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선정이유 및 가설설정
Ⅱ. 본 론
♣ 자료조사방법 및 내용
1. 기술통계
2. 상관분석
1) 고구마 가격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2) 고구마 수요량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3. 회귀분석
1) 고구마 가격에 대한 회귀분석
2) 고구마 수요량에 대한 회귀분석
4. 계절성에 의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5. 고구마의 가격탄력성
Ⅲ. 결 론
♣ 가설확인 및 종합평가
♣ 선정이유 및 가설설정
Ⅱ. 본 론
♣ 자료조사방법 및 내용
1. 기술통계
2. 상관분석
1) 고구마 가격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2) 고구마 수요량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3. 회귀분석
1) 고구마 가격에 대한 회귀분석
2) 고구마 수요량에 대한 회귀분석
4. 계절성에 의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5. 고구마의 가격탄력성
Ⅲ. 결 론
♣ 가설확인 및 종합평가
본문내용
득(원)
-0.0008
0.715
▶ 회귀식 : 고구마 가격 = -1.113 × 고구마 수요량 + 0.532 × 감자 수요량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가격과 수요량의 경우 p값이 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량이 -1.11포인트만큼 하락함.
상품의 가격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감소한다는 경제적 법칙 성립.
▶ 고구마 가격과 감자 수요량의 경우 p값이 0.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감자 수요량이 0.53포인트만큼 증가.
p값이 0.05보다 낮게 나왔기 때문에 유의수준 95%에서는 감자와 고구마의 대체관 계가 성립함.
▶ 고구마 가격과 1인당 국민소득의 경우 0.7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
2) 고구마 수요량에 대한 회귀분석
(1) 회귀분석 통계량
결정계수
0.368
표준오차
1109.319
관측수
60
▶ 결정계수가 0.37로 고구마 수요량이 고구마 가격, 감자 가격, 1인당 국민소득에 의해 37% 정도 설명력이 있음.
(2) 회귀식 도출 및 p값
계 수
P-값
상 수
5435.101
0.021
고구마 가격(원/10kg)
-0.126
0.00008
감자 가격(원/10kg)
-0.093
0.046
1인당 국민소득(원)
-0.0001
0.839
▶ 회귀식 : 고구마 수요량 = -0.126 × 고구마 가격 - 0.093 × 감자 가격
(소수점 다섯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수요량과 가격의 경우 p값이 0.0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수요량과 감자 가격의 경우 p값이 0.0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과 1인당 국민소득의 경우 0.8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
4. 계절성에 의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 계절을 임의로 설정함.
1~3월
4~6월
7~9월
10~12월
봄
여름
가을
겨울
1) 상관분석
고구마 수요량(t)
고구마가격(원/10kg)
-0.566
감자가격(원/10kg)
-0.403
1인당 국민소득(원)
0.15
봄
-0.039
여 름
-0.642
가 을
0.396
겨 울
0.286
▶ 고구마 수요량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고구마와 감자의 수요량과 여름과 가을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독립변수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추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마와 감자의 수요량 에 의한 상관계수는 거의 변함이 없음.
2) 회귀분석
(1) 회귀분석 통계량
결정계수
0.675
표준오차
817.639
관측수
60
▶ 결정계수가 0.67로 계절성을 포함시키기 전보다 결정계수가 높아졌음.
▶ 고구마 가격이 고구마 수요량, 감자 수요량, 1인당 국민소득, 봄, 여름, 겨울에 의해 67% 정도 설명력이 있음.
(2) 회귀식 도출 및 p값
계 수
P-값
상 수
7718.779
0.00004
고구마가격(원/10kg)
-0.13
0.00001
감자가격(원/10kg)
-0.026
0.466
1인당 국민소득(원)
-0.0007
0.189
봄
-1517.953
0.00002
여름
-2170.495
0.000000009
겨울
-939.318
0.008
▶ 회귀식 : 고구마 수요량 = - 0.13 × 고구마 가격 - 1517.953 × 봄
- 2170.495 × 여름 - 939.318 × 겨울
(소수점 다섯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수요량과 가격의 경우 p값이 0.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수요량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가격이 -1.3포인트만큼 하락함.
상품의 수요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낮아진다는 경제적 법칙 성립.
( 공급량 즉, 반입량을 수요량으로 하였기 때문에 성립함 )
▶ 봄, 여름, 겨울 모두 p값이 0.05보다 낮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가설과는 다르게 가을에 수요량이 가장 많음.
