묻혀 streaking했다. streaking해준 플레이트를 뒤지어서 incubator에 넣고 약30℃에서 하루 이상 배양시켰다.
셋째날
70%알콜로 손을 소독한 후 clean bench에서 화염멸균한 백금이로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을 묻혀 액체배지(200ml)에 균을 담가 풀어지도록 하였다. sampling해서 초기값을 측정하기 위해 UV측정, 당분석을 하였다. 준비된 배양액을 shacking incubator에서 34℃배양시키고 이를 1시간마다 sampling해서 UV측정, 당분석을 하였다.
3.RESULTS&DISCUSSION
3-1.RESULTS
UV(660nm)
당분석(mg/L) x2
0
0.066
20000
1
0.075
19500
2
0.085
18600
3
0.100
17000
4
0.126
13500
5
0.186
9050
6
0.283
5700
7
0.435
5000
8
0.731
4700
1)시간에 따른 UV측정값과 당변화
2) Sample의 당변화
3)생장곡선예측
UV측정결과 꾸준히 탁도증가를 통하여 미생물의 증가정도 예측
대수기
유도기
3-2. CONCLUSION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 결과 탁도의 증가로 균의 번식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당분석과 UV측정값을 통하여 유도기에서 대수기로 가는 생장곡선을 예측할 수 있었다.
3-3.DISCUSSION
약 7-8시간 균을 배양시키면서 1시간마다 Sampling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UV측정은 탁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탁도상승을 측정함으로써 세포수의 변동을 조사할 수 있었다. 거의 세포수와 비례하여 값이 증가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우리는 시간에 따라 세포수가 거의 변화가 없다가 7시간쯤 되어서야 갑자기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약6시간은 접종 직후의 세포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인 유도기라 예측되며 7시간이후는 대수기라 추측할 수 있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당농도가 급변화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시간을 더 두고 sampling할 경우 생장곡선을 모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REFERENCE
[1] http://100.naver.com/100.nhn?docid=797268
[2] http://blog.naver.com/castor_521?Redirect=Log&logNo=110002975946
[3] 생물공정공학(교보문고)-구윤모, 서진호, 장요근, 박태현 공역
둘째날
petri dish에 건조시킨 고체배지에 화염멸균한 백금이를 이용해 진탕 배양시킨 액체배지에서 균을 묻혀 streaking했다. streaking해준 플레이트를 뒤지어서 incubator에 넣고 약30℃에서 하루 이상 배양시켰다.
셋째날
70%알콜로 손을 소독한 후 clean bench에서 화염멸균한 백금이로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균을 묻혀 액체배지(200ml)에 균을 담가 풀어지도록 하였다. sampling해서 초기값을 측정하기 위해 UV측정, 당분석을 하였다. 준비된 배양액을 shacking incubator에서 34℃배양시키고 이를 1시간마다 sampling해서 UV측정, 당분석을 하였다.
3.RESULTS&DISCUSSION
3-1.RESULTS
UV(660nm)
당분석(mg/L) x2
0
0.066
20000
1
0.075
19500
2
0.085
18600
3
0.100
17000
4
0.126
13500
5
0.186
9050
6
0.283
5700
7
0.435
5000
8
0.731
4700
1)시간에 따른 UV측정값과 당변화
2) Sample의 당변화
3)생장곡선예측
UV측정결과 꾸준히 탁도증가를 통하여 미생물의 증가정도 예측
대수기
유도기
3-2. CONCLUSION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본 결과 탁도의 증가로 균의 번식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당분석과 UV측정값을 통하여 유도기에서 대수기로 가는 생장곡선을 예측할 수 있었다.
3-3.DISCUSSION
약 7-8시간 균을 배양시키면서 1시간마다 Sampling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UV측정은 탁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탁도상승을 측정함으로써 세포수의 변동을 조사할 수 있었다. 거의 세포수와 비례하여 값이 증가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우리는 시간에 따라 세포수가 거의 변화가 없다가 7시간쯤 되어서야 갑자기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약6시간은 접종 직후의 세포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인 유도기라 예측되며 7시간이후는 대수기라 추측할 수 있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당농도가 급변화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시간을 더 두고 sampling할 경우 생장곡선을 모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REFERENCE
[1] http://100.naver.com/100.nhn?docid=797268
[2] http://blog.naver.com/castor_521?Redirect=Log&logNo=110002975946
[3] 생물공정공학(교보문고)-구윤모, 서진호, 장요근, 박태현 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