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류가 직면한 오존층파괴의 심각성............................p.3
․오존층이란
․오존층이 생명체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주제선택의 이유
․오존층의 변화상태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피해상황
․오존층 파괴의 원인
2. 오존층 파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구..............p.5
·원인을 제거하는 입장에서의 연구
·오존층의 구멍으로 인한 자외선 노출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연구
3.연구보고서를 작성하면서...................................p.8
참고문헌&사진출처..........................................p.10
․오존층이란
․오존층이 생명체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주제선택의 이유
․오존층의 변화상태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피해상황
․오존층 파괴의 원인
2. 오존층 파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연구..............p.5
·원인을 제거하는 입장에서의 연구
·오존층의 구멍으로 인한 자외선 노출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연구
3.연구보고서를 작성하면서...................................p.8
참고문헌&사진출처..........................................p.10
본문내용
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위 의 경우보다 더 효율적으로 오존층 파괴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 다.(무성방전법: 전극과 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 같은 유전체를 하나 끼우고 공기나 산소를 불어넣고 전극에 고압전류를 흘려보내면, 방전공간에서 오존이 발생하는 방법-사진3을 참고)
<사진3>
-6-
·오존층의 구멍으로 인한 자외선 노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연구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옷을 개발한다.
·자외선은 인간에게 오랫동안 노출되면 보고서 2쪽에서 언급했듯이 인 체에 나쁜 영향을 준다(백내장, 피부암, 피부노화 등). 때문에 인간은 이 를 인지하여 자외선이 많은 날에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우리의 육안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자외선이 있을 때가 외출하기에 적당 하고, 어느 정도의 자외선이 있을 때가 외출하기에 위험한지 판별하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인간이 외출하기에 적합한 날씨(=자외선의 정도)를 인지하도록 할 수는 없을까?'
↓
'자외선의 세기에 따라 외출복의 색깔이 달라진다면 어떨까?'
↓
'그 색깔은 자외선의 세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인간이 그 옷의 색깔을 보고 외출여부를 판단하게 할 수 있게 한다면 어떨까? '
↓
'외출복의 색깔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외출복에 어떠한 특정 물질을 묻히는 게 어떨까?'
↓
'자외선의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이 있는가?'
↓
'자외선 판별 옷의 개발'
-7-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나는 자외선 판별 옷 개발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자외선 판별 옷의 활용 예(사진4)
<사진4>
3.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초등학교 자연시간 때부터 고등학교 화학시간까지, '오존층이 파괴되어가고 있으니 스프레이는 되도록 사용하지 말거라'라는 말을 줄곧 들었다. 그러나 나는 무심하게 '아..그런가보다, 스프레이 쓰지 말아야지'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다가 과학 잡지에서 자외선 노출로 인해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모습을 접하게 되었고, 그냥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될 문제라고 생각했다. 이는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체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방대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이것이 내가 이번 과제의 연구주제를 오존층 파괴로 정하게 된 이유이다. '내가 만약 과학자라면'이라는 단순한 가정에 지나지 않는 과제였지만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내가 정말 과학자라고 생각하고 어떤 주제에 있어서 호기심을 가졌더니 꽤나 많고 구체적인 연구계획을 세울 수가 있었다. 직접 실험을 할 수 없고 연구 자료가 한정되어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여러 방면으로 생각해보는" 태도를 배울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이는 대학교에서 학생으로서의 모습
-8-
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로서의 모범적인 태도와 직결된다고 생각한다. 이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과학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던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도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도, 교사가 된 후에도 필요한 모범적 태도를 배울 수 있었던 기회였다는 것에 큰 기쁨을 느낀다.
-9-
<사진3>
-6-
·오존층의 구멍으로 인한 자외선 노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연구
◎자외선의 노출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옷을 개발한다.
·자외선은 인간에게 오랫동안 노출되면 보고서 2쪽에서 언급했듯이 인 체에 나쁜 영향을 준다(백내장, 피부암, 피부노화 등). 때문에 인간은 이 를 인지하여 자외선이 많은 날에는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우리의 육안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자외선이 있을 때가 외출하기에 적당 하고, 어느 정도의 자외선이 있을 때가 외출하기에 위험한지 판별하기 힘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인간이 외출하기에 적합한 날씨(=자외선의 정도)를 인지하도록 할 수는 없을까?'
↓
'자외선의 세기에 따라 외출복의 색깔이 달라진다면 어떨까?'
↓
'그 색깔은 자외선의 세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인간이 그 옷의 색깔을 보고 외출여부를 판단하게 할 수 있게 한다면 어떨까? '
↓
'외출복의 색깔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외출복에 어떠한 특정 물질을 묻히는 게 어떨까?'
↓
'자외선의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이 있는가?'
↓
'자외선 판별 옷의 개발'
-7-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나는 자외선 판별 옷 개발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자외선 판별 옷의 활용 예(사진4)
<사진4>
3.연구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초등학교 자연시간 때부터 고등학교 화학시간까지, '오존층이 파괴되어가고 있으니 스프레이는 되도록 사용하지 말거라'라는 말을 줄곧 들었다. 그러나 나는 무심하게 '아..그런가보다, 스프레이 쓰지 말아야지'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다가 과학 잡지에서 자외선 노출로 인해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모습을 접하게 되었고, 그냥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될 문제라고 생각했다. 이는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체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방대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이것이 내가 이번 과제의 연구주제를 오존층 파괴로 정하게 된 이유이다. '내가 만약 과학자라면'이라는 단순한 가정에 지나지 않는 과제였지만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내가 정말 과학자라고 생각하고 어떤 주제에 있어서 호기심을 가졌더니 꽤나 많고 구체적인 연구계획을 세울 수가 있었다. 직접 실험을 할 수 없고 연구 자료가 한정되어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여러 방면으로 생각해보는" 태도를 배울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이는 대학교에서 학생으로서의 모습
-8-
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로서의 모범적인 태도와 직결된다고 생각한다. 이 보고서를 준비하면서 과학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던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도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도, 교사가 된 후에도 필요한 모범적 태도를 배울 수 있었던 기회였다는 것에 큰 기쁨을 느낀다.
-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