⇒ 계절별 수요량 : 가을 > 겨울 > 봄 > 여름
5. 고구마의 가격 탄력성
- 앞에서 한 고구마의 가격에 대한 회귀분석을 토대로 구한다.
고구마의 가격을 라 하고 고구마의 수요량을 라 하고 표본의 회귀 모형식을 세워 보았다. 계수를 소수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11이라 하면 식은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으로 탄력성을 구해보면
고구마의 가격탄력성 = 이다.
(소수점 세 자리에서 반올림)
이 결과로 고구마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고구마 가격이 1%로 상승했을 경우, 고구마의 수요량은 0.17% 하락한다고 볼 수 있다.
Ⅲ. 결 론
1)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없었다.
⇒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가 37%로 자료의 정확성도 없을 뿐 아니라, 고구마 수요량 과 1인당 국민소득의 p값이 0.84로 0.05보다 높게 나왔기 때문에 유의수준 95%에 서는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없었다.
2) 고구마와 감자는 대체재이다.
⇒ 회귀분석 결과 고구마 가격과 감자 수요량의 p값이 0.00001로 0.05보다 낮은 값이 나왔기 때문에 고구마와 감자는 대체재라고 할 수 있다.
3) 고구마의 계절에 따른 수요량은 가을 > 겨울 > 봄 > 여름 이었다.
⇒ 가설과 다르게 군고구마를 파는 겨울에 비해 수확기인 가을에 수요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겨울, 봄, 여름 순으로 수요가 적었다.
Ⅳ. 참고문헌
1) 국가통계포탈 (http://www.kosis.co.kr/)
2) 농산물유통공사 (http://www.kamis.co.kr/)
3) 네이버 (http://www.naver.com/)
4) 『농산물가격론』 박영사 김호탁, 이태호, 김한호 2003. 9. 10
5) 『현대통계학』 다산출판사 박정식, 윤영선 2002. 2. 10
-0.0008
0.715
▶ 회귀식 : 고구마 가격 = -1.113 × 고구마 수요량 + 0.532 × 감자 수요량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가격과 수요량의 경우 p값이 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량이 -1.11포인트만큼 하락함.
상품의 가격이 증가하면 수요량이 감소한다는 경제적 법칙 성립.
▶ 고구마 가격과 감자 수요량의 경우 p값이 0.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감자 수요량이 0.53포인트만큼 증가.
p값이 0.05보다 낮게 나왔기 때문에 유의수준 95%에서는 감자와 고구마의 대체관 계가 성립함.
▶ 고구마 가격과 1인당 국민소득의 경우 0.7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
2) 고구마 수요량에 대한 회귀분석
(1) 회귀분석 통계량
결정계수
0.368
표준오차
1109.319
관측수
60
▶ 결정계수가 0.37로 고구마 수요량이 고구마 가격, 감자 가격, 1인당 국민소득에 의해 37% 정도 설명력이 있음.
(2) 회귀식 도출 및 p값
계 수
P-값
상 수
5435.101
0.021
고구마 가격(원/10kg)
-0.126
0.00008
감자 가격(원/10kg)
-0.093
0.046
1인당 국민소득(원)
-0.0001
0.839
▶ 회귀식 : 고구마 수요량 = -0.126 × 고구마 가격 - 0.093 × 감자 가격
(소수점 다섯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수요량과 가격의 경우 p값이 0.0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수요량과 감자 가격의 경우 p값이 0.0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가격과 1인당 국민소득의 경우 0.8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
4. 계절성에 의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 계절을 임의로 설정함.
1~3월
4~6월
7~9월
10~12월
봄
여름
가을
겨울
1) 상관분석
고구마 수요량(t)
고구마가격(원/10kg)
-0.566
감자가격(원/10kg)
-0.403
1인당 국민소득(원)
0.15
봄
-0.039
여 름
-0.642
가 을
0.396
겨 울
0.286
▶ 고구마 수요량과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고구마와 감자의 수요량과 여름과 가을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독립변수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추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마와 감자의 수요량 에 의한 상관계수는 거의 변함이 없음.
2) 회귀분석
(1) 회귀분석 통계량
결정계수
0.675
표준오차
817.639
관측수
60
▶ 결정계수가 0.67로 계절성을 포함시키기 전보다 결정계수가 높아졌음.
▶ 고구마 가격이 고구마 수요량, 감자 수요량, 1인당 국민소득, 봄, 여름, 겨울에 의해 67% 정도 설명력이 있음.
