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광학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TRODUCT

1-1. 분광학

1-2. 흡광도

1-3. Lambert-Beer\'s 의 법칙

1-4. 광 흡수 분석

2. EXPERAIMENT

2-1. 시약 및 기구

2-2. 실 험 방 법

2-3. 물 리 상 수

2-4. 유 의 사 항

3. RESULT

3-1. Raw Data

3-2. Graph

3-3. calculation

4. DISCUSSSION

5. REFRENCE

본문내용

그 흡수현상을 물질의 정성 ·정량에 이용한다.
4
2. Experaiment
2-1. 기구 및 시약
 시약 : hydroxylamine chloride, sodium acetate, 증류수, 10ppm stock solution, 발색약 용액, 미지시료 [A,B](A: 저농도, B: 고농도)
기구 : UV-spetrophoto meter, cell, 부피플라스크, pipette, 삼각플라스크
2-2. 실험 방법
10ppm의 stock solution을 희석시켜 0.5ppm, 1ppm, 2ppm, 2.5ppm의 stendard solution을 각각 제조했다. 제조한 시약 25㎖를 100㎖ 부피플라스크에 채취 한뒤 각각의 시약안에 hydroxylamine chloride 1㎖, sodium acetate10㎖, 발색약 10㎖를 넣은뒤 100㎖플라스크를 증류수로 표시선 까지 채워 묽혔다.
시약을 다 제조 한 뒤 UV-spetrophoto meter에 빈cell을 넣어, blank값을 측정하고, 각각 기준시료 네 가지를 cell에 넣어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기준 시료들로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해 흡광도 그래프를 그렸다.
그래프가 완성된 후, 미지시료 A,B를 시약으로 만들었다.(단, 저농도 A는 25㎖를 채취해 만들고, 고농도 B는 2.5㎖를 채취 했다.) 시약을 다 만들면 시약들 역시 cell에 넣어 흡광도를 측정한 뒤 농도를 계산한다.
2-3. 물리상수
Fe2+의 흡광계수 = 111000/cmM
2-4. 유의 사항
1. 발색약을 넣고 실험 할 때는 실험하기 직전에 넣고 실험을 해야 한다.
2. 100㎖로 mass pu 할때는 부피플라스크로 한다.
5
3. 0.5ppm, 1ppm, 2ppm, 2.5ppm의 시약을 제조 하기위해서는 각가에 기준시야을 5㎖, 10㎖, 20㎖, 25㎖의 stock solution을 채취 해야 한다.
6
3. Result
3-1. Raw Data
농동(M)
M`
UV- spectraphoto meter 흡광도
0.5 ppm
0.125
0.119
1 ppm
0.25
0.217
2 ppm
0.5
0.406
2.5 ppm
0.625
0.502
A(0.816)
0.204
0.180
B(4.44)
0.111
0.109
3-2. Graph
7
3-3. calculation
f(x)=?
시료들의 용액에서 실제 농도
MV = M`V`
나머지 시료들도
= 용액 농도 * 0.25 = 실제 농도
= 시료B * 0.025 = 실제 농도
미지시료의 농도
A :
B :
8
4. Discussion
이번 실험을 UV-spetrophoto meter이라는 분광학 기계를 이용해 이미 알고 있는 물질들의 농도로 기준 그래프를 그린 뒤 거기에 맞춰 미지의 시료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 이었다. 이 실험은 아쉽게도 우리가 직접 할 수 는 없었다. 그리고 실험 역시도 실제 하는걸 볼 수 없어서 아쉬웠다. 3학년 실험에 있기 때문에 지나간다고 했다. 아쉬운 면이 있지만 괜찮은 것 같다.
그리고 미지시료 B가 고농도인데 흡광도가 적게 나온 것은 고동도의 물질은 빛을 전부다 흡수해서 빛이 아예 안 나올수도 있기 때문에 적게 넣는것이다. 그래서 여기에 비를 맞춰 실제 농도를 구해야 하는데 여기서 이용된는게
MV = M`V`
위의 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희석 시키전에 부피가 2.5㎖였고, 희석 후 부피가 100㎖이기 때문에 두 개의 식이 같기 위해서는 농도가 1:0.025가 되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B를 구한 값에다 0.025를 나눠 줘야 실제의 농도가 나오는 것이다. 이렇게 계산식에 넣었더니 실제로도 가장 높은 값을 가지고 나왔다. 이번 실험은 오차가 실제 함수 값에 각각의 Data를 넣었을 때 약간씩은 다른 값이 나온다. 그 오차 범위가 매우 적기 때문에 보정 할 필요 까진 없었다. 왜 이렇게 다르게 나오냐면 이것은 실제로 시약을 만들때 정확히 측정하는것이 힘들이 때문에 이렇게 나오는 것이다. 만약에 오차 범위가 조금 크다면 blank의 실험 값과 오차의 평균 범위를 이용해 보정해 줘야 할 것이다.
9
5. Reffrence
1. 최신 대학 화학 실험. 권중근. Audax. 2007
2. 환경 분석을 위한 기기분석. 이용근. 동화기술교역. 1997
3. naver 백과사전
10
Abstract
이 실험은 분광학학 실험으로 Lambert-Beer's 의 법칙을 기본으로 둔 흡광도 측정 실험이다. 이 실험은 우리가 실제로 하지 않고, 보는 실험이다. 여러 가지 여건상 학부생이 실제로 만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실험의 기초적 원리는 빛(I。)이 폭이 b이고, 농도가 a인 cell을 통과 할 때 농도에 따리 흡수되고 남은 빛이 통과 하는 세기(I)로 측정 하는 것이다. 이 실험은 위의 원리를 기초로 기준 시료들의 흡광도를 계산하고, 거기에 따라 흡광도 그래프를 그린 뒤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해 역으로 미지시료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 이다.
여기서 주의 할 점은 여러 농도의 시료를 측정 할때 는 그 농도가 얼만지 모르기 때문에 미량의 시료만을 써 흡광도를 측정하고,
MV = M`V`
위의 식을 이용해 비례식으로 농도를 구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그대로 구하게 되면 물질의 농도가 정확히 나오지 않는다.
List of Tables
TABLE 1.
Raw Data

7
List of Figure
Figure 1.
Lambert-Beer's 의 법칙

3
Figure 2.
Data Graph

7
TABLE
1. INTRODUCT

1
1-1. 분광학

1
1-2. 흡광도

1
1-3. Lambert-Beer's 의 법칙

2
1-4. 광 흡수 분석

3
2. EXPERAIMENT

5
2-1. 시약 및 기구

5
2-2. 실 험 방 법

5
2-3. 물 리 상 수

5
2-4. 유 의 사 항

5
3. RESULT

7
3-1. Raw Data

7
3-2. Graph

7
3-3. calculation

8
4. DISCUSSSION

9
5. REFRENCE

10
[공업화학 기초실험]
천연수중 철분 함량 정량
과 목 명
분 반

학 번
성 명
제 출 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