(2) 회귀식 도출 및 p값
계 수
P-값
상 수
7718.779
0.00004
고구마가격(원/10kg)
-0.13
0.00001
감자가격(원/10kg)
-0.026
0.466
1인당 국민소득(원)
-0.0007
0.189
봄
-1517.953
0.00002
여름
-2170.495
0.000000009
겨울
-939.318
0.008
▶ 회귀식 : 고구마 수요량 = - 0.13 × 고구마 가격 - 1517.953 × 봄
- 2170.495 × 여름 - 939.318 × 겨울
(소수점 다섯 자리에서 반올림)
▶ 유의수준이 95%이므로 P-값이 0.05보다 높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고 0.05보다 낮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볼 수 있음.
▶ 고구마 수요량과 가격의 경우 p값이 0.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고구마 수요량이 1포인트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가격이 -1.3포인트만큼 하락함.
상품의 수요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낮아진다는 경제적 법칙 성립.
( 공급량 즉, 반입량을 수요량으로 하였기 때문에 성립함 )
▶ 봄, 여름, 겨울 모두 p값이 0.05보다 낮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함.
▶ 가설과는 다르게 가을에 수요량이 가장 많음.
⇒ 계절별 수요량 : 가을 > 겨울 > 봄 > 여름
5. 고구마의 가격 탄력성
- 앞에서 한 고구마의 가격에 대한 회귀분석을 토대로 구한다.
고구마의 가격을 라 하고 고구마의 수요량을 라 하고 표본의 회귀 모형식을 세워 보았다. 계수를 소수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11이라 하면 식은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으로 탄력성을 구해보면
고구마의 가격탄력성 = 이다.
(소수점 세 자리에서 반올림)
이 결과로 고구마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고구마 가격이 1%로 상승했을 경우, 고구마의 수요량은 0.17% 하락한다고 볼 수 있다.
Ⅲ. 결 론
1)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없었다.
⇒ 회귀분석 결과 결정계수가 37%로 자료의 정확성도 없을 뿐 아니라, 고구마 수요량 과 1인당 국민소득의 p값이 0.84로 0.05보다 높게 나왔기 때문에 유의수준 95%에 서는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고구마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없었다.
2) 고구마와 감자는 대체재이다.
⇒ 회귀분석 결과 고구마 가격과 감자 수요량의 p값이 0.00001로 0.05보다 낮은 값이 나왔기 때문에 고구마와 감자는 대체재라고 할 수 있다.
3) 고구마의 계절에 따른 수요량은 가을 > 겨울 > 봄 > 여름 이었다.
⇒ 가설과 다르게 군고구마를 파는 겨울에 비해 수확기인 가을에 수요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겨울, 봄, 여름 순으로 수요가 적었다.
Ⅳ. 참고문헌
1) 국가통계포탈 (http://www.kosis.co.kr/)
2) 농산물유통공사 (http://www.kamis.co.kr/)
3) 네이버 (http://www.naver.com/)
4) 『농산물가격론』 박영사 김호탁, 이태호, 김한호 2003. 9. 10
5) 『현대통계학』 다산출판사 박정식, 윤영선 2002. 2. 10
추천자료
신체의 결함과 범죄의 상관관계에 관한 분석
주식회사 풀무원의 기업경영분석 (풀무원의 재무비율 배당과 주가와의 상관관계)
[비만]비만에 관한 분석 고찰(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만병의 근원, 비만의 치료, 비만과 ...
[한국영화산업][스크린쿼터][한국영화][영화산업]한국영화산업과 스크린쿼터의 현황과 문제점...
[인간][질병][의학][수면][건강][아침형 인간][질병치료][건강체]인간과 질병의 시초, 인간과...
[조직시민행동][OCB]조직시민행동(OCB)의 개념과 배경, 조직시민행동(OCB)의 중요성과 내용, ...
[미시경영]리더십과 조직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조직행동이론A+] 심리적 계약과 조직몰입 간의 상관 관계 분석
[A+자료] 중남미 정치의 가족주의, 족벌주의, 네포티즘 전통 (라틴아메리카 정치와 가족주의...
서비스 품질관리와 원가관리의 특징, 중요성, 상관관계, 원가절감 방안, 서비스 품질 유지, ...
[A+] 외식사업의 유니폼 기능과 중요성 - 유니폼 디자인 사례, 평가, 분석, 유니폼 유래, 조...
[청일전쟁][세계정세][운요호사건][일본 상관관계][역사적 의의]청일전쟁전 세계정세, 청일전...
[내면][내면과 내면적 상관성][내면과 내면의식][내면과 내면성][내면과 주요한 불놀이][내면...
[내면][내면의식][내면적 상관성][내면성][박목월][계몽][내면세계][내면기행][내면작업][내...